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주생전(周生傳)>의 사랑, 그 상대적 인식의 서사

        김현양 열상고전연구회 2008 열상고전연구 Vol.28 No.-

        <주생전(周生傳)>은 ‘상대적인 인식’을 바탕으로 서술된 소설 텍스트이다. <주생전>은 ‘주생(周生)과 배도(俳桃)의 사랑’[조건적 사랑]과 ‘주생과 선화(仙花)의 사랑’[진정한 사랑]을 복합적으로 서술하면서, 이 두 사랑을 위계화하지 않고 있다. 조건적인 사랑도 사랑이며 진정한 사랑도 사랑이라는 것이 <주생전>의 상대적인 서술시각이다. ‘주생과 선화의 사랑’은 진정한 사랑이지만 불온한 사랑이다. 이 불온한 사랑은 배도에 의해 대상화되면서 ‘주생과 배도의 사랑’과 대립한다. 이 서사적 대립은 중세적 질서[이념, 제도]와 탈중세적 지향[불온한 욕망] 사이의 대립이기도 한데, 이 과정에서 중세적 질서의 우위를 선언하거나 강요하지 않는다. 현실의 지배이념을 상대화 하고 있는 것이다. 이는 중국의 전기(傳奇) 작품인 <곽소옥전(藿小玉傳)>이나 화본(話本) 작품인 <연옥관음(碾玉觀音)>의 서술시각과 다른 면이다. <곽소옥전>에서는 ‘배신’을 비판하며, <연옥관음>에서는 ‘불온한 욕망’을 경계하고 있는데, 이는 현실의 지배이념을 절대화하는 시각이다. <주생전>의 ‘상대적 인식’―그 서술시각은 ‘소설’ 성립의 바탕이 된다. 자아와 세계가 상호 우위에 입각해 대결하는 소설의 서사가 가능하기 위해서는 또 다른 주체[세계]를 주체로 용납해야 하는데, 이는 ‘상대적 인식’을 바탕으로 가능한 것이기 때문이다. <Jusaengjun(周生傳)> is a novel text which is described a relative recognition. <Jusaengjun> describes ‘Love of Jusaeng and Sunhwa[True love]’ and ‘Love of Jusaeng and Baedo[Conditional love]’ complex, these two loves does not rank. Also the love which is conditional is love and is a description sight whose <Jusaengjun> is relative also for the true love to be love. ‘The love of Jusaeng and Sunhwa’ is a true love is the love which destroys an order. This love which destroys an order is opposed in compliance with Baedo when becomes the object, from ‘Love of Jusaeng and Baedo’. Like this narrative opposition is an opposition between of medieval order[ideology and system] and post-medieval intention[desire which destroys an order]. From process of narrative opposition, The high position a medieval order does not become declaration and is not exacted. We makes recognize relatively the dominative ideology of actuality. This is a view of narration of <Gwaksookjeon(藿小玉傳)> or the <Yeonokgwaneum (碾玉觀音)> is visual other aspect. <Gwaksookjeon> criticizes ‘betrayal’, and <Yeonokgwaneum> is watching the desire which destroys an order. This is viewpoint that absolutely recognize an actual dominant ideology. The relative recognition of <Jusaengjun> is the base that a novel genre comes into being works. The narrative showdown that the self and the world face tightly each other shall permit another subject to the subject so that it is possible. The reason is as this is possible if text base on relative recognition.

      • KCI등재

        <최척전(崔陟傳)>, ‘희망(希望)’과 ‘연대(連帶)’의 서사 -‘불교적 요소’와 ‘인간애’의 의미층위에 대한 주제적 해석

        김현양 열상고전연구회 2006 열상고전연구 Vol.24 No.-

        조위한(趙緯韓, 1567-1649)에 의해 1621년에 창작된 <최척전(崔陟傳)>은 탁월한 사실주의적 성취를 보여주는 17세기 소설로 높이 평가되고 있는 작품이다. 그런데 기존 연구에서는 ‘전란의 고통과 주체의 극복 의지’를 주제로 내세우면서 ‘불교적 요소’와 ‘인간애’의 의미 층위를 주제 해석에서 배제하거나 부차적인 것으로 파악했다. 그렇지만 ‘불교적 요소’와 ‘인간애’의 의미 층위를 주제 해석에서 배제하거나 부차적인 것으로 파악하는 것은 온당하지 못하다. <최척전>에서 ‘불교적 요소’와 ‘인간애’는 고통을 극복하고자 하는 ‘주체의 의지’를 서사적으로 추동하는 핵심적인 동력에 해당된다. <최척전>의 불교적 요소―‘장육불(丈六佛)의 음조(陰助)’는 고통 속에서 발견한 ‘희망’의 불빛이며, 이를 바탕으로 주체의 의지가 추동된다. <최척전>의 불교적 요소는 ‘자비(慈悲)’를 바탕으로 ‘희망’을 말하려고 하는 것이지 ‘운명론(運命論)’을 말하려고 하는 것이 아니다. <최척전>은 ‘인간애’를 통해 전란의 고통을 극복하는 방식으로서 ‘연대(連帶)’를 말하고자 한다. 동아시아 여러 나라, 여러 사람들의 무차별적 도움으로 주인공에게 가해진 역사적 고난이 극복되는 바, 이들의 도움은 ‘인간애’를 바탕으로 한 일종의 ‘연대’라 할 수 있다. <최척전>의 ‘인간애’는 국가[혹은 민족]의 경계를 가로지르며 실현되고 있다. <최척전>의 인간애는 아무런 조건도 차별도 존재하지 않는 무연자비(無緣慈悲)의 경지에 해당된다고 할 수 있는데, 이 무연자비의 ‘인간애’는 작품에서 울려 퍼지는 핵심적인 주제적 의미이며, 창작의식의 요체(要諦)이다. 동아시아 전란에 의해 고통 받던 중민(衆民)의 삶을 바라보면서, 인간애를 바탕으로 한 동아시아인의 연대(連帶)가, 전란의 고통에서 벗어날 수 있는 하나의 희망임을 <최척전>은 말하고 있는 것이다. Choicheok-jeon[A Story of Choi Cheok], written by Cho Weehan (1567- 1649) in 1621, is evaluated as a representative seventeenth century novel which shows the great achievement of realism. By proposing the sufferings of the war and the protagonist's will to overcome those sufferings as the main theme, the previous studies of the novel have put 'Buddhist element' and 'humanitarianism' aside as secondary or even excluded them in their discussions of themes, which is not right. In Choicheok-jeon, 'Buddhist element' and 'humanitarianism' are the central forces to operate the protagonist's will to overcome sufferings in the aspects of the narrative. The Buddhist element of Choicheok-jeon ㅡthe Buddha’s revelation in dreamㅡis the light of hope found in the suffering, and based on this the subject's will operates. It is to speak of 'hope' based on 'mercy', not of 'fatalism'. Choicheok-jeon wants to speak of 'solidarity' as a way to overcome the sufferings of the war through 'humanitarianism'. The protagonist's historical sufferings are overcome by unconditional assistance of many people from several countries in East Asia, and their help can be viewed as a kind of 'solidarity' based on 'humanitarianism'. Humanitarianism of Choicheok-jeon is realized across the boundaries of the nation. It can be said as a level of indifferent mercy which doesn't have any condition nor discrimination. And this humanitarianism of indifferent mercy is the main thematic significance which echoes throughout the whole novel, and also the hinge of the creating consciousness. Illuminating the lives of the people suffering from the war in East Asia, Choicheok-jeon is telling us that the solidarity of the East Asians, based on humanitarianism, is the only hope to get out of the sufferings of the war.'

      • KCI등재

        「만복사저포기」의 서사적 특성과 장르적 위상

        김현양 洌上古典硏究會 2002 열상고전연구 Vol.15 No.-

        This paper explores the epic characteristics of Manboksajeopogy by comparing and contrasting with related works. It also purposes to confirm the genre status of the smae text. As for the epic characteristics, Manboksajeopogy shows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at the same time with the fables (or works considered as fables). One of the differences lies in that 'the object' of the text isn't clearly distinguished from 'the subject', which prevents us from ungerstanding the relationship of each other as that of either superiority or confrontation. The two complementary characters of Manboksajeopogy, which are no other than the split forms of one ego sharing homogeneous consciousness and action, reveal and act out their thoughts alongwith the epic time in the text. Thus the epic characteristics of Manboksajeopogy place the text neither in 'the fable' nor in 'the novel' as a genre. The significance of this paper lies in prasping a new perspective in reading epic literature, from the late age of Shilla to the early period of Yi-dynasty, which proceeds us beyond the limited perspective confined in the 'fable or novel' alternation. To enlarge the scope of study and guarantee the propriety and effectiveness of the new perspective, would be the work yet to be fulfilled.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