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조신」과 <죽음에 관하여>를 통해 본단절과 연결의 사유

        김태림(Kim Tae Rim) 慶熙大學校 大學院 2020 高凰論集 Vol.67 No.-

        기록된 설화들은 현대에도 여전히 친숙하게 읽히지만 고정되어 있다는 단점을 가진다. 그러나 그 역사를 밟아 올라가면, 본래 구비문학의 형태로 유연함을 가지고 있는 서사였다. 고전 서사가 현대에 맞추어 다시금 변형을 추구하는 것은 구비문학의 본질을 따라가는 것이 다. 그러한 힘을 활용하여 고전 서사를 현대에 다시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은 <도깨비>(2016), <푸른 바다의 전설>(2016), <신과 함께>(2017) 등 다양한 콘텐츠로 확인되어 왔다. 즉 고전 서사가 무궁 무진한 소재를 제공하는 것으로써 의의가 있을 것임은 이미 오래 예견되어 온 것이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연구는 근본적인 서사의 정신을 고민하는 것이 아니라 해당 서사 각각의 활용만을 전제로 했다. 본고에서는 고전 서사에 내재되어 있는 고전적인 사유를 고찰하고, 그러한 사유가 현대까지 전해져 내려오고 있는지에 대하여 고찰해 보고자 한다. 그중에서도 꿈을 활용하고 환몽 구조를 취하고 있는 「조신」 설화는 이후 등장하는 몽자류 소설의 시초 역할을 하면서 유의미하게 여겨진 다. 웹툰 <죽음에 관하여>는 현대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는 웹툰 플랫 폼을 활용하여 삶에 대한 사유를 제공하는 것으로, ‘백색공간’을 활용 하여 환몽 구조와 유사한 구조를 취하고 있다. 위 두 서사는 공통점을 공유하면서도, 시대적인 특성을 반영하고 있어, 본고의 목적에 적합하다고 판단된다. 두 서사는 고전적인 ‘연결-단절’의 사유를 지니고 있다. 첫째, ‘꿈’ 과 ‘백색공간’의 공간을 활용하여 현실과 단절시키며, 능동적인 삶을 제공하고자 한다는 점에서 현실과 다시 연결된다. 둘째, 인간의 기본 적인 욕망을 배척하지 않고 특별한 공간에서 충분히 사유할 수 있도록 한다. 셋째, 사유 된 욕망을 가상적으로 실현시켜 주며, 보다 나아가 스스로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보편적인 욕망에 대하여 다루고 있음과 동시에, 개인이 ‘초월’할 수 있도록 도와 본인의 삶을 판단 하고 올바른 방향으로 영위하게 만든다는 점에서, 고전적인 사유를 공유하고 있다고 본 것이다. Classical narratives remain fixed in the modern times. However, tales were originally oral literature, and had a narrative with flexibility. Thus the classical narrative will have the power to remain in a modified form in modern times. It has long been foreseen that the use of such power to re-use the classical narrative in modern times will be meaningful in providing endless materials. However, research so far has been based on the premise that the underlying narrative spirit is not considered, but that the narrative is used as it is or with a slight variation. In this book, we would like to consider the classical reasons inherent in the classical narrative and whether such reasons have been passed down to the present day. Among them, the Josin tale, which utilizes dreams and takes advantage of the dream structure, is considered significant as it served as the beginning of a later monstrous novel. The webtoon <About Death> provides a reason for life by utilizing the webtoon platform that is actively used in modern times, and utilizes the white space to take a structure similar to the dream structure. The above two narratives share commonalities, but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the times, so they are judged to be suitable for the purpose of the original manuscript. The two narratives have reasons for the classic connectiondisconnection. First, it connects with reality again in that it wants to use the space of dream and white space to cut it off from reality and provide an active life. Second, it allows people to think fully in a special space without rejecting basic human desires. Third, it virtually realizes the desires of the deceased and allows them to make judgments on their own. In other words, they share a classic reason in that they deal with universal desires and at the same time help individuals trans to judge their own lives and lead them in the right direction.

      • KCI등재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전담강사의 학교생활 경험과 적응행동: 포토보이스

        김태림(Tae Lim Kim),이규일(Gyu Il L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4 No.11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은 정규교육과정 내 활동과 정규교육과정 이외로 운영되는활동으로 구분되어 있다. 전자의 활동(스포츠수업)은 전담강사(중학교 스포츠강사)에 의해 운영되고 있다. 현재 학교 현장 및 연구 분야에서는 스포츠강사의 자질 문제 에 대해 비판하고 있지만, 이들의 문제 상황을 이해하기 위한 노력은 미진한 실정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중학교 스포츠강사의 관점에서 그들이 직면하고 있는 문제 상황과 적응 행동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이들의 교육적 성장 가능 성을 담보할 수 있는 개선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으로 3년 이상 근무한 중학교 스포츠강사를 연구참여자로 삼아 포토보이스 기법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이들의 경험은 수업에서의 좌절, 차별적 행정에 대한 분노, 구성원으로서의 소외 로, 적응 행동은 순응하기 및 참기(보편적 행동 양식), 소극적 부정과 외면하기, 배우며 준비하기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문제 상황을 문화적·인식적·교수맥락에서 살펴보았으며, 사회생태학적 모델의 다섯 수준(개인 내, 개인 간, 조직적, 공동체, 정책 수준)에서 그 대안을 제시하였다. School sports club activities was subdivided into two major sections, activity in and out of the school curriculum. The activity in the school curriculum was named sports instruction, which was taught by instructor(sports instructor). The instructors were criticized for teaching ability, attitude toward students, and so on by teachers, however, they were hardly to seek to understand the situation that instructors faced a difficul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problem situation and adaptive behavior for instructors to confront with understanding perspective, and then to propose a few improvement plans. research method to use in the study was Photo-voice, and participants were 8 sports instructors who had worked longer than three years. The results were as followings. The core experience were categorized with frustration in the teaching , anger toward discriminative administration , estrangement from school members . And, patterns of adaptive behavior were confirmed as enduring , dismissing , learning and preparing . I proposed a few improvement plans depending on social ecological model(intra personal, inter personal, organizational, community, public policy).

      • KCI등재

        2015 개정교육과정 고등학교 국어교과서의 장애관련 내용 분석

        김태림(Kim, Tae-Rim),두희(Kim, Du-hee)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20 교육혁신연구 Vol.30 No.3

        연구목적: 본 연구는 고등학교 국어교과서의 내용을 분석하여 교과서를 통한 장애이해교육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국어교과가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2015 개정교육과정 고등학교 국어교과서 12종을 대상으로 장애 유형, 장애 관련 내용의 주제 분석, 장애인관 등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장애 유형은 건강장애가 가장 높게 분석되었으며 자폐성장애, 학습장애는 분석되지 않았다. 둘째, 장애 관련 내용의 주제 분석에서는 개인 차이와 인권 존중의 내용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어 교과서에서 개인의 차이를 인정하고 인권존중의 내용을 많이 다루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장애인관은Ⅰ차원 개인-의존적 모형이 가장 높게 분석되었다. Ⅰ차원은 장애를 개인의 문제로 보며 의료적 치료와 주변의 도움을 받는 의존적 이미지로 묘사한 사례가 다수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향후 교육과정 개편 시 고등학교 국어교과서의 장애 관련 내용은 다양한 방법으로 장애 내용을 접할 수 있도록 제시되어야 하며, 장애에 대한 잘못된 편견을 갖지 않도록 국어교과서의 내용이 개선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고등학교 국어교과서의 집필진 및 연구진들은 장애관련 내용을 선정하고 개선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장애관련 연수 등을 필수적으로 받아야 할 것이다. 그리고 학교현장에서 국어교과서를 활용한 바람직한 장애이해 및 장애인식 개선을 위한 관련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tents of Korean language textbooks in high school and present the directions of Korean language textbooks so that education on understanding disabilities through textbooks can be successfully conducted. Method: 12 types of Korean language textbooks under the 2015 revised curriculum were analyzed for high schools as types of disabilities, subjects related to disabilities, and center for the disabled. Results: First, the type of disability was analyzed the highest level of health disability, and autism and learning disabilities were not analyzed. Second, The subjects of disability related contents were analyzed most frequently by personal differences and respect for human rights. It was found that Korean textbooks recognized individual differences and dealt with many contents of respect for human rights. Third, the perspective on individual with disabilities reflected the individual-dependent model of I- dimension. In the first dimension, there have been many cases in which a disability was considered as a personal problem and it was often described as a dependent image with medical treatment and help from people around them. Suggesition: When the curriculum is reorganized in the future, disability-related content of Korean language textbooks for high school students should be presented in various ways. Also, writers and researchers of high school Korean language textbooks need to receive disability-related training to help them select and improve disability-related information. And, related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to improve the desirable understanding of disabilities and awareness of the disabled using Korean language textbooks at school sites.

      • KCI등재

        드론 기반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커버리지와 에너지를 고려한 드론 배치

        김태림(Tae-Rim Kim),송종규(Jong-Gyu Song),임현재(Hyun-Jae Im),범수(Bum-Su Kim) 한국산학기술학회 2019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0 No.8

        무선 센서 네트워크는 적은 비용이 들고 낮은 전력으로 구동할 수 있는 센서들이 넓은 범위에 분포한 네트워크이다. 이때 센서들이 주변의 환경을 감시하고 계측한 정보들을 인근의 센서들에게 멀티홉 방식으로 전송하여 최종적으로 모든 데이터들이 베이스 스테이션으로 보내지는 네트워크가 무선 센서 네트워크이다. 여기서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 대한 대부분의 연구는 한 위치에 고정되어 주변을 감시하는 정적 센서가 주가 되어왔다. 하지만 정적 센서만으로 이루어진 네트워크와 달리, 드론을 이용하여 네트워크를 구성하게 된다면 네트워크의 전체 커버리지와 에너지 소모를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네트워크를 이루는 드론들에 대한 환경을 모델링하기 위해 전송 전력 모델과 비디오 인코딩 모델을 수식화하여 소개한다. 또한 드론의 효율적인 배치를 위하여 우선순위 지도를 설계하고, 이를 기반으로 커버리지와 에너지를 고려하여 드론들을 배치하는 방식을 보여준다. 다양한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정적 센서 기반의 네트워크보다 드론 기반의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더 적은 수의 센서로 커버리지를 증가시키고 소모되는 에너지는 줄여준다는 것을 보여준다. 구체적으로는 정적 센서와 드론의 수가 동일한 가운데 커버리지는 최대 30 퍼센트의 향상이 있고, 에너지 측면에서는 평균 25 퍼센트의 전체 네트워크의 에너지 소모를 줄이면서도 정적 센서 네크워크와 드론 기반 네트워크의 커버리지가 동일하게 유지됨을 보여준다. Awireless sensor network utilizes small sensors with a low cost and low power being deployed over a wide area. They monitor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gather the associated information to transmit it to a base station via multi-hop transmission. Most of the research has mainly focused on static sensors that are located in a fixed position. Unlike a wireless sensor network based on static sensors, we can exploit drone-based technologies for more efficient wireless networks in terms of coverage and energy. In this paper, we introduce a transmission power model and a video encoding power model to design the network environment. We also explain a priority mapping scheme, and deploy drones oriented for network coverage and energy consumption. Through our simulations, this research shows coverage and energy improvements in adrone-based wireless sensor network with fewer sensors, compared to astatic sensor-based wireless sensor network. Concretely, coverage increases by 30% for thedrone-based wireless sensor network with the same number of sensors. Moreover, we save an average of 25% with respect to the total energy consumption of the network while maintaining the coverage required.

      • KCI등재

        소아 피부근염의 임상적 특징과 예후: 후향적 연구 및 문헌 고찰

        김태림 ( Tae-rim Kim ),배경남 ( Kyung-nam Bae ),손진화 ( Jin-hwa Son ),신기혁 ( Kihyuk Shin ),훈수 ( Hoon-soo Kim ),고현창 ( Hyun-chang Ko ),문범 ( Moon-bum Kim ),병수 ( Byung-soo Kim ) 대한피부과학회 2021 대한피부과학회지 Vol.59 No.9

        Background: Juvenile dermatomyositis (JDM) is a rare but common childhood idiopathic inflammatory myopathy. Proximal muscle weakness and pathognomonic skin rash, Gottron papules, and heliotrope rash are characteristic clinical features of JDM. However, clinical analysis of JDM has rarely been reported in the Korean dermatologic literature.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clinical features and outcomes of JDM in Korea and previous studies.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and clinical photographs of patients diagnosed with JDM at Pusa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Busan and Yangsan) for 17 years (2005∼2021). Results: We encountered 12 patients with JDM (male to female ratio=7:5) with a mean age of 7.2 years. The most common clinical features were Gottron papules (100%), followed by Gottron sign (83.3%), malar rash (58.3%), heliotrope rash (41.7%), shawl sign (16.7%), calcinosis cutis (8.3%), and ulcer (8.3%). In all cases, there was no concurrent interstitial lung disease or an underlying malignancy. Only 1 of 12 patients complained of proximal muscle weakness, and four patients showed an increase in muscle enzymes in the laboratory test. The skin lesions gradually improved after systemic steroid or topical treatment in all cases. No additional proximal muscle weakness was found during the follow-up. Conclusion: Although proximal muscle weakness is a common symptom in JDM, clinically amyopathic JDM is commonly found in dermatologic clinics. Regardless of subtype, all patients responded well to treatment and rarely encountered recurrence. (Korean J Dermatol 2021;59(9):699∼706)

      • KCI등재

        디지털 영상을 이용한 파고계 개발 및 검증

        김태림(Kim, Taerim) 한국해안해양공학회 2004 한국해안해양공학회 논문집 Vol.16 No.3

        디지털 영상을 이용한 새로운 파고계를 연구ㆍ개발하였으며 실험실의 조파 수조를 사용하여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비디오 동영상이 1/15초의 일정한 간격으로 영상을 촬영하는 규칙성과 아날로그 영상에서 디지털 영상으로의 변환, 그리고 큰 용량의 저장 매체를 활용하였다. 본 파고계는 수면의 움직임에 따라 동일하게 움직이는 부이를 촬영한 영상에서 그 움직임을 자동으로 추출하는 방법으로 파고 관측을 하였으며 참값과 비교 검증하였다. 차후 개선 연구를 통하여 해안에 근접한 천해역에서 파랑 관측을 하는데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A new wave gauge using digital image of waves is developed and the performances are tested by wave tank experiments. This wave gauge uses frame frequency of 1/15 sec, conversion of analog images to digital images, and large capacity of hard disk. This wave gauge measures wave heights by detecting the buoy movement automatically from the image, where the buoy moves with the same phase of water surface. The comparison of automatic measurements of wave heights to the true data is reasonable. The wave gauge can be improved to measure wave heights on shallow waters near shorelines.

      • KCI등재

        이어도 해양과학기지 인근해역에서의 고도계 파고 자료 검증

        김태림 ( Tae Rim Kim ) 대한원격탐사학회 2012 大韓遠隔探査學會誌 Vol.28 No.1

        큰 너울은 먼 해역에서 발생한 후 우리나라 해안에 전파하여 피해를 입히는 경우가 많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우리나라 인근 해역에서뿐만 아니라 외해역에서도 파랑 관측이 이루어져야 하지만 현장 관측의 경우 많은 비용 및 장비 망실 위험 때문에 어려움이 따른다. 위성의 고도계를 활용할 경우 우리나라 동해 중앙 해역이나 외해 그리고 타 국가의 해역과 같이 접근이 어려운 해양에서 파랑을 관측하는 일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에 앞서서 고도계 파랑 자료의 정확도를 검증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ENVISAT 위성의 고도계 파고 자료와 이어도 기지에서 관측한 파랑 자료를 비교 분석 한 후 그 활용성을 검토한다. Big swell is often generated offshore and damages the coasts after travelling long distance. In order to prevent coastal damages, wave measurements should be performed offshore as well as coastal waters around Korea. However, in-situ wave measurements are difficult because of high expense of instruments and high risk of operation. Satellite wave measurements using altimeter make it possible to get wave information from the sea difficult to execute field measurements such as the center of the East Sea or exclusive territorial waters. In order to use wave information from the satellite altimeter, it is important to verify altimeter wave data with in-situ data. This paper examines significant wave height data observed by ENVISAT altimeter by comparing wave data observed at Ieodo station.

      • KCI등재

        동해 너울에 대한 웨이블릿 분석

        김태림(Kim, Tae-Rim),이동영(Lee, Dong-Young) 한국해안해양공학회 2008 한국해안해양공학회 논문집 Vol.20 No.6

        2008년 2월에 동해안에서 발생하였던 너울 관측 자료에 대하여 웨이블릿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시간에 따른 파군, 첨두 주파수 및 스펙트럼의 변화를 볼 수 있었으며 그 결과를 시간에 따라 평균하여 푸리에 스펙트럼과 비교한 결과 시간에 따른 형태나 첨두 주기의 변화는 유사하게 나왔으나 첨두 주파수 에너지와 유의 파고에 있어서는 차이를 나타냈다. 웨이블릿 분석 방법은 주파수 뿐 만 아니라 시간에 따른 스펙트럼의 변화를 볼 수 있어서 이상 파랑이나 갑작스러운 너울과 같은 일시적이고 불규칙적인 현상 연구에 효과적 것인으로 보이며 향후 우리나라 파랑 자료에 대한 많은 적용과 분석 연구가 필요하다. Swell data observed in the East Sea in February, 2008 were analyzed using wavelet method. The wavelet analyzed results show detailed time series variation of wave group, peak frequency and spectrum. The comparison of time averaged wavelet spectrum with fourier spectrum turn out to be very similar in terms of spectrum shape and peak frequency evolution but the peak frequency wave energy and the significant wave height show discrepancies. Wavelet analysis can detect the change of spectrum in time as well as in frequency and very efficient to study transient and irregular phenomena such as freak waves and abnormal swells in the ocean. More analysis with more wave data are needed for future application.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