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1사무의 세 본문들이 드러내는 문자적·내용적 상관성

        김혜윤(Kim, Hye Yune) 광주가톨릭대학교 신학연구소 2010 神學展望 Vol.- No.170

        1사무 1장에 등장하는 한나의 서원은, 고대 이스라엘의 종교 예식에 여성들도 능동적으로 참여하였음을 증언해준다. 그런데 MT-1사무 1장에는 이러한 여성의 서원을 이해하는 데에 문제가 되는 요인들이 발견되는데, 한나의 서원이 구체적으로 언급된 1사무 1,11에 비하여, 21절에는 난데없이 “그의(3인칭 남성 단수 소유격에 해당) 서원”이라는 표현이 등장하고, 이어 23절에서도 “그의 말”이 등장하기 때문이다. 한나의 서원에 대한 진정성 문제가 야기되는 것이다. 본고는 이러한 내용상의 균열을 이해하기 위해 사무엘기에 대한 다른 본문들, 곧 칠십인역-사무엘기(‘LXX-사무’)와 쿰란 사본-사무엘기(‘4QSam<SUP>a</SUP>’)를 전격적으로 대조 분석한다. MT-사무와 LXX-사무, 4QSam<SUP>a</SUP>에 대한 대조분석을 통해 산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LXX-사무와 4QSam<SUP>a</SUP>는 매우 유사한 내용을 제공하고 있고, 따라서 이 두 본문은 동일한(적어도 비슷한) 본문(Vorlage)을 보고 작업하였음을 드러낸다. 이들은 MT-사무보다 언제나 상세하고 긴 본문을 제공하고 있다. 둘째, 각 본문들(MT, LXX, 4QSam<SUP>a</SUP>)은 모두 분명히 11절에서 여성(한나)의 서원을 언급하고 있다. 11절뿐 아니라 이후의 내용들 안에서도 한나의 서원이 부정적으로 폄하되거나 위축된 흔적은 발견되지 않았다. 다만 LXX-사무와 4QSam<SUP>a</SUP>은 21절에서 엘카나의 개인적 서원도 언급함으로써, 그리고 그가 봉헌한 제물들을 매우 상세히 언급함으로써(복수형 “그의 서원들”과 십일조에 대한 부분) 남편 엘카나의 위상을 동반 상승시키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또한 23절에도, 실로에 올라가지 않겠다는 한나에게 이미 그녀 자신이 하느님께 한 말이 있음을(“당신의 입에서 나온 것”) 강조함으로써 아내가 했던 서원의 책임을 분명히 상기시키는 신실한 남편의 모습을 발견할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다면 MT-사무는 LXX-사무와 4QSam<SUP>a</SUP>보다 ‘난해한 독서’(lectio difficilior)를 제시한다. 난데없는 남성 대명사들의 등장이, 여성의 서원을 언급하는 전반적 내용을 방해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불편한 흐름을 LXX-사무와 4QSam<SUP>a</SUP>는(혹은 이들이 근간으로 삼은 Vorlage는) 다소 자연스럽게 수정하면서 엘카나의 입장을 병행적으로 부각시키려 하였고, 반면 MT-사무 편집자는 자신들이 전수받은 불편한 본문을 최대한 유지하면서, 때로는 LXX-사무와 4QSam<SUP>a</SUP>의 수정을 의식하면서, 불가피한 경우에만 몇 가지 수정을 가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21절의 “그의 서원”과 23절의 “그의 말”은 이러한 MT의 후대 편집 과정에서 산출된 표현으로 추정된다. Hannah’s vow, that appeared in 1 Samuel(chapter 1), gives witness that women also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Israelites religious ceremonies. However, the MT-1Sam 1 has some notable issues that question Hannah’s vow and its genuineness. In contrast to Hannah’s vow specifically mentioned in 1Sam 1,11, there appears suddenly “his vow” (the third person in male possessive pronoun) in 1Sam 1,21, as well as “his word” in 1,23. To understand the following textural corruptions in the content, this paper reviews, compares, and analyzes the texts from the LXX and 4QSam<SUP>a</SUP> to the MT. The following results show the comparison and analysis of the three manuscripts: 1) Both the LXX and 4QSam<SUP>a</SUP> contain similar textual contents. Therefore, the result suggests that the two texts were written using the original(or at least similar) manuscript based on a Vorlage. Additionally, these two books provide more detailed and longer version than the MT. 2) Each(MT / LXX / 4QSam<SUP>a</SUP>) text cites Hannah’s vow in 1Sam 1,11. The review did not uncover any negative or atrophied(weakened) traces of Hannah’s vow, not only in verse 11 but also in later passages. But in the LXX / 4QSam<SUP>a</SUP>, the verse 21, mentions Elkanah’s personal vow, as well as his various specific sacrifices extensively, thus elevating the position of Elkanah, the husband of Hannah equally. Also in verse 23, he reminds Hannah of her own vow and its responsibility when she refuses to go to Shiloh with him, thus highlighting the appearance of a sincere husband. Looking from this thread, the MT appears to be using a more difficult lectio(lectio difficilior) than the LXX / 4QSam<SUP>a</SUP>. As previously noted, the sudden appearance of male pronouns dramatically confuses the overall meaning extended to the role of the female vow mentioned in 1Sam 1. The LXX / 4QSam<SUP>a</SUP> seemed to have attempted to reconstruct these uneasy flows by elevating Elkanah’s position. In contrast, the MT editors seemed to have attempted to protect the transmitted manuscript in its original text except a few instances where revisions were necessary. Therefore, “his vow” in verse 21 and “his word” in verse 23 are presumed to be the products of the MT’s later effort for revision.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에녹 1서 「비유의 책」연구

        김혜윤(Kim, Hye Yune) 광주가톨릭대학교 신학연구소 2011 神學展望 Vol.- No.174

        본고에서는 다음 두 가지 큰 주제를 연구 목적으로 설정하여 진행된다: 1) 구약 성경 외경에 해당되는 에녹 1서의 「비유의 책」을 개관적으로 소개 하는 것 2) 그 책에 제시된 ‘사람의 ?들’이라는 독특한 표현이 가지는 기능과 신학적 의미, 문법적 속성 등을 살펴보는 것. 이러한 내용에 집중한 이유는, 원래 구약 성경 안에는 유사한 개념이 아닌 것으로 등장하는 ‘메시아’와 ‘사람의 들’이 「비유의 책」에서는 서로 연결되고 동화된 모습으로 발견되기 때문이고, 무엇보다도 이러한 연구가신약성경에 등장하는 예수의 자의식(自意識)을 이해하는 데에 근간이 되기 때문이다. ‘(저) 사람의 아들’이라는 표현은 1에녹(37_71장)에서 모두 16번 등장하는데(에녹서의 다른 부분에서는 발견되지 않음), 현재 사용할 수 있는 에티오피아어 본문에서는 동일한 형태가 아닌 세 가지 다른 형태로 등장한다. 그러나 세 개의 표현은 같은 개념에 대한 서로 다른 에티오피아식 번역이라고 이해된다. 또한 문법적 고찰은, 이 표현이 ‘호칭’으로서의 온전한 기능을 가지지는 않지만, 그렇다고 해서 ‘사람’ 혹은 ‘인간’을 의미하는 일반적 명사와 동일한 표현도 아님을 드러낸다. 「비유의 책」에 등장하는 ‘(저) 사람의 아들’은 하나의 특수 용어로 고착되어가는 ‘과정상의 모습’을 보여주는, 곧 인간의 단순한 속성을 넘어서는 하나의 초월적 존재를 지칭하면서도 동시에 완전히 전문화된 호칭으로 정착된 것은 아닌 상태를 제시한다. 「비유의 책」에 등장하는 ‘(저) 사람의 아들’이 드러내는 내용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 그는 사람의 모습을 하고 있지만 동시에 신적 영광으로 가득 차 있으며(46,1-2), 거룩한 천상적 존재이고 의로운 분이며, 하느님은 그에게 영광을 부여해주신다(61,8). 그리고 그는 영광의 옥좌에 앉아(62,5; 69,27.29) 땅과 하늘, 사람과 천사, 산 이와 죽은 이를 심판하러 하느님 앞에 서실 것이며, 이를 통해 의인들은 구원을 얻을 것이다(46,4-6; 48,4 이하; 49,3-4; 62,5-9; 69,27.29). 그는 왕이며 전능하신 분으로서 경배 받으시는 분이시고(48,5; 62,6.9) 또한 선재(先在) 하시는 분이시다(48,3.6; 62,7).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wo-fold; 1) Introducing the Book of Parable, known as an Apocrypha writing in the Old Testament 2) Analyzing the phrase 4 Son of God’ referred in the Book of Parables by examining its function, theological interpretation, and grammatical attributes. The reason why I focusing on these two main goals above is that the terms ‘Messiah’ and "Son of Man;, which are not used interchangeably in the Old Testament, appear in the Book of Parables as synonyms. And studying such expressions in the Book of Parables provides fundamental basis for better understanding of the self-consciousness of Jesus in the New Testament. 1Enoch(37-71) uses the expression 4Son of Man’ 16 times throughout the book, and it is also referred with three different types in the available Ethiopian text However, it is assumed that these three expressions are various Ethiopian translations of the same concept. At the same time, grammatical consideration reveals that the term "Son of Man’ neither function as a 4title5 nor does it mean ‘man’ or ‘human’ as used in a typical way. The use of the term ‘Son of man’ in the Book of Parables shows a process in which such term becomes a proper title. That is, the phrase ‘Son of man’ refers to the transcendental being who is not a simple human, yet it is not used as a ‘title’. The ‘Son of Man’ existing in the Book of Parables has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He possesses fully the nature of a man in appearance, but at the same time he has the infinite divine glory(46,l_2). He is a celestial being, and God bestows glory upon him(61,8). He shall sit on the throne of glory(62,5; 69,27.29) to judge earth and heaven, man and angel, and the living and the dead. In the final judgment, the righteous shall live on in light, joy, and peace(46,4_6; 48,4ff; 49,3-4; 62,5-9; 69,27.29). He pre-existed even before the creation of the world(48,3.6; 62,7). He is the king who is worshipped and glorified(48,5; 62,6.9).

      • KCI등재후보

        다니 7,1-8에 등장하는 짐승 상징화 연구

        김혜윤(Hye-Yune Kim) 한국가톨릭신학학회 2007 가톨릭신학 Vol.11 No.-

        본 연구는 비논리적 소재로 외면되어온 묵시문학을 학술적 관점에서 접근하고, 이를 통해 묵시문학의 문학적 특성과 신학적 객관성을 다시금 확인해보고자 의도되었다. 특별히 본고는 다니엘서 7장에 동장하는 ‘짐승 상정화’에 집중하는데, 묵시문학 저자들은 역사적이고 구체적인 상황을 암시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이러한 독특한 기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핵심 주제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다니 7장이 다니엘서 전반과 인접문맥 안에서 가지는 특성과 기능 2) 묵시문학 연구계보와 그 결과에 근거한 다니 7장의 묵시문학적 성격 3) 다니 7,1-8에 대한 주석적 고찰 4) 주제본문과 고대근동 신화와의 비교연구. 이상의 연구는 다니 7장이 문체, 내용, 사용된 언어, 다니 2장과의 연계성 등을 통해 다니엘서 전체의 맥락 안에서 일종의 ‘편집적 고리’기능을 하고 있음을 밝혀내었다. 그리고 본문에 등장하는 바다(혼란과 악을 상징)와 거기에서 등장하는 짐승들(특별히 레비아탄, 라합, 용)은 다른 성경 본문에서도 자주 등장하는 소재임이 드러났고(욥기, 시편, 이사야서, 예레미야서, 에제키엘서 등), 특별히 다니 7,1-8은 다니 2장과 4장, 호세 13,7-8로 부터도 영향을 받았음이 밝혀졌다. 또한 해괴한 짐승들의 모습은 고대 근동 예술품에서 발견되는 모습들과 유사한 것이어서 당시 저자나 독자들에게는 상당히 익숙한 이미지들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 본문의 네 짐승은 네 왕국, 즉 바빌론, 메디아, 페르시아, 그리스로 이어지는 일련의 제국들을 상징한 것이었다. 그러나 다니 7장에 무엇보다도 직접적인 영향을 준 것은 고대 근동 지역의 신화적 모티브들이었다. 특별히 본 연구는 가나안 신화와 메소포타미아의 아카디안 신화, 바빌론 신화를 비교 고찰하였는데 상호간의 여러 유사성을 발견할 수 있었다. 특별히 가나안 신화의 얌(Yamm), 바빌론 신화의 티아맛(Tiamat), 다니 7장의 짐승들이 모두 ‘바다’를 모티브로 상징화 되었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찾을 수 있었고, 아카디안 신화의 안쭈(Anzu)는 동물적 특성과 사람의 특성, 여기에서 유출되는 파괴적 성향을 강하게 부각시키고 있다는 점에서 다니 7장의 짐승들과 유사 했다. 그러나 다니 7장의 저자가 주변 신화의 요소들로만 자신의 작품을 재구성한 것만은 아니었음도 동시에 드러났는데, 명시적인 차이점을 보이고 있는 것은 다니 7장에는 ‘전투’ 장면이 보도되지 않는다는 점이었다. 이러한 차원에서 분명해 지는 것은, 다니 7장의 저자는 자신의 묵시문학적-신학적 상상력을 더욱 풍요롭게 하기 위해 다양한 신화적 모티브들을 적용시켜 작품을 재구성하고 있지만 그렇다고 주변의 신화적 모티브들을 그대로 답습하거나 적당한 패러디로 전락시켜놓지는 않았다는 점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다니 7장은 신화적 표상을 실제 역사 안에 구체적으로 ‘탈-신화한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대중 안에 유포되어있던 신화적 언어들을 차용하고는 있지만 이를 통해 어두운 현실과 이를 성실히 견딜 때 다가오는 희망을 역사적이고 종말론적 차원에서 탈-신화화하여 강조하고 있기 때문이다. The intent of this research is to approach from a scholarly point of view the topic of apocalyptic literature, which has been generally conceived as an illogical subject, and to affirm once again the literary flavor and theological objectivity of the given subject. This manuscript essentially focuses on the beast symbolism that appears in chapter 7 of the book of Daniel, which the authors of the apocalyptic literatures employed to suggestively depict the historical and specific situation. The main context of this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Daniel 7 s quality and function over the context of the book of Daniel 2) Daniel 7 s apocalyptic characteristic based on the research history of the apocalyptic literatures 3) Exegetical examination on Daniel 7,1-8 4) Comparison study between the main subject and the ancient near eastern myths. Aforementioned research revealed that through the (literary) style, content, used language, connection with Daniel 2, etc, Daniel 7 functions as some kind of editing link within the whole content of the book of Daniel. In addition, the ocean (representing chaos and evil) and the beasts (especially Leviatan, Rahab, and Dragon) that appear in the main text were revealed to be frequently appearing in other Bibles as well (in Job, Psalms, Isaiah, Jeremiah, Ezekiel, etc), and especially Daniel 7,1-8 were revealed to be influenced by Daniel 2 and 4, as well as Hosea 13,7-8. Moreover, because the strange features of the beasts resemble closely the figurines from the ancient near eastern arts, it could be deduced that the images were very common to the both authors and readers at that time. The four beasts from the main text symbolize the series of empires throughout the four kingdoms, i.e. Babylon, Media, Persia, and Greece. It was, however, the mythical motive from the ancient near eastern region that influenced foremost the chapter 7 of Daniel. This research especially considered comparisons of Canaan mythology, Acadian mythology of Mesopotamia and Babylon mythology and found various reciprocal similarities. Espedally Yamm of Canaan mythology, Tiamat of Babylon mythology, and the beasts from Daniel 7 had all in common that they were symbolized with the , ocean as a motive. Also Anzu from the Accadian mythology resembled the beasts from Daniel 7 from the fact that it clearly underlined both animal and human characters, and their destructive dispositions. It was also found, however, that the author of Daniel 7 did not reconstruct one s work using only the elements from the other mythologies, and vivid difference was that no battle scene was reported throughout the chapter. From this perspective, it then becomes clear that, although the author of Daniel 7 reconstructs one s work by applying variety of mythical motives in order to enrich one s apocalyptic-mythic imaginations, he/she did not follow simply the other mythical motives nor depreciate one s work into a single parody. In this sense, Daniel 7 can be described as a chapter that demytho-logizes any mythical representations into a real and concrete history. This is because, although it borrows publicly spread mythical languages, Daniel 7 demythologically emphasizes the hope that emerges from faithfully withstanding the dark reality, from the historical and apocalyptic perspectives.

      • KCI등재

        분노에 대한 신학적 대응

        김혜윤(Kim Hye-yune) 가톨릭대학교(성심교정) 인간학연구소 2010 인간연구 Vol.0 No.19

        1사무 1,1~18은 ‘분노’에 대한 신명기적 신학의 대응을 모색한다. 특별히 이 본문에는 ‘분노’와 관련된 용어들 중 k?s/?라는 어근을 가진 동사와 명사가 발견되는데, 이 어근과 관련된 단어들은 ‘화나게 하다’ ‘악화시키다’(동사); ‘화’ ‘울분’ ‘노기’(명사) 등의 의미를 갖는다. 구조와 어의적 분석, 그리고 통시적-공시적 주석에 의하면, 본문은 분노를 유발시키는 궁극적 원인을 ‘주님의 주도권’에 의한 것으로 이해한다(5~6절). 고통의 직접적 원인을 허락하시는 주체가 하느님이라는 것인데, 동시에 그 시련을 넘어선 자가 받게 될 상급 역시 하느님에 의해 계획됨을 표명한다(17~18절). 이러한 주님의 계획에 대상이 되는 인물(한나)은, 고통 때문에 음식도 먹지 못하고 줄곧 울기만 할 정도(7.8.10절 등)로 심약했던 수동적 자세에서, 점차적으로 이야기를 끌어가는 능동적 주체로 진화해 간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1사무 1,1~18이 제시하는 분노에 대한 신학적 대응을 발견하게 되는데, 분노를 부추기는 적수 프닌나, 그리고 두 아내 사이에 아무런 중재도 하지 못하는 무능한 남편 엘카나, 타인의 고통을 오해하는 사제 엘리 등, 주변 인물들의 한계와 결점은 한나를 마지막 선택으로 초대하는 도구들이 된다. 그들은 그녀에게 몇 배의 고통을 가중시키지만 그녀는 그저 ‘울기만 할 뿐’ 그들을 향해 그 어떤 분노도 표출하지 않는다. 대신 하느님을 직접 만나 그분께 자신의 상황을 탄원한다. 결국 본문에 의하면 분노를 불러일으키는 프닌나의 폭력적 행위와 엘카나-엘리가 보여 준 이기적 무능함은 한나가 하느님을 직접 만나게 하는 신학적 장치가 되는 것이다. 한나는 고통을 주는 타자에게 분노를 쏟아내는 대신 하느님의 이해할 수 없는 계획에 대하여 괴로워하는 자신의 마음을, 바로 그 고통의 원인을 제공한 하느님께 직접 쏟아 붓고(?pk) 하소연한다(dbr)(15~16절). 그런데 이러한 순간이야 말로 하느님께서 그녀를 불임과 가족의 냉대라는 한계상황으로 몰아간 진정한 이유로 설명된다. 결국 신명기계 신학이 제시하는 분노는 자신의 인격과 삶을 넓혀가는 지평으로 작용하며, 이러한 내면의 성숙은 하느님과의 직접적 만남과 그 만남을 통한 구체적 소통(탄원기도)을 통해 이루어진다. 1 Sam 1:1~18 seeks Deuteronomic and theological response to ‘anger.’ The text has several words that are associated with ‘anger,’ including verbs and nouns whose root is k?s/?. Words that stem from k?s/? mean “to cause anger,” “to worsen (verb)” “anger” “frustration” and “rage (noun).” Based on the structure and meaning analysis of the word and diachronical-synchronical exegesis of the text, the text understands ‘Yahweh’s hegemony’ as the ultimate cause of the anger(1 Sam 1:5~6). It states that God not only permits the direct cause of pain but also plans a reward to be given to a person who has overcome such pain(1 Sam 1:17~18). Hannah, the target of God’s such plan, evolves from a feeble and passive character who used to weep from pain without any intake of food to an active one who gradually becomes the leader of the story. Through Hannah’s transformation, the theological response to anger suggested in 1 Sam 1:1~18 has been revealed. Weaknesses and limitations of Peninnah, Hannah’s rival who increases Hannah’s frustration, Elcanah, Hannah’s incompetent husband who cannot arbitrate a conflict between Hannah and Peninnah, and Eli, a priest who misunderstands others’ pain, serve as a tool to lead Hannah to her ultimate choice. While the characters gives Hannah a significant amount of pain, Hannah just ‘weeps’ and never expresses her anger. Instead, she directly faces God and supplicates Him for her painful situation. Eventually, violent actions of Peninnah and selfish incompetency of Elcanah and Eli that arouse anger turn into theological instruments for Hannah to face God directly. Instead of pouring out her anger at people who brought her pain, Hannah pours out(?pk) and pleads(dbr) with God for her feelings about God’s incomprehensible plan, the provider of the root cause of her pain(1 Sam 1:15~16). This part of the text explains the true reason why God has brought her infertility and painful, inul,pitable treatment from her family. Ultimately, the anger expressed in Deuteronomic theology acts as a horizon that widens one’s esteem and life, and internal maturity can be accomplished through direct confrontation with God and detailed invocation during the confrontation.

      • 하스몬 왕조 살로메 알렉산드라의 왕위 등극

        김혜윤(Kim, Hye-Yune) 한국가톨릭신학학회 2004 가톨릭신학 Vol.5 No.-

        이 연구는 살로메 알렉산드라(Salome Alexandra)의 등극과 그녀의 통치 전반에 관한 문헌적, 역사ㆍ사회적 고찰을 목적으로 한다. 하스몬 왕조 말기 최고 통수권을 계승받으면서 왕위에 오른 살로메 알렉산드라는 여성으로서 팔레스티나 지역을 통치한 유일한 인물이었고, 그녀의 재위는 이스라엘 역사에서 유다인 여성에 의해 공적으로 통치된 유일무이한 기간이라는 독보성을 지닌 사건으로 간주되고 있다. 역사가 플라비우스 요세푸스(Flavius Josephus)는 매우 분명한 본문들-「유다 전쟁사」(De Bello Judaico: 이하 BJ) I .107-119과 「유다 고대사」(Antiquitates Judaicae: 이하 AJ) XIII.399-432-을 통해, 그녀가 선왕으로부터 정식으로 왕위를 계승받았다는 것과, 이러한 파격적 조치가 반대 세력의 저항이나 위협 없이 비교적 평화롭게 이루어졌음을 전해주고 있다(BJ I .107: AJ XIII.407). 본고는 요세푸스의 이 두 문헌을 분석하고 이를 근거로 그녀의 통치 전반에 대한 접근을 시도하였다. 문헌에 대한 분석을 통해, 그녀가 선왕으로부터 왕위를 정식으로 임명받았음을 확인하였고, 그녀의 계승 사건 이전에도 요한 히르카누스의 아내가 남편에 의해 왕위에 임명된 사례가 있었음을 밝혀내었다. 그녀의 결혼과 친-바리사이파적 노선, 정치력에 대한 연구를 통해, 역사에 남겨진 그녀의 개인적 자취를 추적해 보기도 하였고, 그녀의 등극사건이 구약성서가 제시하고 있는 ‘상속’, ‘왕위 계승’ 관련 법률들과 어떤 관계성을 가지는지도 점검해 보았다. 이상의 내용은 이 사건이, 당시 점차적으로 형성되고 있던 여성의 사회적 신분 향상이라는, 전반적 트렌드를 반영하고 있음을 드러내 주었다. 더불어 이러한 유다 내부 안에서 진행되었던 여성의 공적 지위 향상은, 당시 강력했던 여성통치 체제를 이룩했던 이집트 프톨레미 왕조의 영향과 무관하지 않음도 제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paper is to study the documents and social history in relation to the enthronement and reign of Queen Salome Alexandra. At the last stage of the Hasmon Dynasty, Salome Alexandra became queen through succession and with supreme power. As a woman, she is a very special person in the political arena of Palestine. From the viewpoint of Jewish women in the history of Israel. her reign is a public and uniquely political period. This is, indeed, a special event. Two very clear texts from the historian Flavius Josephus were helpful for this research project. i.e. De Bello Judaico (The Jewish War) Vol. 1. 107-119 and Antiquitates Judaicae (Jewish Antiquities) Vol. 13, 399-432. A study of these two texts relates that Salome Alexandra officially succeeded to the throne from the former king and that this sensational transfer of power was achieved relatively peacefully without any opposing resistance or threats (BJ Vol.1. 107 and AJ Vol. 13, 407). This research paper has analyzed the two documents from Josephus and has tried to approach the reign of Queen Salome Alexandra according to the basis of this analysis. Accordingly, this analysis verifies that she was officially designated queen by the former king. This same analysis also throws light on another case, which happened before the reign of Queen Salome Alexandra. The wife of John Hyrcanus had been designated to succeed her husband as queen (but she was murdered before her enthronement). Through research on her marriage. her close relationship with the Pharisees and her ability to rule, this study tries to pursue Queen Salome Alexandra s individual tracks, which were left in Jewish history. This study also examines the Jewish laws and relationships concerning succession and inheritance as found in the Old Testament and compared them to her situation. The above themes confirm that the situation of Salome Alexandra is a reflection of a general trend at that time of a gradual evolution in the elevation of the social position of women. Concerning this elevation of the official status of women, there are also indications of the influence of and connections to the strong political power of women achieved during the Egyptian Dynasty of Ptolemy.

      • 잠언 1~9장의 ‘אשה ןרה’와 ‘זכריה’

        김혜윤(Kim Hye yune) 신학과사상학회 2009 가톨릭 신학과 사상 Vol.- No.63

        Ever since G.Bostrom presented his study bringing to attention ‘אשה ןרה’ and ‘זכריה’in Proverbs in 1935, increasing interest in these women has continued by other scholars. In order to approach more concretely the examination of their identities, each name which could be translated as ‘foreigner’ ‘alien’ ‘stranger’, or ‘unacquainted’, this study should proceed with three following inquiries: 1. When ‘אשה ןרה’ and ‘זכריה’appear together, should we consider them as an appositional expression of one woman or as plural expressions of two distinct persons? 2. Could we find in the texts where these women repeatedly appear in Proverbs 1~9, consistent structure and coherent contents? 3. If consistent continuity is (consistent structure and coherent contents are) found, how could we determine their identities? The analysis of structure and contents of each text where ‘אשה ןרה’ and ‘זכריה’appear, shows that ‘אשה ןרה’ and ‘זכריה’ are not two distinct persons (plural concept), rather they are appositional expressions of one same person. In addition, the four texts that contain ‘אשה ןרה’ and ‘זכריה’carry a uniform motif. All these texts express the motif that has power to allure (2,16; 5,3; 6,24; 7,5) and they all (2,17; 5,12~13; 6,20~23; 7,1~4) are connected with teachings, instructions, and the Torah, and her allure, which is the ‘way that leads to death’(2,18~20; 5,5~6, 7,25~27) are mentioned almost. These facts prove that the information about this woman develops with very uniform structure and coherent contents. Each text that contains ‘אשה ןרה’ and ‘זכריה’does not introduce two different women, but rather, it conveys one same person and the same theme within the uniform structure and coherent contents. From this line of thought, we can conclude that it is appropriate to translate both names into same word each time. Lastly, the examination of contexts as a whole and the analysis of structure of each of the four texts within Proverbs 1~9 shows that these texts never concretely and actually regards this woman as a foreigner. Instead, it is appropriate to consider ‘אשה ןרה’ and ‘זכריה’as allegorical and symbolic expressions used in order to warn against any erroneous or foreign doctrines that could threaten Jewish traditional teachings and the covenant made with God. 1935년 보스트룀이 잠언에 등장하는‘אשה ןרה’와 ‘זכריה’에 주목하는 연구를 발표한 이후, 이 여인(들)에 대한 관심은 여러 학자들의 연구를 통해 이어져 왔다. 본 연구는 ‘외국 여인’ ‘이방 여인’ ‘낯모르는 여인’ ‘낯선 여인’ 등으로 해석될 수 있는 이 여인(들)의 신원규명에 보다 구체적으로 접근하기 위하여 다음 세 가지를 제안하면서 진행되었다. 1) ‘אשה ןרה’와 ‘זכריה’가 함께 동반되는 경우 이를 한 여인에 대한 동격적 표현으로 볼 것인가, 아니면 서로 다른 두 존재에 대한 복수적 표현으로 볼 것인가? 2) 잠언 1~9장에서 반복적으로 등장하는 이 여인(들) 안에서 구조적 일관성과 내용적인 연계성이 발견되는가? 3) 만일 일관적 연계성이 발견된다면 이 여인의 신원을 어떻게 규명할 수 있겠는가? ‘אשה ןרה’와 ‘זכריה’가 등장하는 각각의 본문들에 대한 구조적이고 내용적인 분석은 ‘אשה ןרה’와 ‘זכריה’가 서로 다른 존재를 가리키는 복수 개념이 아니라 한 존재에 대한 동격 표현이라는 점을 밝혀주었다. 또한 ‘אשה ןרה’와 ‘זכריה’가 포함된 네 개의 본문들은 모두 일정한 모티브들을 갖고 있었는데, 모두 현혹하는 ‘말’이라는 모티브를 공유하고 있었고(2,16; 5,3; 6,24; 7,5), 교훈, 가르침, 토라와도 연결되어 있었으며(2,17; 5,12~13; 6,20~23; 7,1~4), 그녀의 유혹이 ‘죽음에 이르는 길’이라는 점도 대부분 언급되고 있었다(2,18~20; 5,5~6; 7, 25~27). 이러한 내용들은 이 여인에 대한 잠언 1~9장의 보도가 매우 일관된 구조와 내용적 연속성 안에 전개되고 있음을 확인시켜 준다. 즉 ‘אשה ןרה’와 ‘זכריה’가 등장하는 각각의 본문들은 서로 다른 여인을 개별적으로 소개하기보다, 일관적인 구조와 내용적 연계성 안에서 하나의 고정된 주제를 전하고 있다고 볼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אשה ןרה’와 ‘זכריה’는 새 번역의 경우처럼 매번 같은 단어로 번역하는 것이 적절하다는 결론에 이르게 된다. 마지막으로 1~9장 전체의 맥락 고찰과 개별적인 네 본문들에 대한 구조분석은 이 본문들이 이 여인을 단 한번도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외국 여인으로 간주하지 않았음을 드러내 준다. 오히려 ‘אשה ןרה’와 ‘זכריה’는 유다인들의 전통적 가르침이나 하느님과의 계약을 위협하는 그릇되고 낯선 가르침을 경고하기 위해 적용된 은유적이고 상징적인 표현으로 간주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하겠다.

      • KCI등재

        쿰란과 여성: 문서적 근거를 통해 재구성한 공동체적 지위

        김혜윤(Kim, Hye Yune) 광주가톨릭대학교 신학연구소 2013 神學展望 Vol.- No.183

        1947년 쿰란에서 문서들이 발견되고, 1955년『공동체 규칙서』가 발표되면서 이 공동체는 여성이 포함되지 않았던 독신 남성 공동체로 간주되어 왔다. 그러나 쿰란 발견 50주년을 즈음하면서 이러한 인식은 근본적인 변화를 맞게 되는데, 이는 슐러(E. Schuller)를 중심으로 한 일련의 연구자들이 이룩해낸 성과였다. 이들은 문서들이 제시하는 내용적 근거들과 고고학적 증거들을 통해 여성도 쿰란 공동체의 실제적 구성원이었음을 주장하였고, 이러한 이해는 2000년을 넘어서면서 더욱 확고히 정착하게 된다. 본고에서 고찰된 본문들은, 쿰란의 여성들도-남성들의 영향력에 비한다면 상대적으로 미소하거나 제한된 것이기는 하였지만- 결코 무시되거나 폄하될 수 없는 사회적 위상과 기능을 가지고 있었음을 분명히 드러내준다. 쿰란의 여성들 중 몇몇은 “어머니들”(4Q270), “진리의 딸”(4Q502), ‘여성 원로들’(4Q502), “신임받고 식견있는 여인들”(4Q271), “신임받는 여인들”(4Q159)등의 명칭으로 불렸고, 이러한 신원에 상응하는 특별한 지위를 공동체 내부에서 행사했던 것으로 보인다. 이들은 남성 중심의 지배 체제 안에서도 고유한 기능과 지위를 가지고 정치?사회적 기능을 실행한 것으로 보이며, 이는 동시에 여성들이 ‘공동체의 교육’에서 소외되지 않았음을 암시한다(4Q271, 4Q159, 4Q502, 1QSa i 1-5, 11). 또한 4Q271 4 ii 10-12는 여성 스스로가 자신이 발한 맹세와 서원의 주체일 수 있었으며, 이 서원이 남성에 의해 함부로 무효화되거나 손상될 수 없었음을 명시한다. 4Q159 8-10과 4Q271 3 13-15에서는 여성의 처녀성이 함부로 모독되거나 폄하되는 일이 없도록 하는 공적 검증 시스템이 소개되는데, 이때 공동체가 전문성을 가진 요원으로 임명한 이들 역시 여성들이었다. 또한 여성은 공동체의 정식 구성원으로서 온전한 기능과 역할을 수행한 것으로 보이고(4Q266 8 i 6-9, 1QSa ii 4-8, 1QM Ⅶ 3-4), 공동체의 의회에도 참석하여 남성의 율법 규정 실행 여부를 증언하는 역할을 했다(1QSa i 11). 더욱이 4Q266 10 Ⅰ 7-9에는 남성 보호자가 없는 여성을 공동체가 경제적으로 후원하는 내용이 등장하고 있어서, 여성을 보호하는 공동체의 배려도 파악할 수 있다. 이러한 증언들은 적어도 쿰란 공동체가 여성을 공동체의 통치와 지배에서 배제시키지 않았다는 것을, 오히려 당시 유다 사회의 중심 규범이었던 구약의 율법보다 더 진보적이고 민주적인 전망에서 여성을 이해하고 있었음을 알려준다. Ever since the discovery of the documents in Qumran in 1947 and the publication of the Rule of Community in 1955, this community had been thought to be one exclusively of celibate men, with no women members. However, around the time of the fiftith anniversary of the discovery of Qumran, that understanding has taken a fundamental turn as result of research by scholars, especially by the central figure of scholar Eileen M. Schuller. Based on evidences within the documents and archaeological evidence, they assert that women also were actual members who were part of Qumran community. This understanding has been established more firmly since the year 2000. The texts found in this study clearly show that women in Qumran had a social place and role -even though meager and limited compared to the influence of men- that cannot be ignored or underestimated. Among the women in Qumran, several were called “mothers”(4Q270), “daughter of truth”(4Q502), “female elders”(4Q502), “trustworthy and knowledgeable women”(4Q271), “trustworthy women”(4Q159), etc.; It appears that they carried out within the community duties that correspond to the special positions they held. Even though it was a society dominated by men, it seems that they had their proper role and position, and thus performed political and social functions. This suggests that women were not excluded from the ‘common education’(4Q271, 4Q159, 4Q502, 1QS<SUP>a</SUP> i 1-5, 11). Also 4Q271 4 ii 10-12 states clearly that a woman herself could be entitled to make her own oath and vow, and that this vow could not be annulled or thwarted by men without good reason. In 4Q159 8-10 and 4Q271 3 13-15 an official inspection system to protect any defilement or depreciation of women’s virginity was introduced, and here those appointed by the community for their expertise were included also women inspectors. It seems that women, as formal members of the community, played their proper role (4Q266 8 i 6-9, 1QS<SUP>a</SUP> ii 4-8, 1QM Ⅶ 3-4) and they also participated in community meetings and acted as witnesses of whether or not male members practiced the Mosaic law (1QSa i 11). Moreover, in 4Q266 10 i 7-9 we could see the community’s consideration of protecting women with the texts related to the community’s financial support for those women without men who supported them. This evidence show that, at least, Qumran community did not exclude women from the community’s government and ruling positions, but actually that they had an understanding of women in a more progressive and in a more democratic manner than the Old Testaments Mosaic law that was the central norm of Jewish society at the time.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