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우울수준에 관한 종단연구

        김표민(Kim, Pyo Min)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16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44 No.4

        본 연구는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우울변화궤적에 따른 잠재계층을 도출하고, 잠재계층을 유의미하게 예측하는 변인을 검증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영유아기 자녀(만 0~3세)를 둔 어머니들로서 한국아동패널 1~4차년도 조사 참여자 2,100명이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잠재성장혼합모형으로 도출한 잠재계층은 총 4개 집단이었다. 각 집단의 특성에 따라 ‘증가형’(c1, 32.1%) 집단, ‘안정형’(c2, 51.2%) 집단, ‘감소형’(c3, 14.4%) 집단, ‘급감형’(c4, 2.3%) 집단으로 명명하였다. 둘째, 어머니 내적 변인 중에서 양육스트레스와 결혼만족도, 출산 전 우울수준, 자아존중감이, 외적 요인 중에는 아버지의 양육 참여와 비규범적 생활사건, 사회적 지지가 잠재계층을 유의미하게 예측하였다. 통제 변인은 어머니 연령이 유의미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사회복지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carried out to derive latent class depending on trajectories of change in depression of mother who has infants and preschool children and also to verify variables which predict each latent class significantly. The subjects were 2,100 mothers with infants (age 0~3), who joined the 1st~4th year survey by Korea Infant Panel, which result is as follow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four latent classes in total derived from Latent Growth Mixed Model. They were named as ‘increased type’ (c1, 32.1%) group, ‘stable type’ (c2, 51.2%) group, ‘decrease type’ (c3, 14.4%) group, ‘rapid decrease type’ (c4, 2.3%) group,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group. Second, nurturing stress, marriage satisfaction, depression level before delivery, selfesteem, among mother’s internal variables, and father’s participation in nurturing children, non-normative life event, social support among mother’s external variables, predicted latent class significantly. Mother’s age among control variable predicted latent class significantly. Based on these results, the social welfare implications were suggested.

      • 아동학대행위자 특성 및 개입에 대한 고찰 - 2019년 아동학대 주요통계를 중심으로 -

        김표민 ( Kim Pyo Min ) 한국아동보호학회 2020 아동보호연구 Vol.5 No.1

        아동학대피해경험은 인생 전반에 걸쳐 신체적·정신적·정서적 영역에서 깊은 상처를 남긴다. 2019년 아동학대 통계현황에 따르면 아동학대사례건수는 30,045건으로 전년 대비 22%의 증가율을 보였다. 특히 부모가 학대행위자인 경우가 75.6%에 달하였다는 점에서 피해자와 일상생활을 함께 해야 하는 아동에게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은 더욱 심각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학대행위자의 특성을 생태체계적 관점으로 살펴보고, 학대행위를 줄일 수 있는 개입방법을 고찰하고자 함이다. 학대행위자를 위한 접근으로 1) 개인의 생애에 대한 재정립 2) 정신적·정서적 문제 다루기 3) 가족 다시 세우기 4) 사회로 들어가기 5) 기타 내용에 대하여 제시한다. Child abuse experience leave deep physical·mental·emotional scars that last throughout the whole life. According to the 2019 statistics on child abuse, the number of child abuse cases were 30,045 which is 22% larger than the value from the previous year. Considering that 75.6% of these cases have parents as the perpetrator meaning that victimized children spend their daily lives with their perpetrator, the negative influence inflicted on children is much more severe.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observe the attributes in perpetrators of child abuse from ecosystemic perspective and investigate possible intervention methods to decrease the events of maltreatments. The study suggests following means as possible approach for the perpetrators of child abuse: 1) Reorganization of personal life 2)Mental·emotional problem solving 3)Rebuild family 4)Return to society 5)Others.

      • KCI등재

        아동기의 학대 경험이 청소년기의 자살행동에 미치는 영향

        김표민(Pyomin Kim),최원석(Wonsuk Choi) 서강대학교 생명문화연구소 2023 생명연구 Vol.67 No.-

        본 연구는 아동기의 피학대 경험이 청소년기의 자살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정 정서의 매개효과와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를 발달단계에 맞추어 초ㆍ중ㆍ고등학생 시기를 비교ㆍ분석하였다. 기존 연구가 초등학생과 중학생, 고등학생의 발달을 개별적으로 검증한 것과는 달리, 본 연구는 초등학생과 중학생, 고등학생의 발달단계별 비교를 통해, 청소년기 자살행동을 예방하기 위한 개입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연구되었다. 본 연구의 자료는 한국복지패널 10차(2015), 13차(2018), 16차(2021) 아동부가조사 자료로, 10차 때 초등학생, 13차 때 중학생, 16차 때 고등학생으로서 재학 중인 학생을 대상으로 총 1,138명(초등학생 10차: 438명, 중학생 13차: 383명, 고등학생 16차: 317명)을 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모형 분석은 PROCESS macro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보면, 첫째, 발달단계에 따른 아동기 학대 경험과 청소년기 자살행동의 관계에서 부정 정서의 매개효과를 확인한 결과, 초등학생, 중학생, 고등학생 시기 모두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발달단계에 따른 아동기 학대 경험, 부정 정서, 청소년기 자살행동의 관계에서 초등학생과 고등학생 시기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된 조절효과가 확인되었지만, 중학생 시기에서는 자아존중감 조절효과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선행연구에 근거하여 논의하였고,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기 자살행동 감소를 위한 효율적인 개입 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the mediating effect of negative emotions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esteem in the period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accordance with the developmental stage in the effect of abuse experience in childhood on suicidal behavior in adolescence. The data of this study are the data of the 10th (2015), 13th (2018), and 16th (2021) child supplementary surveys of the Korea Welfare Panel. A total of 1,138 subjects (10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438 people, 13th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383 people, 16th grade high school students: 317 people) were used for analysis. Research model analysis was analyzed using PROCESS macro.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mediating effect of negative emo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abuse experience and adolescent suicidal behavior according to developmental stage, it was confirmed that there is a mediating effect in all of the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abuse experiences, negative emotions, and suicidal behavior in adolescence according to developmental stage, the mediated moderating effect of self-esteem was confirmed in elementary and high school students, but no self-esteem moderating effect was found in middle school students. The above study results were discussed based on previous studies, and based on these results, an effective intervention plan for reducing suicidal behavior in adolescence was suggested.

      • KCI등재

        중학생의 자아개념과 진로성숙도에 관한 연구 : 진로탐색 집단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최원석(Choi, Wonseok),김표민(Kim, Pyomin) 서강대학교 생명문화연구소 2021 생명연구 Vol.59 No.-

        본 연구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중학생의 자아개념과 진로성숙도에 진로탐색 집단프로그램이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 문제를 검증하기 위한 변수들의 구성은 중학생의 자아개념과 진로성숙의 발달을 고려하여 자기 탐색과 수용과정, 진로탐색에 미치는 집단프로그램의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분석자료는 경기도에 있는 중학교의 1학년을 대상으로 2018년 3월부터 6월까지 15회기의 진로탐색 집단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사전·사후검사를 실시한 자료를 사용하여 SPSS 22.0 통계프로그램으로 양적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진로탐색 집단프로그램을 시행한 실험집단 사후는 자아개념 하위요인 중 능력자아와 사회자아를 제외한 일반자아개념과 학급자아, 성취자아, 가족자아, 정서자아, 신체자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진로탐색 집단프로그램을 시행한 실험집단 사후는 진로성숙도 하위요인 중 독립성을 제외한 계획성과 일에 대한 태도, 자기 이해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논의와 제한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confirm the influence of the career search group program on middle school students self-concept and career maturity. The composition of variables for verifying the research problem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group programs on self-exploration, acceptance process, and career search by considering the develop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self-concept and career maturity. As for the analysis data, the 15th career search group program was conducted from March to June 2018 for first graders in middle schools in Gyeonggi-do, and quantitative analysis was performed with the SPSS 22.0 statistical program using data from pre- and post-test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 post-mortem of the experimental group that conducted the career search group program was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 general ego concept, class ego, achievement ego, family ego, emotional ego, and physical ego, excluding competent ego and social ego among the sub-factors of self-concept appeared to be. Second,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lanning, attitude toward work, and self-understanding, excluding independence among the sub-factors of career maturity among the sub-factors of career maturit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discussion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presen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