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델파이기법을 이용한 제4차 산업혁명의 주요 기술변화 분석

        김종석,강진원 강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8 사회과학연구 Vol.57 No.1

        This study is an exploratory foresight study to understand the picture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by analyzing the change of technologies. It undertook two-rounded Delphi surveys on 30 experts(23 responses out of 30). The first Delphi was combined with brainstorming, while the second Delphi utilized the expert judgements. This study identified 27 key technologies driving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s through Delphi. By conducting the analysis on the changes of 27 key technologies and their importances, this study noticed that the importances of each technology in a group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ICT) are relatively higher at the current time. However, at 10 year later, non-ICTs such as physical and bio technologies are highly prioritized, while the importances of 4 ICTs: artificial intelligence, internet of things, big data, and virtual reality and augmented reality are still important. This study reaches that the current controversial discussion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re originated from the current picture reflecting the intersection between new technological revolution and the new wave of ICT revolution. 본 연구는 제4차 산업혁명의 모습에 대해 기술변화를 중심으로 살펴본 탐색적 미래예측 연구이다. 브레인스토밍을 결합한 1단계 델파이조사와 전문가판단을 중심으로 한 2단계 델파이조사를 활용하여 30명의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2회 23명 응답)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제4차 산업혁명 관련하여 27개 주요 기술들이 파악되었다. 델파이결과로 제시된 주요 기술들과 정보통신기술 간의 관계에 대해선 정보통신기술들이 주요 기술들에 포함되어 있는 형태로 제시되었다. 주요 기술들의 현재 및 미래 중요도 분석을 통하여, 현재는 정보통신기술들의 중요성이 전반적으로 높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현재 중요도가 높은 주요 기술들의 특성과 중요도를 파악하여 보면 현 시점의 모습은 새로운 정보통신기술을 바탕으로 정보통신기술혁명의 새로운 파동형성으로 분석되었다. 인공지능기술, 사물인터넷, 빅데이터, 가상현실 및 초실감기술과 같은 정보통신기술들은 10년 후에도 여전히 중요하지만, 정보통신기술융합과 함께 물리적(physical) 혹은 바이오(bio)기술들의 중요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새로운 기술혁명의 가능성을 보여 준다. 따라서 제4차 산업혁명의 모습에 대한 논란의 원인은 정보통신기술혁명의 새로운 파동과 새로운 기술혁명의 교차로에 서 있는 현재 모습을 반영한 현상으로 진단된다.

      • KCI등재후보

        제4차 산업혁명관련 혁신유형 및 중요도에 대한 탐색적 연구 - 델파이 조사결과 분석을 중심으로 -

        김종석,강진원 충북대학교 국가미래기술경영연구소 2019 기술경영 Vol.4 No.2

        This study is an exploratory foresight study of innovation types and their importances in the relation of technological changes under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By using the Delphi method, it proceeded the three-time Delphi surveys from 23 out of 30 experts. This study analyzed the technologies, innovations types, and their importances. At first, it identified 8 types of innovation and 7 technologies, which will be relatively important 10 years later in the context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7 technologies in order are artificial intelligence, robot technology, autonomous-driving technology and mobile vehicle technology, internet of things, climate change and energy technology, big data technology, and synthetic biology. In terms of 7 technologies, business model innovation is evaluated as the most important innovation among 8 innovation types, while marketing innovation is at the highest ranked in the area of non-technological innovation. And, it noticed that there would be different impacts of innovation types between manufacturing industries (product and process innovation) and service industries (service and service process innovation)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it captured the relative importance of service innovation between manufacturing and service industry. The framework of 8 innovation types can be an useful and practical tool for firms to plan or manage innovation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 KCI등재

        제4차 산업혁명관련 혁신유형 및 중요도에 대한 탐색적 연구 - 델파이 조사결과 분석을 중심으로 -

        김종석 · 강진원 충북대학교 국가미래기술경영연구소 2019 기술경영 Vol.4 No.2

        본 연구는 제4차 산업혁명 관련 기술변화에 따른 혁신유형과 중요도에 대한 탐색적 미래예측 연구이다. 본 연구는 30명의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3차례에 걸친 델파이 조 사를 수행하였고, 델파이 결과를 분석하고 탐색적 논의를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제4차 산업혁명에서 중요도가 높은 7가지 기술들(인공지능기술, 로봇기술, 자율주행 및 이동체기술, 사물인터넷, 기후 및 에너지 기술, 빅데이터기술, 합성생물 학)을 선정하였다. 제4차 산업혁명 관련 8가지 혁신유형을 파악하였고, 7가지 기술관 련 혁신유형별 중요도를 분석하였다. 가장 중요도가 높은 혁신유형은 비즈니스모델혁 신이다. 비기술 혁신분야에서는 마케팅혁신의 중요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제조업(제품혁신과 공정혁신)과 서비스업(서비스혁신과 서비스프로세스혁신)간에 혁신유형별 중요도에 의미 있는 차이가 나타났다. 이를 통하여 제4차 산업혁명관련 주요기술들이 제조업뿐만 아니라 서비스업의 혁신에서도 차별화된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서비스혁신의 중요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제시된 혁신유형의 틀은 기업들이 제4차 산업혁명관련 혁신 을 기획하고 관리하는데 유효한 기준이 될 수 있다.

      • KCI등재

        제4차 산업혁명관련 기업혁신활동: 촉진 · 장애요인별 우선순위에 대한 탐색적 연구

        김종석(Jong-Seok Kim),강진원(Jin-Won Kang) 강원대학교 경영경제연구소 2019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ol.10 No.3

        This is an exploratory study on facilitators, impediments and their priorities of firm innovation activities regarding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is study adopted an inductive method to explore the properties and contents of the facilitators and impediments. 10 main factors and 30 sub-factors (15 facilitators, 15 impediments) were extracted through the Delphi survey. The highest priority goes to the factor of executive-level officers’ minds and future strategies. By examining the properties and contents of 15 facilitators and 15 impediments of innovation activities, this study notices that the most factors are related to the prior stage of innovation. It indicates that each firms’ innovation activities regarding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s not about the managing problems in (or of) innovation process, but closely associated with the degree of whether they are willing to be engaged with their innovation activitie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 addition, this study proposes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firms’ innovation activities on existing market/business and the new market/business regarding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can be predicted as a dynamic reverse one. 15 facilitators and 15 impediments can influence two types of innovation activities. Finally, this study suggests that through priorities of facilitators and impediments, leadership and future strategies, culture and organization, and (human) resource acquisition are the prioritized areas for a further study of innovation activ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