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생 연애에서의 만족과 자아 성장

        김한결(Kim Hangyeol),오세일(Oh Seil) 서강대학교 생명문화연구소 2017 생명연구 Vol.44 No.-

        Love, intimacy, and dating are very important themes and tasks for youth, in particular, university students. There were much research on love and dating of university students from the perspectives of psychology, culture or gender studies; however, most research lacked interactional implication of dating couples. While psychological studies mainly focused on individual satisfaction, they could not shed light on the problem of self-growth. Therefore, this research aims at empirical explanation on relations between relational-self-oriented love types and authenticity-reflexivity as internal capacity for building up relations. This research collected surveys from 368 students at C University in Seoul. Statistical findings are quite interesting. Current dating does not mechanically guarantee self-growth. Regarding love-types, only ‘Fog style’ which indicates dissolving or sacrificing oneself for his/her lover, i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love-satisfaction and self-growth; other types did not appear meaningful. In terms of internal capacity, authenticity stemming from one’s emotion and motif i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emotional and problem-solving communication; it does not show significant relation to self-growth. On the contrary, reflexivity as mental feed-back capacity for changing one’s attitudes, values, and behaviors is significantly related not only to emotional communication but also to self-growth. In addition, self-esteem on appearance is related to love-satisfaction while self-esteem on performance is related to self-growth. In sum, this paper examined various relational implications of love and dating for university students. It suggests that self-sacrifice, reflexivity and self-esteem on practices are significant elements for self-growth of lovers. 현대사회에서 연애는 중요한 연구주제로 부각되고 있다. 특히 대학생들에게 연애는 발달과업으로서의 성장과정이자, 동시에 불안한 경쟁사회에서 안정감을 제공하는 친밀한 관계로서 중요한 화두이다. 그런데 심리, 문화 혹은 젠더 차원에서 진행된 기존의 연구들은 연애 중인 행위자들 간의 ‘상호작용’ 영역에 관해서는 깊이 있게 분석하지 못하였다. 특히 심리학적 연구는 연애 만족에 치중하여 분석하는 경향이 강하였기 때문에, 연애가 자아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관계적 자기에 기반한 연애 유형’, ‘진정성’과 ‘성찰성’, ‘자존감’의 개념에 근거하여 행위자 간의 상호작용으로서 연애를 이해하고, 이들이 ‘연애 만족’과 ‘연애를 통한 자아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 소재 C 대학의 대학생 368명으로부터 연애에 대한 설문을 수집하였다. 그 결과, 현재 연애의 여부는 연애 만족과는 정적 관련이 있지만, 연애를 통한 자아 성장과는 유의미한 관련이 없다. 연애 유형에 따른 연애 성향의 경우 연애 만족과 자아 성장 둘 다와 유의미한 관계를 보인다. 특히 (자기희생의) ‘안개성향’은 다양한 차원에서의 연애만족 뿐 아니라 자아 성장과도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지만, 껍질성향, 난장이성향, 산만성향은 대개 부적 관계를 보인다. 한편, 감정적 자기표현 차원에서 수행되는 ‘진정성’은 정서적 의사소통 만족 및 문제 해결 의사소통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주지만, 연애를 통한 자아 성장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 한다. 다른 한편, 자신의 의식, 감정, 행위 등을 반추하고 재구성함으로써 수행되는 ‘성찰성’은 정서적 의사소통만족과 자아 성장에 정적 영향을 미친다. 끝으로 외모 자존감이 전반적 연애 만족과 정서적 의사소통 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수행 자존감이 자아 성장과 정적 관련이 있다. 요컨대, 본 논문은 대학생들의 연애에서의 만족과 자아 성장에는 진정성과 성찰성의 요인이 별개로 작용하고 있으며, 특히 연애에서 자아 성장을 위해서는 자기희생과 수행에 대한 자신감 그리고 성찰성이 중요하다는 점을 제기한다.

      • KCI등재

        대학생의 진로장벽과 진로준비 행동의 관계에서 진로목표 특성을 통한 마인드셋의 조절된 매개효과

        김한결 ( Kim Hangyeol ),정현희 ( Chung Hyunhee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2 교육문화연구 Vol.28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진로장벽과 진로준비 행동의 관계에서 진로목표 특성을 통한 마인드셋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D시와 K도 소재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242명을 대상으로 진로장벽 척도, 진로목표 특성 척도, 진로준비 행동 척도, 마인드셋 척도를 포함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을 위해 SPSS 25.0 프로그램과 PROCESS macro의 model 4와 7을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진로목표 특성은 진로장벽과 진로준비 행동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마인드셋은 진로장벽과 진로목표 특성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진로장벽과 진로준비 행동의 관계에서 진로목표 특성을 통한 마인드셋의 조절된 매개효과는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진로장벽을 높게 지각하는 대학생에게 성장 마인드셋의 증진을 통해 구체적이고 도전적인 진로목표를 설정할 수 있도록 돕는 개입이 효과적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한계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verifie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mindset through characteristics of career goal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barriers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Participants were 242 undergraduate students, and they responded to an internet survey including the career barriers, characteristics of career goal,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mindset scales. SPSS 25.0 program and Models 4 and 7 of the PROCESS macro were used for the analysis. This study deriv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characteristics of career goal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barriers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econd, mindset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barriers and characteristics of career goal. Thir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mindset through characteristics of career goal was confirm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barriers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 results suggest that in career counseling for college students who perceive high career barriers, it can be effective to help them set specific and challenging career goals by promoting growth mindset.

      • KCI등재

        청소년 진로적응력의 유형 분류 및 예측변인 탐색

        김한결 ( Kim¸ Hangyeol ),정현희 ( Chung¸ Hyunhee ) 한국청소년학회 2023 청소년학연구 Vol.30 No.7

        본 연구는 구성주의 진로이론의 진로적응모형을 바탕으로 청소년 진로적응력의 유형을 분류하고, 이를 예측하는 변수를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KCYPS 2018 중1 패널의 4차년도 데이터를 활용하여 잠재프로파일분석및 랜덤포레스트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진로적응력의 잠재프로파일은 ‘우수’, ‘보통’, ‘부족’의 세 개 집단으로 분류되었다. 둘째, 진로적응력의 수준을 예측하는 상위 5개 변수는 학업무기력, 주의집중부족, 사회적위축, 우울, 자아존중감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요도 상위 5개 변수의 부분의존성을 확인한 결과 학업무기력, 주의집중부족, 사회적위축, 우울은 진로적응력과 부적인 관계가 있었고, 자아존중감은 진로적응력을 정적으로 예측하였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 진로적응력 증진을 위한 실질적 방안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s to classify types of adolescents’ career adaptability and to explore the predictive variables of career adaptability based on the career adaptation model of career construction theory. To achieve this goal, latent profile analysis and random forest were conducted using panel data from KCYPS 2018.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latent profile of career adaptability was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excellent”, “average”, and “poor”. Second, the top 5 variables predicting the level of career adaptability were academic helplesness, lack of attention, social withdrawal, depression, and self-esteem in order. Third,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partial dependence of the top 5 variables of importance, academic helplessness, lack of attention, social withdrawal, and depression were negatively related to career adaptability, and self-esteem positively predicted career adaptability. Based on these results, practical implications to enhance Adolescents’ career adaptability were discussed.

      • KCI등재

        대학생은 어떻게 ‘을’의식을 갖게 되었는가?

        조옥라(Oakla Cho),임현지(HyunJi Lim),김한결(Hangyeol Kim) 한국문화사회학회 2018 문화와 사회 Vol.26 No.1

        이 연구는 대학생 12명에 대한 심층 면담을 통하여 대학생들이 스스로의 지위를 어떻게 인식하게 되었는가를 분석하려는 것이다. 이들의 면담 자료들은 현대 한국 사회에서 청년층이 얼마나 불안정한 위치에 있는지를 잘 보여주고 있다. 이 불안정한 위치를 이들 대학생들이 말하는 아무 것도 자신의 의사대로 할 수 없으며, 결코 넘을 수 없는 한계를 가정하는 ‘을 의식’으로 압축했다. 우리 연구자가 주목한 것은 한국과 같은 학력 경쟁 사회에서 무사히 대학에 진학한 대학생들이 다시 무한 경쟁으로 몰리면서 자신의 미래 희망을 재조정하며 다시 출발선상에서 시작하려는 과정에 있다. 어떻게 대학 진학을 통하여 자신의 길을 찾아갈 수 있다고 믿었는지, 그리고 그 믿음과 현실의 괴리를 어떻게 해석하고 적응하고 있는지를 심층면담을 통하여 파악하려고 했다. 대학이 보장해줄 미래를 기대했던 대상자들은 대학 진학 이후 능력주의 규범이 통용된다고 믿던 이전의 세계와 단절된다. 스스로는 경제적 자원의 부족으로 할 수 없는 것들을 부모의 경제력을 통해 할 수 있는 이들은 ‘갑’으로 자신과 비교된다. 또한 타고난 환경이 어떻게 능력으로 변환되는지에 대해 대상자들은 나름의 메커니즘을 제시하고 있었다. 이들에게 ‘갑’은 막연한 추상에 가까운 비교 대상이지만, 생각과 행동에 압력을 가하는 실재로서 존재한다. 대상자들은 한계 지어진 경쟁으로 세계를 다시 재구성하며 ‘갑’을 결코 넘을 수 없다며 ‘을’로서 스스로를 인식한다. 이들은 부당하게 느껴지는 ‘갑-을’ 질서에 저항하지 않고, 비관적인 미래 전망으로 인해 좌절한 채 패배주의에 빠지는 대신, 현실에 대처하고자 의식적 합리화를 시도한다. 즉, 대상자들은 내면화의 결과가 아닌, 의식적인 선택을 통해 노력하면 ‘한계 아래까지는’ 갈 수 있다는 수정된 버전의 능력주의를 가지고 ‘을’로서 살아가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공고화 되어가는 계층 문화를 드러내면서 동시에 약자들과의 공존이 제한될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This paper deals with the stories and narratives of 12 university students who have strengthened their perception of self as ‘Eul(party B or the subordinate)’ through in-depth interviews. Interviewees, who were successors in highly competitive entrance examination to prestigious universities, had expected to be a successor in society as well through their qualification as a college graduate. However they soon realized that they had to start all over again for job market. The rule in this new world seemed to force them being cut off from the previous one, where meritocracy through examination was clear and detailed as it marked as score each time. Students seem to be keenly aware of the lack of social capital of their parent in job market. They recognize the socio-economic power of a family for a job competition. Family background seems to play a crucial role to accumulate all the ‘specification’ for a job. For them, “Gap(party A or owner)” is an symbolic figure who can to do things by himself or herself using parents’ resources. Often ‘Gap’ takes advantage in his or her background or connections, while most students of ‘Eul’, would be left out in job market. Even though “Gap” looks like vague imagination, it influences interviewee’s thinking and acting as it is. Interviewees reconstitute the world as space of competition with limitation and think that they cannot beat ‘Gap’. Without resistance to this unjust situation, they rather try to adapt to reality through conscious rationalization. As a result, they deliberately choose a modified version of meritocracy, which is ‘Effort makes success with limitation’. This rationalization process among focused students states the solidification of stratification system in Modern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