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패션 리테일 샵에 나타난 복합문화공간 구성 특성에 관한 연구

        김중희 ( Joong Hee Kim ),김국선 ( Kook Sun Kim ),이정민 ( Jung Min Lee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5 기초조형학연구 Vol.16 No.3

        현대 패션 리테일 샵은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의 변화와 가치 추구 니즈에 따라 단순히 상품을 판매하는 공간을 넘어 감성, 문화, 경험을 즐길 수 있는 공간으로 변화하고 있다. 패션 리테일 샵 내의 문화공간은 패션소비를 위한 방문자뿐 아니라 일반 대중이 여러 문화 활동을 한 곳의 장소에서 손쉽게 즐기고 참여할 수 있어 기존의 단일적 패션 샵이나 단순한 문화공간과 차별되는 새로운 공간으로서, 현재의 다양하고 문화적 요구를 충족시키는 복합적인 공간으로 도약하고 있다. 현재 국내에는 수입 패션 브랜드와 국내 대기업에서 운영하는 패션 브랜드의 플래그십 샵을 중심으로 패션 샵과 함께 까페나 갤러리, 공연장 등의 문화공간을 구성하며 나타나고 있지만, 아직 패션 카테고리의 구성 기준이 모호하고, 복합문화공간으로서 구성적 특성이 명확하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는 패션 리테일 샵에 나타난 복합문화공간 개념을 정립하고, 공간의 구성적 특성을 규명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으로 패션 리테일 샵과 플래그십 샵, 복합문화공간의 이론적 고찰과 선행연구, 문헌자료 조사를 통해 분석 기준틀을 구축하였고, 사례 공간의 현장 방문을 통해 구성 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로서 첫째, 패션 리테일 샵의 복합문화공간은 잡화와 의류를 중심으로 패션 제품의 구성 비중이 높으며, 브랜드 컨셉과 연계되는 리빙, 디자인 용품의 카테고리가 복합적으로 구성되는 특성이 나타났다. 둘째, 판매 이익이 중요시되는 리테일 샵의 특성상 판매공간의 구성 비중이 가장 높았으며, 문화공간은 교육형 체험 프로그램이 적어 비중이 낮게 나타났고, 대중의 참여 프로그램이 많은 기업이나 공공기관의 문화공간과는 차별성을 보였다. 셋째,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공간 디자인을 통해 표현하고, 브랜드의 역사와 추구하는 예술가치, 패션 트렌드 정보를 문화공간을 통해 제공하는 특성을 보였으며, 패션과 문화가 협업되어 새로운 패션문화 쇼핑공간을 만들고, 이를 통해 브랜드 이미지를 높이는 플래그십 샵으로서 브랜드의 전략적인 마케팅 공간임을 알 수 있었다. 이처럼 패션 리테일 샵의 복합문화공간은 이 시대의 패션과 문화 트렌드를 가장 잘 반영하는 곳으로서 앞으로도 패션과 함께 다양한 예술, 교육체험 문화의 여러 분야를 복합적으로 구성하여 대중의 참여를 높이는 다양한 새로운 형태의 문화공간이 구축되기를 기대한다. As a follow-up for the change of consumers` lifestyle and a need of seeking values, modern retail shops has been changing from just a space for sales to a room for gaining emotion, culture, and experience. Because culture zones in the fashion retail shops differ from ordinary fashion shops and regular cultural zones by allowing customers to participate in plenty of cultural activities, they are becoming a complex place that can accommodate various cultural needs, In Korea, it is shown in flagship shops, mostly propelled by overseas fashion brands and domestic corporations. However, it is uncertain to set up a standard for fashion categories, and the concept of compositional cultural complex is vague to define. Therefore, this research is to certify the concept of cultural complex, and define the characteristics of organization of space. As a research method, we`ve founded the standard of analysis by considering the theory of fashion retail shops, flagship shops, and cultural complexes. Additionally, we`ve made a conclusion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cultural complexes that are inside fashion retail stores. In conclusion, cultural complexes consist of diverse commercial spaces. Moreover, it has a characteristic that profit of the brand is the priority, making public facilities are smaller than shopping sites. Allowing customers to acknowledge brand identity, and facilitating customers to experience the history of brand and the pursuit for artistic values, shows the distinguishing point between cultural complexes constructed by fashion retail shops. However, education-related factors scored lower than other factors. Therefore, it has to develop a program that is unique for fashion. Cultural complexes provide diverse shopping experiences to customers, which plays a role of flagship shops. It is also anticipated to be a diverse, culture-combined area.

      • Optical Flow 추정을 위한 딥러닝 기반의 Lightweight Deep Neural Network

        최주성(Joo sung Choi),김중희(Jung Hee Kim),박재서(Jae Seo Park),강석주(Suk-Ju Kang) 대한전자공학회 2019 대한전자공학회 학술대회 Vol.2019 No.11

        Conventional methods for optical flow estimation are inappropriate for applications that demand real-time operation and small memory capacity. Deep learning based networks, such as FlowNet[l] and FlowNet2[2], have high accuracy and fast running time, but require more than 160M of parameters. Therefore, we introduce tow deep learning based networks called PWC-Net[3] and LiteFlowNet[4] that have compact number of parameters and also have effective performances. Introducing two network models of compact but effective CNN models for optical flows, called PWC-Net and LiteFlowNet.

      • 住居環境과 兒童의 交友關係

        金重姬,柳嘉孝 啓明大學校 生活科學硏究所 1987 科學論集 Vol.13 No.-

        本 硏究는 住居環境이 兒童의 交友관계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를 알아보기 위해, 兒童이 처한 住居環境과 社會經濟的지 地位가 兒童의 心理的 住居評價에 독립적인 영향을 미칠것인가? 또 兒童의 住居環境, 社會經濟的 地位, 心理的 住居評價가 交友관계에 독립적 영향을 미칠것인가? 라는 2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이상의 연구문제를 규명하기 위해 선행연구를 참고로 하여 心理的 住居評價와 交友관계, 주거환경에 관한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대구시에 거주하고 있는 6학년 아동 398명에 대해 조사를 실시하였고,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상관관계, 중다회귀분석의 통계처리 方法으로 자료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아동의 心理的 住居評價에 독립적인 영향을 주는 변인은 住居環境變因으로 설정한 7가지 중에서 거주밀도, 집근처 놀이 장소수, 주거소유상태, 어린이방의 공동사용인수, 주거형태, 이사횟수의 6가지로 나타났고, 社會經濟的 地位도 心理的 住居評價에 독립적으로 유의한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住居環境變因중에서 집근처 놀이 장소수가 상대적 기여도가 가장 높아 어린이들이 놀이를 할 수 있는 환경을 얼마나 필요로 하는지 알 수 있었다. 둘째, 아동의 交友관계에 독립적으로 영향을 주는 變因은 住居環境變因중에서 집근처 친구수와 주거소유상태로 나타났다. 또 社會經濟的 地位는 아동의 교우관계에 독립적인 영향을 주지 않으며, 心理的 住居評價가 독립적인 영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에서 다음과 같은 점을 생각할 수 있다. 첫째, 대부분의 住居環境變因이 心理的 住居評價에 영향을 주고 있으나, 가장 많은 영향을 주는 것이 집근처 놀이 장소수였고, 交友관계와 가장 큰 관련이 있는 變因은 집근처 친구수였다. 이것을 보면, 주택자체의 조건 못지 않게, 집근처 놀이 장소수나 친구수같은 근린환경이 중요함을 알 수 있다. 즉 근린환경이 兒童의 住居에 대한 評價에 영향을 주며, 친구와 상호접근이 용이한 것이 交友관계가 좋은 것과 관계가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주택자체의 여건과 아울러 근린환경과 근린인간관계를 배려하는 것이 兒童의 發達을 위해 바람직하다. 또 둘째로, 설정된 변인 중에서 交友관계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이 心理的 住居評價로 나타났다. 이것으로, 주거환경조건 그 자체보다도, 兒童 個個人이 자신의 住居환을 어떻게 받아들이고 있는가 하는 것이 큰 의미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主觀的 환경은, 비슷한 주거환경 속에서도 아동에 대한 약간의 배려로 달라질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아동의 發達수준과 요구에 맞추어 주거환경을 제공하려는 노력이 요구되어진다. 끝으로 본 연구는 대상이 대구지역으로 한정되었으며, 心理的 住居評價와 交友관게 尺度가 표준화된 것이 아니라는 점에 한계를 지니고 있다. 그리고 주거환경변인의 측정도 아동의 主觀的 評價에 의거하였으므로 신빙성이 높지 못하다. 앞으로 보다 정교화된 尺度개발로 심층적인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was designated to evaluate the influence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how to affect on establishing the peer relations of children. The projects listed below were plotted to identify the influencing factors. (Project 1) Do the residential environment variables and socio-economic status affect independently on the formation of the emotional estimation for the residential environment ? And what is the degree of those influences ? (Project 2) Do the residential environment variables, socio-economic status and the emotional estimation for the residential environment affect independently on the formation of the peer relations among children ? And what is the degree of those influences ? Based on the preliminary data, the questionnaires about the emotional estimation for the residential environment, the peer relations and the residential environment were prepared. A group of 398 children who were attending 6th grade of primary school was subjected for the study.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y SPS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1) Six of the seven items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variables were found to affect the children's emotional estimation for the residential environments. These were crowdiness of residence, numbers of nearby play-ground, ownership of house, numbers of room mate, types of house, and frequency of moving home. The socio-economic status also found to affect significantly the emotional estimation for the residential environment. The most contributive factor was numbers of nearby-play ground. 2) The residential environment variables which influenced to the formation of peer relations were numbers of friends nearby his home and ownership of house. The socio-economic status was not found to influence independently to the children's peer relations, but the emotional estimation for the residential environment affect significantly to the formation of children's peer relations. Among all the suggested variables, the most potent influencing one is the emotional estimation for the residential environ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