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초기 러시아 한인과 한인의 좌익 민족주의:분단시대 극복을 위한 이념적 동질성과 역사적 연속성 모색

        김혜승 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터 2009 중소연구 Vol.33 No.1

        한국의 분단시대 극복을 위해 우선 요구되는 것은 남북이 공유할 수 있는 이념적 동질성과 역사적 연속성의 확인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점을 의식할 때 일제하 좌익민족주의를 주목하지 않을 수 없다. 그동안 분단 배경의 연구에서 2차 대전 처리과정의 한반도 국제정치에 주로 초점을 맞춘 것은 주체적인 관점을 소홀히 한 것일 뿐만 아니라 역사적 단절의 우려가 있다. 이러한 한계는 결과적으로 한국사 연구에서 주체성뿐만 아니라 객관성도 결여하게 되는 연구의 문제점을 드러낸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주체적 관점에서 공유할 수 있는 역사적 현실을 확인하기 위해 초기 러시아 한인의 좌익민족주의운동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러시아 한인은 볼셰비키혁명 후 인적 지역적 기반을 제공하며 한국 좌익민족주의에 중요한 역사적 배경이 됐기 때문이다. 일제하 러시아에서 한인민족주의는 코민테른과 직접 교류하며-이념적으로, 또 운동에 있어서도-좌익민족주의를 추진하며, 러시아 정부와의 협조와 교류 속에서 주체적으로 운동을 추진하였다. 이에 따라 ‘해방’과 ‘독립’이 본질적 과제로 인식된 식민지 한국민족주의에 수용되며, 볼셰비키와의 관계에서계급문제라는 사회주의의 한계를 극복하고 있었다. 이러한 극복이 가능했던 것은 식민지 한국의 역사와 사회주의 이념의 상호작용 속에서, 그리고 러시아정부의 국내적 외교적 정책의 급격한 변화 속에서도 한인 좌익민족주의자들의 민족문제에 대한 ‘객관적’ 상황파악과 ‘주체적’ 인식 사이의 균형이 이루어졌기 때문이었다.

      • KCI등재후보

        동학농민운동의 정치학적 의의 -국제정치 및 국내정치와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김혜승 동학학회 2007 동학학보 Vol.11 No.2

        The Donhak started in the 1860s with the ideas of ‘building up the nation and providing the people welfare, conformity of heaven and man’. The Donghak’s stance had later taken the forms of national independence in the face of foreign encroachment and equality amongst people of all social classes. Donghak ideology and organization had been further developed by combining Korean nationalism with the peasant rebellions. It was sufficiently noticed that modern Korean nationalism had developed with popularization by the Tonghak peasant movement. 동학정치사상은 人乃天 평등사상을 기초로 이념과 조직을 제공함으로써 조선조 농민운동에 에너지를 부여했으며 운동의 진전과정에서 그 사상을 구체화, 체계화하였다. 특히 집강소체제 하에서는 통치의 주체로서 스스로 인식한 과제를 전개하여 그 정치적 가능성을 현실화시켜주었다는 의미가 있다. 동학정치사상에 의해 한국민족주의는 민중에 의한 민족주의운동의 역사가 전개되었다.

      • KCI등재

        19세기 영국의 전염병과 여성의 돌봄 노동 -‘여성위생협회’의 활동을 중심으로-

        김혜승 영국사학회 2022 영국연구 Vol.47 No.-

        In nineteenth-century England, epidemic diseases such as cholera, typhus, typhoid, measles, and smallpox swept through the country. This was due to the dense population of manufacturing towns which was led by industrialisation and urbanisation. As the sanitary conditions of towns became a social problem, a series of public health acts were legislated to ameliorate the situation. Insufficient reach of the acts to individual households, sanitary conditions of working-class families were at great risk of exposure to infectious diseases. Thus, the improvement of their conditions was an urgent issue not only for individual families but also for the whole society. Established in London 1857 as a substantially charitable society of middle-class women, the Ladies’ Sanitary Association endeavoured to improve sanitary conditions of working-class home. According to its initial “aims at the diffusion of Sanitary Knowledge among all classes,” the association published tracts, provided lectures and classes, ran libraries, and visited individual houses to deliver sanitary knowledge. Focusing on sanitary conditions of individual households and concern about infant mortality, this research explores that the ideology of gender division of labor required women to take most responsibility for their family members’ health. During the time of infectious diseases, cleaning, ventilation, personal hygiene, and adequate nutrition became important and the association emphasised those needs to women as their duties. Examining the association’s activities, this paper investigates the past and present of women’s heavier burden for housework and care work, especially in the period of epidemics. 19세기 영국에서는 공업화와 도시화, 인구 밀집으로 인해 콜레라나 티푸스, 홍역, 천연두 등의 전염병이 일상화되어 도시의 공중위생을 개선하기 위한 법률이 잇따라 제정되었다. 한편 그러한 법의 영향이 미치지 않는 개별 가정의 열악한 위생 문제 역시 개인의 보건문제를 넘어 중요한 사회적 과제였다. 1857년 런던에서는 사회적 과제로서의 개별 가정의 위생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중간계급 여성들을 중심으로 자선 활동의 성격을 띠는 ‘여성위생협회(Ladies’ Sanitary Association)’가 설립되었다. “모든 계급에 위생에 관한 지식을 확산시키기 위하여” 협회는 위생 지식에 관한 소책자의 발행, 강연회·강습회의 개최, 위생 관련 도서실의 운영 등과 함께, 가정 방문 활동을 통해 각 가정에 위생 지식을 직접 전달해 나갔다. 본 연구에서는 개별 가정의 위생 문제와 영유아 사망률의 문제를 중심으로, 19세기 영국에서 가족 구성원의 보건에 대한 책임이 성별 역할 분담에 대한 고정관념에 기반해 여성에게 주로 요구되고 있던 점에 주목한다. 전염병이 만연하던 시대에 ‘여성위생협회’는 각 가정에 위생 지식을 직접 전파하며 청소나 환기, 개인 위생, 적절한 영양 섭취 등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해 나갔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여성위생협회’의 활동을 검토함으로써 전염병이 확산하는 시기에 돌봄 노동에 대한 의무가 여성에게만 불균등하게 요구되는 문제의 역사성과 현재성에 대해 고찰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