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역관 변원규(卞元圭)의 생애와 중국사행 시의 교유

        김홍매 국문학회 2017 국문학연구 Vol.0 No.36

        Byeon WonGyu(卞元圭, 1837-1896)was a famous translator and literati in late Joseon. There are many research for his diplomatic and enhance military contribution in the academic circles now. But the research about his descent and the life is seldom. Based on this point, I will do some research for his career and some relative communication activities according to his genealogy and historical documents of late Joseon on this paper. Byeon WonGyu's six generation was Byeon SeungEop(卞承業, 1623-1709) who was a translator between Korean and Japanese. His family began to developed after Byeon SeungEop. When Byeon WonGyu was 19 years old, he got the first in the imperial examination by the department of translation. After then, he served as the director of the Translation Bureau, OhWijang(五衛將) and other positions. And later he was promoted to a third grade civil servant as a interpreter. In 1880, Byeon WonGyu went to Tian Jin to meet Li HongZhang(李鴻章) in the identity as a special officer was in charge of report and advisory. In this meeting they talked about the constitution of senting the students from Joseon to Qing to study weapon manufacturing technology and military training knowledge. For he got a great achievement in this meeting, he was appointed county magistrate of JeokSeong(積城縣監) and magistrate of GaPyeong(加平郡守). Thereafter he occupied municipal official of PyeongSan(平山府使) and the chief local official of HanSeong(漢城府判尹). And also he continue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diplomacy. From the existing historical document, Byeon WonGyu went to Qing for 10 times at least. In the process of the visit in 1880, he made a deep friendship with Kim YunSik(金允植, 1835-1922)who was the leader of the Joseon envoys. When he made a friendship with the officers as Yun TaeJun(尹泰駿, 1839-1884), Baek NakYun(白樂倫) and so on, he also communicated with literati of Qing Dynasty, just like You ZhiKai(游智開, 1816-1899), Kong XianYi(孔憲彛), Dong WenHuan(董文渙). Then Byeon WonGyu brought the poetry anthology “CangYuan ShiChao”(藏園詩鈔) to Joseon which was written by You ZhiKai and print it for publication. Although the communication was the regular course of official duties, but they indeed carried out a cultural exchanges. For there was a two way communication between them, so the significance is undeniable. 변원규(卞元圭, 1837~1896)는 19세기 유명한 역관 문인이다. 그간 변원규의 외교와 무비 강화 등 방면에서의 공로에 대해서는 적지 않은 연구 성과가 있었지만 정작 그의 가계와 생애에 대한 연구는 별로 이루어진 바가 없다. 본고는 『밀양변씨효량공파보』와 조선시기 문헌 자료들을 토대로 변원규의 생애를 복원하고 중국 사행 시의 일부 교유에 대해 살펴보았다. 변원규의 6대조는 중개무역으로 막대한 재산을 모았던 왜학 역관 변승업(卞承業, 1623~1709)이다. 변원규는 19세에 역과 식년시에 장원으로 급제한 뒤 사역원 정, 오위장 등 벼슬을 하였고 정3품 당상역관의 자리에 올랐다. 1880년에 재자관의 신분으로 천진에 가 이홍장(李鴻章)과 회담하고 무기 제조술과 군사 훈련을 배우는 장정(章程)을 상의한 공로를 인정받아 적성 현감으로 임명되었다가 다시 가평 군수의 관직을 받았다. 그 이후 또 평산부사(平山府使), 한성부판윤(漢城府判尹) 등에 임명되었고 외교에서도 계속하여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현재 기록으로 보아 변원규는 중국에 적어도 10회 이상 갔을 것으로 짐작되는데, 1881년의 사행 중에 영선사(領選史) 김윤식(金允植, 1835~1922)과 깊은 인연을 맺었을 뿐 아니라 종사관 윤태준(尹泰駿, 1839~1884), 백낙륜(白樂倫) 등과도 친분을 맺었다. 또 중국인 유지개(游智開, 1816~1899), 공헌이(孔憲彛, 1808~1863), 동문환(董文渙, 1833~1877) 등과도 교유하였고 유지개의 문집인 『장원시초(藏園詩鈔)』를 조선에 가져와 간행하기까지 하였다. 이들과의 교유는 공무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이루어졌지만 문화적 교류를 수반하였고 또 이런 문화적 교류가 쌍방향으로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매우 가치가 있다고 볼 수 있다.

      • KCI등재

        만청(晩淸) 문인 황작자(黃爵滋)와 조선 연행사

        김홍매 국문학회 2016 국문학연구 Vol.0 No.34

        Huang Juezi is a famous statesman and scholar in the Qing Dynasty of China. He urged for the elimination of corruption and prohibiting opium. In China, his upright character and bold counsel earned great reputation for him. Huang Juezi was willing to make friends. At that time he made a lot of Joseon scholars friends since he showde initiative and positive attitude. During 1834-1846, the Josean diplomatic corps returning from Qing reported to the throne. In the Huang Juezi’s In Joseon envoys’ reports, they concentrated on issues such as Qing government's attitude towards elimination of corruption, Han and Manchu treatment etc. However no mention of Huang Juezi’s opinions on prohibiting opium and his role in the Opium War. There were many Joseon literati who made friends with Huang Juezi. This paper mainly expl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Huang Juezi and the Joseon literati in 19th century, like high office Huang Juezi showed his collection to Joseon literati and asked them to give some recommendations. He also gave the Takbonto them as a present. When he holded a poetry, Huang Juezi and the Joseon literati wrote poems back and forth to each other. Huang Juezi had a strong friendship with The communication between Joseon literati and Huang Juezi was focused on culture. They valued the appearance of each other as a literati. 황작자(黃爵滋, 1793~1853)는 중국 청대의 저명한 정치가이자 문학가이다. 황작자는 부정부패를 척결하고 아편을 금지할 것을 주장하였으며 강직한 성품으로 대담하게 간언을 하여 당시 중국에서 큰 명성을 얻었다. 황작자는 또한 벗을 사귀기를 좋아하여 조선 문인들에게 우호적인 태도를 보였으며 적지 않은 조선의 문인들과 교유하였다. 조선의 사신들도 황작자에게 상당한 관심을 보였는데 1834년부터 1846년 사이에 청나라를 방문했던 조선의 사행단이 돌아와서 올린 <문견별단(聞見別單)>은 황작자의 정치적 행보와 조정의 태도, 그의 조우에 대해 비교적 자세히 보고하고 있다. 하지만 황작자의 행적에 대한 조선 사신의 보고는 주로 그가 청나라의 부정부패를 척결할 것을 주장한 일 및 한인과 만인의 대우 문제 등을 다루고 있고 황작자의 금연 주장이나 아편전쟁에서의 역할 등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 황작자와 교유했던 조선의 문인들은 상당히 많은데 본고에서는 주로 1835년에 동지부사로 중국에 갔던 고위급 관료 조두순(趙斗淳)을 중심으로 황작자와 19세기 조선 문인들의 교류에 관하여 고찰하였다. 황작자는 조선의 문인들에게 자신의 문집을 보여주고 품평을 청하는가 하면 <궐리전비탑본(闕里全碑搨本)> 같은 자료를 선물하기도 하였으며 시회를 열고 함께 시를 수창하면서 우정을 쌓기도 하였다. 조선의 문인들과 황작자는 주로 문화적인 면에서 교류를 진행하였으며 상대방의 문인의 면모에 주목하였다.

      • KCI등재

        歗齋 卞鍾運의 華夷觀과 자국에 대한 인식

        김홍매 국문학회 2015 국문학연구 Vol.0 No.32

        Jongwoon Byun, a well-known translater at the late Chosun Dynasty, was renowned early as a good writer. He left many essays, which was rarely achievable as a translater at that time. We can see, through his works, how he perceived cultures of China and Chosun as well as the foreign relations. His understanding of many countries in the East Asia was basically based on the typical framework of Sino-centrism. He thought that even though the Ching Dynasty took the territory of the late Ming Dynasty, the cultural hegemony of Sino-centrism was taken over to Chosun Dynasty. He thought that Chosun is the country where the sun sheds light first and where there is a full energy of cultural movement. He thought that Chosun was a Little China because Chosun had fully realized the key cultures of China. Taking one step further, he argued that people of Chosun Dynasty were now the same as those of China. Also he argued that Mongjoo Chung, 72 sages, and other faithful retainers of the late Koryo Dynasty should be considered as highly as, or higher than, Boyi and Shuqi of the Chou Dynasty. He, however, was not positive about the Feng Sui of Chosun. He said that the Feng Sui of Chosun was a ‘broken range of mountains and disconnected foots of hills’. So there was no place proper for a capital city of an emperor or a burial site for an emperor. Jongwoon Byun took an attitude of disbelief and precaution against non-civilization. It seems that his negative attitudes against non-civilization are originated from the unpleasant memories of history such as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and the Manchu war of 1636, etc. He argued that China had been generous to the non-civilized, but the non-civilized had not to China, and so Chosun should always be careful against the surrounding foreign forces and need to build her military strengths. 변종운(1790∼1866)은 조선후기 저명한 역관 출신 문인으로, 일찍부터 문장으로 이름을 날렸다. 변종운은 역관으로서는 드물게 많은 산문을 남겼는데, 그의 작품을 통해 조선과 중국의 문화에 대한 인식과 외교 문제에 대한 생각을 알아볼 수 있다. 동아시아 여러 나라에 대한 변종운의 의식은 기본적으로 화(華)와 이(夷)의 틀 속에서 이해될 수 있다. 변종운은 청나라가 비록 중국 땅을 차지하고 있기는 하지만 중화의 문명은 이미 조선으로 넘어 왔다고 생각했다. 조선에 대해서는 ‘해가 먼저 비추고 문명의 기운이 충만한 나라’라고 하였으며 조선이 중화의 문명을 실현하였기에 조선은 곧 중국, 즉 小中華이고, 조선인은 곧 중국인이라고 하였다. 또 정몽주와 두문동 72현을 비롯한 고려의 충신들을 높게 평가하면서 중국의 백이(伯夷)와 숙제(叔齊)가 살아있다고 하더라도 그들보다는 못했을 것이라고 하였다. 다만 조선의 풍수에 대해서는 부정적이었는바, 조선의 산에 대해서는 ‘손상된 산’과 ‘끊어진 산기슭’이라고 하면서 천자가 도읍할 곳도, 천자를 매장할 곳도 없다고 하였다. 변종운은 夷에 대해서는 불신과 경계의 태도를 보였다. 이는 小中華의식 외에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을 비롯한 불쾌한 역사적 기억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이런 의식에 근거하여 중국은 이적에게 후하였으나 이적은 중국에 박하였다고 하였으며, 외세를 경계하고 군사력과 무비(武備)를 강화할 것을 주장하였다.

      • KCI등재

        문화 교수내용으로서의 한국어 색채어 교육 및 활용 연구

        김홍매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2022 언어와 문화 Vol.18 No.2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purpose to clarify the necessity and importance of color terms education as a cultural teaching content and seek a new direction of Korean culture teaching. In order to achieve such,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color terms teaching and the use of color terms in cultural teaching materials were analyzed. 33 books of 4 types were selected for the analysis, focusing on the language use environment and the recently-completed integrated textbooks. Through this,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color terms education and the use of color terms in cultural teaching contents were examined. Based on this, useful aspects of each textbook were converged as a compromise method and used to suggest the color terms education method and utilization plan. .

      • KCI등재

        기본분석을 이용한 미래 이익변화와 주식수익률 예측: 중국 차이넥스트 상장회사를 중심으로

        김홍매,최현지,정석윤 한국회계정보학회 2019 회계정보연구 Vol.37 No.4

        Founded in 2009, ChiNext is characterized by high growth potential, high volatility and high risk. Although there have been studies on the usefulness of fundamental analysis for the main board or sme board, there have been very few studies about ChiNex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useful and simple fundamental analysis model for investor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ChiNext. We selected Mohanram (2005)'s GSCORE model. We selected 2,050 firm-year that meet the sample selection criteria among the companies listed on ChiNext to verify the suitability of this model, using portfolio test and logit regression. Specifically, the future earnings changes are used as a measure of earnings performance, the future abnormal return is used as a measure of stock performance, and a composite index composed of various fundamental variables or financial ratios is used to predict future earnings changes and future abnormal returns. Most variables of the GSCORE model have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future earnings changes and abnormal returns. According to the portfolio test results, the future earnings changes and the future abnormal return increase with the composite index quartiles, and the average future earnings changes/future abnormal return difference between the highest and lowest quartile is significant. This means that the composite index can separate winners from losers. The logit analysis also indicates that as the composite index grows, the likelihood of future earnings increase and the probability of obtaining a positive abnormal return in the future is high. We verify the suitability of the GSCORE model and the GSCORE_A model and provide a composite index that can be easily understood and calculated by investors who lack expert knowledge and analytical skills but are willing to invest in the ChiNext. We also verified the usefulness of financial statement information in the ChiNext. 2009년 설립된 중국 차이넥스트 시장은 다른 시장에 비해 높은 성장성, 변동성과 위험성의 특징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차이넥스트 투자자들은 대부분 재무제표 정보를 활용할 전문적인 지식과 분석 능력이 없는 개인투자자들로 구성되어 있다. 만일 투자자들이 간편하게 측정할 수 있는 종합지수 값을 제공한다면 개인투자자들이 투자전략을 세우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차이넥스트 기업을 중심으로 시장의 특성에 맞추어 투자자들에게 유용하고 간편한 기본분석모형을 제공하고자 한다. 차이넥스트시장을 대상으로 Mohanram(2005)의 GSCORE모형의 유용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포트폴리오테스트와 로짓회귀분석을 실행하였다. 구체적으로 기본적 변수 혹은 재무비율들로 구성된 종합지수가 가지는 미래 이익변화와 미래 초과수익률에 대한 예측능력을 검증하였다. 포트폴리오테스트 결과 종합지수가 커질수록 미래 이익변화와 미래 초과수익률이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미래 이익변화와 미래 초과수익률모두 제일 작은 종합지수값을 가지는 포트폴리오와 제일 큰 종합지수값을 가지는 포트폴리오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종합지수로 경영성과와 주식성과가 좋은 기업과 나쁜 기업을 구분해낼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로짓회귀분석에서 또한 종합지수가 커질수록 미래 이익이 증가할 가능성이 크고 미래에 양(+)의 초과수익률을 얻을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는 GSCORE모형의 종합지수를 이용하여 경영성과와 주식성과가 좋은 기업과 나쁜 기업을 구분해낼 수 있음을 의미한다. 차이넥스트에 투자할 의향이 있는 투자자들은 8개의 기본변수로 구성된 종합지수 GSCORE와 GSCORE_A로 경영성과와 주식성과가 우수한 기업들을 구별하고 이를 투자의사결정에 활용할 수 있다. 특히 전문적인 분석능력이 부족하고 재무제표정보를 이해하지 못하는 일반투자자들이 투자의사결정을 할 때 간편하고 유용한 측정치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