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어휘 교육의 발전 방향 탐색 ; 어휘를 통한 정의적 텍스트 생산 전략

        김중신 ( Jung Sin Kim ) 국어교육학회 2011 國語敎育學硏究 Vol.40 No.-

        어휘(語彙, vocabulary)는 어떤 일정한 범위 안에서 쓰이고 있는 단어의 총체를 말한다. 텍스트 생산자는 하나의 텍스트를 생산하기 전에 몇 가지 단계를 거치게 되는데 그 중에 제일 중요한 단계가 중심 어휘를 발견 혹은 생산해 내는 일이다. 정의적 텍스트를 생산해 내기 위해서는 생산자의 사고 체계에 기반하고 있는 어휘의 독특한 의미 사용을 이끌어 내는 전략이 필요하다. 이 글에서는 텍스트를 구성하고 있는 어휘를 통해서 텍스트의 내적 소통과 외적 소통을 가능하게 하는 요소가 무엇인지 살펴보고, 어휘를 통해서 텍스트를 생산하는 전략의 구체적인 양상에 대해 살펴보았다. 텍스트에 사용된 어휘의 의외성은 생산자와 수용자간의 의미 충돌을 야기하여 텍스트의 독창성을 담보 하게 된다. 일상적 언어 생활에서 어휘의 의미적 의외성은 텍스트 수용자만이 아니라 텍스트 생산자에게도 낯설다. 텍스트 생산자와 텍스트 수용자의 일상적 언어 생활에서 사용하는 어휘의 의미 범주가 크게 다르지 않기 때문이다. 그래서 의미적 의외성을 이끌어내기 위해서는 일정한 사고 전략을 필요로 한다. 발산적 사고(자유 연상)를 통한 정의적 텍스트 생산 전략은 새로운 텍스트를 생산하는 것을 최종 목표로 한다. 주어진 어휘와 관련된 의미 영역에 해당하는 어휘와 자신의 독창적인 의미 영역에서 찾아 낸 어휘를 결합하여 흥미있는 텍스트를 생산해내는 전략이라고 할 수 있다. 즉 정의적 텍스트의 생산 능력은 어휘의 생산 능력에서 비롯되는 것이다. 생산자의 단기 기억에 저장된 어휘만 아니라 장기 기억에 저장된 어휘를 생산해 내는 것이 독창적이고 흥미있는 텍스트 생산 전략이며, 이를 체계적으로 생산해 낼 수 있는 단계적 전략이 필요하다. 하지만 어떠한 전략이라도 개인적 관심도나 긍정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은 부인할 수는 없다. 최소한의 규범을 이루는 전략을 제시함으로써 정의적 텍스트를 생산해 내는 것은 필수불가결한 일이라 하겠다. The vocabulary is the totality of used the word with a certain range. Text producers should be done several steps before producing text. The most important step is to discover the main vocabulary. At this time, it is necessary the strategies of producing the meaning of the unique vocabulary. The strange vocabulary is caused the collision of text producers and receivers. So the unique text is produced. The strange vocabulary is strange for producers and receivers, they are the same everyday language in their lives. Because text producers and receivers are same ordinary vocabulary and the language. We need a special thinking strategies for bringing out a strange language. Divergent thinking strategies through the production of affective text is aimed to produce a new text. It combines well-known vocabulary and the vocabulary is unfamiliar. Through this unique and interesting text could be produced. The production capacity of definitive text comes from the vocabulary of the production. It needs the stored vocabulary of short-term memory in producers. As well as it needs the stored vocabulary of long-term memory too. This strategy is to produce original and interesting text. It is due to a gradual strategy of producing the interesting text.

      • KCI등재

        읽기(독서)에서의 교육 내용 위계화 : 2009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개발 연구 과정의 비판적 검토 -고등학교 선택과목을 중심으로-

        김중신 ( Jung Sin Kim ) 국어교육학회 2011 國語敎育學硏究 Vol.41 No.-

        교육과정은 교과의 시작이자 종결이지만 최근 우리의 교육과정은 그렇지 않은 것 같다. 2007 개정 교육과정이 시행된 지 2년만에 2009 개정 교육과정이 시행되었고, 다시 2009 개정 교과교육과정이라는 명목하에 교육과정이 개편되었다. 그런데 교육의 근간을 이루는 교육과정이 특정 기관이나 단체에 의해서 개발되는 것은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다. 국어 교육 관련 학회에서는 학회 연합으로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것이 공정하며 합리적이라는 판단 하에 교육과학기술부의 교육과정 공모에 참여하기로 하였고, 그 결과 2009 개정 교과교육과정 개발을 담당하게 되었다. 본고는 학회 연합으로 개발이 진행되었던 2009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중에서 주로 선택과목 중심으로 개발 과정을 검토한 것이다. 2009 개정 교육과정은 먼저 선택과목 재구조화 방안에 의해 개정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들은 2009 개정 고등학교 국어과 선택 과목 체계에 대한 문제점에 대해 세 가지를 지적한 바 있다. 하나는 ``국어``에 대한 세부 성취 기준을 마련하지 않았다는 점. 둘째는 총론의 취지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였다는 점, 셋째는 국어과 내용 영역 간의 자연스러운 결합을 도출하지 못하였다는 점이다. 이를 토대로 하여 재구조화안은 고등학교 보통교과 선택과목은 ``국어Ⅰ``, ``국어Ⅱ``, ``국어사고와 표현``, ``국어탐구와 이해``, ``국어문화와 창의``, ``고전``의 총 6과목으로 정하였다. 그런데 이를 구체화하는 작업을 맡은 학회 연합의 연구진은 과목 명칭에 대한 논의, ``국어Ⅰ``과 ``국어Ⅱ``의 성취 기준 설정 문제에 대한 논의, 셋째, ``고전``의 성격에 대한 논의를 집중적으로 진행하였다. 이 결과 과목명은 ``국어Ⅰ/ 국어Ⅱ / 화법과 작문 / 독서와 문법 / 문학 / 고전과 교양``으로 정하였다. 그리고 ``국어Ⅰ``의 기본 성격은 교양(일반)으로 하고, ``국어Ⅱ``의 기본 성격은 교양(전문)으로 하고, 국어과의 다섯 개 영역 중 핵심이 되는 성취 기준을 국어Ⅰ과 국어Ⅱ의 중핵적 성취 기준으로 삼았다. 다음으로 ``고전``의 성격은 교과목명을 ``고전과 교양``으로 하고 국어과 다섯 영역의 현대 및 고대의 명문 중심으로 통합적 이해와 표현 활동을 목표로 하는 과목으로 설정하였다. 이러한 논의 결과는 교육과학기술부의 최종 심의 과정에서 약간의 변이는 있었으나 2009 개정 교과교육과정의 핵심이 되었다. 교육과정 개발은 누가 하는가 보다도 어떻게 하는가가 더 중요하다. 교육과정은 주체의 문제가 아니라 공유의 문제이기 때문이다. 아울러 교과별 교육과정 개편 과정을 기록하는 것은 어쩌면 영역별 그릇싸움의 적나라한 기록일 수도 있다. 또한 교과목의 나눠먹기식 배분의 흔적이라고도 할 수 있다. 하지만 학문적 영역이 중등학교 교과목에 여하히 설정되느냐 하는 것은 학문의 존재 가치와도 관계된다. 교과 교육은 어차피 교단에서 완성되기 때문이다. 교단에 설 자리가 없는 교과교육은 학자들의 선문답일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The curriculum is the beginning of subject. Also is a terminated point of it. However the curriculum of Korea is not like that. The curriculum is reorganized after 2 years. For fairness and rationality, I think that Korean language education related-academic society is responsible for the Korean curriculum development. This writing will review a development process of 2009 Revised Korean Subject Curriculum. According to ``elective restructurization plan, high school elective course name was ``Korean language I(국어Ⅰ)`` and ``Korean language II(국어Ⅱ), ``Korean thinking and expression``, ``Korean exploration and understanding of language``, ``Korean culture and the Creative``, ``The canon`` . First of all, the research team of academic society union processed intensively the discussion of subject name and accomplishing standard of ``Korean language I, Ⅱ`` and ``character of The Canon``. Discussed, the names of subjects has been determined as ``Korean language Ⅰ / Korean languages Ⅱ / speech and writing / reading and grammar / literature / Canons and the liberal`` And the research team decided the basic character of Korean I`` with culture (the public) and Korean II with culture(specialty). Also, they decided the main accomplishing standard of reading, writing, speech listening, the grammar, the literature with core accomplishing standard of Korean I, II. They also changed the name of ``Canons`` with the ``Canons and liberal arts.`` And they decided this subject with intergrated understanding and expressive activities for students in five areas of Korean subjects. Although there was few variations in last review process by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such discussion result was became the core of 2009 Revised Korean Subject Curriculum.

      • KCI등재

        논술 교육의 쟁점과 방향 ; 국어교육과 통합 교과 논술의 향방 / 토론

        김중신 ( Jung Sin Kim ),원진숙 국어교육학회 2007 國語敎育學硏究 Vol.29 No.-

        2008학년도부터 시행되는 대입에서 통합 논술에 대한 비중이 커지면서 이것이 학생들의 학습 능력에 대한 측정 도구로서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제대로 갖추고 있는가에 대한 의구심이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는 것에 원인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 논문에서는 국어교육에서 통합 교과논술을 어떤 방식으로 접근해야 할 것인가에 대해 논의하기로 한다. 대입 제도에서 글쓰기는 예전에도 있었다. ``작문``과 ``논술``, ``고전 논술``이라는 제도를 거쳐 도입된 ``통합 논술``은 창의적 사고의 중시, 과정 중시 굥규, 교과간 소통 교육, 자기 주도적 교육을 지향한다. 또한 통합 논술은 조선 시대의 ``책문(策問)``이나 프랑스의 바칼로레아(baccalaureat), 혹은 글쓰기로서의 ``작문``과는 차별되는 것이다. 그러면서도 이러한 세 가지의 성격을 어느 정도 갖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하지만 현재 시행되고 있는 통합 논술에 대해서는 세 가지 점에서 비판의 여지가 있다. 첫 번째는 창의성(創意性)이다. 선다형(選多型)이 아닌 자유 서술형 문항에서는 창의적 반응을 측정하기가 그리 쉬워 보이지는 않는다. 통합 논술에서도 창의성을 최고의 덕목으로 제시하고 있지만 학생이 쓴 답안에서 창의성을 측정해 내는 것은 결코 쉽지 않다. 다음으로 탐구성도 마찬가지이다. 모의 논술고사를 통해 제출된 문항에서는 탐구를 통하여 문제 해결 방법을 찾아내는 과정을 쓰는 글쓰기가 아니라 문제에 대한 서술식 답을 요구하고 있다. 그것도 거의 완벽한 ``정답``을 요구하고 있다. 대학 측에서는 애써 ``자유로운 글쓰기가 가능하도록 출제``했다고 강조하지만 그것은 글 쓰는 ``과정``이고, 써야 하는 ``내용`` 자체가 자유로운 것은 아니다. 따라서 학생 스스로 문제를 발견하고 자기 나름대로의 해결책을 제시하는 탐구적 성격과는 거리가 먼 것으로 보인다. 다음으로 통합 교과 논술은 태생적으로 입시 전형의 한 수단이기 때문에 그 자체로서 수험생의 능력을 필요하고도 충분하게 측정(測定)할 수 있어야 한다. 하지만 통합 논술은 아직 표준화가 되어 있지 못해서 측정의 요건인 신뢰도(信賴度 reliablity)와 타당도(妥當度 validity)의 측면에서 온전한 평가를 받지 못하고 있다. 통합 교과 논술은 국어 교육 측면에서 세 가지 지향점을 갖고 있어야 한다. 첫째는 현재의 임상성(臨床性)에서 항상성(恒常性)을 지향해야 한다. 중등학교 현장은 물론 출판, 문화, 예술 등 사회의 모든 분야가 대학의 입시 정책의 변화에 따라 일정한 영향을 받고 있다. 입시 위주의 교육으로 왜곡되어 있는 중등학교 교육을 정상적으로 유도하기 위해 통합 교과 논술의 항상성을 보장해야 한다. 다음으로 논술이 단순한 표현 기교로서만이 아니라 언어적 사고력의 신장과 측정의 한 방법인 면을 고려할 때 논술은 입시 과목의 항상성 확보의 여부와는 무관하게 독립적인 교과목으로서 그 위상이 확보되어야 할 것이다. 이런 면에서 논술은 입시 과목 혹은 입시 수단이 아니라 교과이어야 한다. 셋째로 논술(論述 critical essay)이 아니라 독술(讀述 reading&writing)을 지향해야 한다. 단지 writing의 측면만을 강조하는 것으로 인식되는 논술(論述)보다는 독해가 바탕이 된 논술, 그리고 논술로 확인할 수 있는 독해라는 개념인 ``독술(讀述 reading & writing)``을 지향해야 할 것이다. 독해와 논술을 운용하는 이면에는 사고(思考)가 자리잡고 있음은 물론이다. 마지막으로 통합(統合)에서 통섭(通攝·consilience)을 지향해야 한다. 통합 교과란 학교에서 이수하는 교과 중에서 특정 교과에만 국한되지 않고 두루 통용되는 교과의 내용을 다룬다는 것을 의미한다. 하지만 통합 교과는 그 자체 속성상 일정한 한계를 갖고 있다. 통합은 각 교과의 단순한 물리적 결합이거나 수험생의 계열을 넘나드는 영역의 교차만으로는 소기의 효과를 거둘 수 없다. 최근 논술이 통합 교과형을 지향하게 된 것은 최근에 학계의 관심을 끌고 있는 ``통섭(統攝)``의 영향으로도 볼 수 있다. 이런 면에서 교과 자체만의 통합이 아닌 학생들의 성장과 관련된 교과 외의 모든 요소가 아우러진 통섭적이 되어야 한다. I will observe Unificated-Subject Essay(통합 교과 논술) which becamed the problem from univercity enterance examination. And I will research how USE taught in korean education USE` character is beyond. USE is not Chaek-Mun(책문), Baccalaureat and Writing. But it has same character a little with above three. They are criticizing against USE. At first, they can`t measure the creativity in USE. And it emphasizes the investigation, but they can`t measure the investigation in USE. At last they can`t measure the ability of the students accuratly. My suggestion of the direction of USE in korean education is beyond. First, the USE should become from the clinics to homeostasis. Second, it should be not entrance examination tool, be a subject of the curriculum. Third, it should be not just writing, be reading & writing. Last, it should be changed from synthesis to the consilience.

      • KCI등재

        2011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개발 논의 과정의 향방

        김중신 ( Jung Sin Kim ) 한국어교육학회 2012 국어교육 Vol.0 No.137

        To revise the curriculum of education is to revise the planning stages of education. In addition, it is a revision of the the whole education acts. In this paper I discuss on the 2011 revised curriculum Korean Subject Curriculum which is changed again just in two years. The research on the curriculum of education is not just a research and development report in education. This is the guidelines that determine the direction of Korean Subject over the next few years. So I`d discuss on the process of curriculum revision. There was much criticism against this curriculum revision. However, the curriculum notified by the authorities determines the educational curriculum in the school. So, it is necessary to the meticulous review of the process of curriculum revision. It is a few achievements. The one is that the subject of the process of curriculum revision is not the education authority, is the society-relate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other one is trying to accommodate as much as possible the opinion of school teacher, etc. However, the characterizes of this curriculumit is the adoption of the grade-group, the reduction of number of achievement standards and consolidation of the subjects, etc. But it is regrettable that these things were not the product of an academic discussion. If the voice of non-education of subject is dominated, the uniqueness of the education of subject was lost. This is certainly true. All revised curriculum is bound to be criticized by destiny that it is for political purposes or is revised by the hasty reorganization. Because the revised curriculum should be revised.

      • KCI등재
      • KCI등재

        미디어 시대의 문학교육 : 디지털 미디어 시대의 서사텍스트의 위상 -자막언어의 서사 미학적 기능을 중심으로-

        김중신 ( Jung Sin Kim ) 한국문학교육학회 2011 문학교육학 Vol.36 No.-

        In this article the narrative nature of caption Language in TV will be discussed. I will discuss the narrative aesthetic features of caption language. The narrative feature of caption language can be distinguished of the traditional narrative. The traditional narrative is independent of the other media. but the narrative of caption language is complemented by the other media. And the traditional narrative is the traditional teleological narrative for community`s prosperity, however the narrative of caption language is for the entertainment. In addition, the traditional narrative is created by one person, the narrative of caption language is created by a group. So it is solidarity. Discussed in this article, the narrative aesthetic features of the caption language in TV is as follows. First it is the aesthetic of pattern by ``chapter-feature``(章回性) and ``type-feature(類型性)`` oriented. Secondly, it is constantly the aesthetics of contest oriented by the composition of a binary opposition. Thirdly, it often breaks down boundaries of crew and the cast and viewers, so it shows the aesthetic of the betweenness In its final analysis, times may change, but the culture medium will be continue to exist. In the era of digital media, how to accommodate the narrative should be renewed.

      • KCI등재

        문학교육의 패러다임 점검과 전망

        김중신(Jung Sin Kim) 한국문학교육학회 1997 문학교육학 Vol.1 No.-

        This writing is caused of the beginning self-reflection on the education of literature, and check up the paradigm of the education of literature based on these. This time is crisis in literature. So the alternative to crisis is to discuss about the education of literature. It is thought that this is the crisis of the education of literature at first. We need to reflect what we have done besides that. The education of literature is seriously worried about the ability to rescue the crisis of literature in the late period of industrial society. One of the causes which must be presented these anxities is why it is thought the concept of the education of literature only to teach literal works. When it is regarded the meaning of `education` as the earlier-learned teaches the non-learned the knowledge, the appointed task imposed on the education of literature is not discharged. So to speak, it must not be presented the prospect to the literature be forced with the crisis. Therefore, we must not limit the education of literature only to teach literature in order that it is accomplished the appointed task imposed on the education of literature. We must make it the subject of study to inquiry into the phenomenun of literature; how that the human being cognize the literature, and why the literature must be existed, or whether literariness is existed. At this point, the study of the education fo literature must expand one`s territory not only teaching literature but liteary episteniology or liteary philosophy and life-culture. Nowadays it is not only working for the education of literature that we endlessly grope for the direction the education of literature. This would be to affirm that the education of literature is an imported test whether it is a horizen If the humanity crisis. As the education of literature should be the substance but the declar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