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과학영재를 위한 교수-학습 전략

        김종백(Kim Jong Baeg) 한국영재교육학회 2006 영재와 영재교육 Vol.5 No.2

          영재교육에 대한 그 간의 논의는 영재아를 어떻게 진단하고 찾아내는 가에 대한 논의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다. 이 분야와 더불어 또 다른 핵심적 부분은 어떻게 하면 영재로 판별된 학생들을 교육할 것인가 인데 상대적으로 이 부분에 대한 연구는 체계적이지 못하며 상당 부분 일반적인 교수-학습 전략들을 다양한 영역에 원용하여 적용하고 있는 실태이다. 영역 일반적인 영재 교수전략에 한발 더 나아가서 이제 영재 교육에서 구체적인 영역 혹은 과제 중심으로 전략에 대한 심화를 위한 논의가 시작되어야 할 시점이다. 여러 영역 중에서 특별히 과학영역이 사고과정의 방법 혹은 접근의 면에서 유추하기 그리고 가설검증과 같은 방법을 활용한다는 면에서 다른 영역과 구분되는 영역 특수성을 지닌다. 이와 같은 특수성은 과학교육과정이 갖추어야 할 준거들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기준으로 활용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과학영재 교수-학습전략을 설명하기 위해 최근 소개되고 있는 구성주의 학습전략들이 과학영재 교육에서 어떠한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을 지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구체적으로 개방형 문제를 활용한 접근, 쳬계적 탐구절차의 활용, 구체적인 산출물의 제작 등과 같은 일반적인 전략과 함께 유추하기, 설명하기, 인지적 갈등 활용하기, 가설검증하기 등과 같은 구체적인 전략의 활용이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과학영재 교육을 위한 전략적 방법들을 최근 구성주의 교수-학습 방법과 연결하여 기술하였으며 영재아들이 자연 혹은 사회현상에 대해 체계적이면서 과학적인 탐구를 하도록 돕는 전략들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와 함께 몇 가지 연구의 예들을 함께 기술하였다.   Gifted education today focuses on the aspect how we are going to find the right children for the program. In spite of the fact that this is crucial element in gifted education field, it is also important to pay more attention to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for the specific area of contents. For example, specific thinking processes in the field of science may be different from those of other content areas such as arts and humanities. This paper discusses three main elements of gifted curriculum standards and teaching-learning principles for science domain. Main themes discussed in this paper was students led scientific problem solving processes, use of various cognitive tools such as graphs and tables for understanding scientific phenomena, and teacher"s teaching strategies. For teaching strategies, teacher may use tactics for creating cognitive conflicts, asking students of explaining scientific data or phenomena, utilizing students" errors for evaluating their knowledge structure. General instructional packages such as problem-based learning and design-based learning may be utilized for developing gifted education program in the field of science.

      • KCI등재
      • KCI등재

        학생-교사관계와 학생의 심리적 탄력성

        김종백(Jong Baeg Kim) 한국교육심리학회 2012 敎育心理硏究 Vol.26 No.2

        교사의 전문성은 교육적 맥락에서 직무를 수행하며 가져야 할 자질과 역량으로 이해해야 하나, 보다 구체적인 핵심적 역량으로 초점을 두어야 할 것은 교실 장면에서 학생의 교육적 요구를 이해하고그에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는 역량으로 규정해야 할 것이다. 교사의 전문성 신장이 중요한 이유는 이것이 교육의 질 개선과 함께 학생의 문제에 대한 보다 근본적인 해결책이기 때문이다. 교사의 전문성은 여러 가지 측면에서 해석하고 분석할 수 있지만 본 논문은 학생과 교사와의 긍정적 관계 형성을 핵심적 역량으로 제시하였다. 교사의 교육 역량은 수업에서 그리고 교육적 장면에서 학생들과 실존적으로 만나서 그들을 이해하고 긍정적인 관계를 형성함으로써 학생들의 탄력성을 길러 주는 것이다. 교사가 학생과 긍정적 학생-교사 관계를 형성하는 것은 학생들을 학급경영과 관리의 대상으로 여기는 것이 아니라, 사회와 학교 기타 여러 외적인 압력으로부터 학생들이 극복할 수 있는 탄력성(resilience)을 가지도록 돕고 교육의 공간(educational space)을 넓혀가는 과정을 의미한다. 본 논문은 가정을 포함한 학생들이 살아 온 배경을 통해서 가지게 된 고정된 틀(schema)과 그들의 심리적 탄력성은 변화될 수 없는 것이 아니라 교사의 노력으로 긍정적인 학생과의 관계 형성을 통해서 학생들의 교육적 요구를 수용하고 문제해결 능력을 제고할 수 있다고 제안한다. Teacher professionalism generally is understood as qualities and capacities that teachers require for doing their jobs in educational contexts. The specific nature of teaching professions are related with the capacities, that the teacher understand students` educational needs and respond it properly.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in these days is crucial because it is dealing with the problems that students face everyday in their school life. Teachers meet their students in classrooms and educational contexts to promote their resilience for overcoming external stresses and pressures. Teacher and students put their efforts together to create educational space protecting and promoting psychological wellbeing from in and out of school problems. Existing body of literature indicated that teacher can play a critical role of providing a secure base for students to change their schema and explore worlds. This paper discuss the meaning of student-teacher relationship and strategies for promoting students` resilience through student-teacher relationships.

      • KCI등재

        실수-기반 학습의 의미와 교육적 시사점

        김종백(Jong Baeg Kim) 한국교육심리학회 2010 敎育心理硏究 Vol.24 No.4

        학습의 과정에서 학생들은 많은 실수를 범하고 또한 학습의 실패를 경험한다. 실수(error)는 그것이 단순한 주의의 문제에 기인한 것에서부터 잘못된 절차의 적용과 문제상황의 이해에 이르기까지 원인이 다양할 수 있다. 실수들은 학습의 실패나 부진의 원인이 되는데 이를 피할 수 있도록 전략과 해결책들을 가르치고 몇 가지 전형적인 내용에 대한 이해를 알려주는 것이 현재와 같은 교육 및 평가 시스템 내에서는 효과적일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교수실천(teaching practices)은 유연성이 낮은 지식구조와 현실 문제들에 대한 해결능력 제고에 제약이 된다. 실수와 실패는 어떻게 활용하느냐에 따라 교육적으로 긍정적 의미를 가지고 있다. 그 방법은 실수와 작은 실패를 허용하는 환경에서 학생들이 스스로 내용영역과 문제공간을 탐색하며 이해의 창의적 구성과 해결전략을 학습하도록 비계를 제공하는 것이다. 교사가 효율성을 위해서 학생들의 경험을 규정하거나 제한하기 보다는 되도록 학생들이 넓고 복잡한 교과관련 내용영역을 주도적으로 탐색하도록 허용한다면 학생들의 실수와 실패는 교육적 기능과 역할을 한다. 교사의 역할은 교육과정의 전달에서 내용영역(curriculum)의 학습에서 학생들이 어떠한 경로를 거쳐서 발달해나가는 지에 대해 이해하고 각각의 발달단계별로 학생들의 전형적인 실수 혹은 오류의 성격과 교수전략에 대한 전문성을 갖추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실수의 교육적 의미와 역할을 기술하고 교실에서 실수를 활용할 수 있는 전략을 학습 공간 확대, 교육과정 구성의 개방성, 실수를 공유할 수 있는 교실문화, 실수에 따른 피드백 전략, 그리고 실수에 대한 정서적 불안감 해소의 관점에서 논의하였다. Students make errors and experience failures in their learning processes. The cause of errors is various from allocation of attentional resources to representational problems. In general, teachers attempt to avoid situations students making errors, because they hinder faster and efficient teaching of contents in the short period of time. Therefore, students are taught with a few typical strategies to solve problems or understandings of specific contents. Although this might look effective method, this kind of teaching practices offer students with less flexible knowledge structure for multiple authentic situations. Errors and failures have positive educational implications. Teachers should allow small failure to occur so that students explore problem space freely and provide them with relevant scaffoldings. To make this work, teachers should research how a curriculum is connected with students` understanding. In addition, teachers should have expertise in relationship between specific content area and typical errors and mistakes they make.

      • KCI등재

        지적 성장을 위한 창의적 실패교육

        김종백(Jong-Baeg Kim) 한국교육심리학회 2017 敎育心理硏究 Vol.31 No.4

        학생들의 지적 성장은 학교교육의 오랜 목표이다. 학생들의 지적 성장을 위해 최근에는 학습상황에서 학생들이 경험하는 실패의 교육적 활용가능성에 대해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학습실패가 해당 영역에 대한 지식이나 문제해결력 뿐 아니라 학생들의 창의적 역량을 신장하기 위한 중요한 학습도구가 될 수 있다는 문헌들이 제시되고 있다. 본 연구는 학습자가 경험하는 학습실패가 어떻게 창의성 역량의 교육과 연계될 수 있는지 주요 이론과 교수-학습 전략들을 제시하고 있다. 교육분야에서 학습실패 연구는 Clifford(1988)에 의해서 실패내성에 대한 연구에서부터 시작하여 현재 많은 연구들이 학습의 과정에서 학습실패의 중요성에 대해 주목하고 있다. 특히, Kapur(2008)와 같은 연구자는 학습에서 실패경험이 단순히 지식의 습득을 넘어서서 새로운 대안들을 만들어내고 창의적 문제해결 전략들을 찾아내는데 긍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주장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학습과정에서 경험하는 실패를 어떻게 교육장면에서 활용할 수 있는 지 그 전략들에 대해 논의하고 그 과정에서 교수자나 학습자의 입장에서 주의해야 할 점들이 무엇인지 논의하였다. 구체적으로 학습자가 실패경험을 통해서 기존의 생각의 틀로 부터 벗어나기, 주어진 교육과정 영역을 넘어서 자유롭게 교육과정 영역을 탐색하도록 허용하기 등과 같은 전략을 제시하였으며 특히, 학습실패가 가져올 수 있는 부정적인 정서와 실패의 누적으로 인한 학습된 무기력을 극복하기 위한 전략으로서 학습 초기과정에서 실패경험의 부정적인 영향을 고려하거나 최소화하기 위한 전략에 대해 서술하고 있다. 그리고 실패의 경험을 결과로 인식하는 것이 아니라 학습과정의 일부로 인식하는 것이 왜 중요한 지 기술하였다. Students’ creative ability has become the one of important educational goals recently. Beliefs that students can grow intellectually is a key principle in creativity education. In recently, researchers have focused on learners’ failure as a way for promoting creativity in schools. They start look into the ways in which learning failures are connected to creativity. Recent studies such as Kapur(2008) demonstrated that learners’ failure experiences enable students to create novel solutions to solve problems to go beyond memorizing facts or knowledge. This paper discussed strategies that students or teachers can utilize learning failures to produce positive educational outcomes and also suggested some caveats when learning failures are introduced to a classroom. Specifically, learners should avoid any pre-existing frames of thoughts to create new alternatives to solve problems. Second, teachers or students should be allowed to explore content areas freely without having any risks of academic punishment. In addition, this paper also discussed possible negative results of early experiencing learning failures regards to negative emotion. Especially, experiencing continuous failures can bring students to learned helplessness. This paper discussed how to avoid this negative consequences. Related with negative emotional effects of failures, teacher or students should be careful in the earlier stage of learning processes to avoid learning failures. Lastly, this paper also suggested that minimizing fears related with learning failures and promoting failure tolerance so that students have motivation to overcome learning failures.

      • KCI등재

        학습자 중심 교수가 학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김종백(Jong-Baeg Kim),준엽(Junyeop Kim),이성원(Sung-Won Lee) 한국교육심리학회 2018 敎育心理硏究 Vol.32 No.1

        학습자 중심 교수는 자기 주도적 학습 환경을 지원한다. 더 나아가 자기 주도적 학습 경험은 학습자로 하여금 자신의 노력으로 인해 본인의 성장과 성취가 이루어질 수 있다는 믿음을 가지게 한다. 이런 학습자의 믿음과 신념은 성취 경쟁에서 오는 불안감이나 스트레스를 완화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 본 연구는 학습자 중심 교수, 학습동기, 성장신념, 학업스트레스 간의 구조적 관계를 증명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있다. 특히 본 연구는 경기교육종단연구 3~5차 년도(초6~중2) 데이터를 사용하여 관련 변인들의 변화에 따른 구조적 영향에 주목하고자 진행되었다. 연구결과 먼저 학습자 중심 교수는 학습자의 내재적, 외재적 동기를 모두 긍정적으로 예언하였으나, 내재적 동기를 더 잘 예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습자 중심 교수는 동기를 매개로 하여 학업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내재적 동기와 외재적 동기 모두 스트레스를 강화시키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셋째, 성장신념은 학습자 중심 교수와 동기를 매개하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구체적으로 학습자 중심 교수는 학습자가 성장에 대한 긍정적 신념을 갖는데 영향을 미치며, 성장신념을 가진 학습자는 내재적 동기가 강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반하여 외재적 동기는 성장 가능성을 믿는 학습자일수록 낮아지는 경향이 있었다. 마지막으로 학습자 중심 교수에 대한 인식의 변화는 성장신념 변화를 매개로 하여 학업스트레스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다른 3요인(학습자 중심교수, 학습동기, 학업스트레스)은 변화에 따른 관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학습자 중심 교수는 학업스트레스를 완화할 수 있었으며, 이 관계가 기존에 연구되던 학습동기가 아닌 성장신념의 변화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임을 보여주었다. 이 결과는 학습자의 인식과 믿음이 내재적 동기 형성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학습자의 학업스트레스 변화에 기여하는 주요요인임을 유추하게 하였다. 더 나아가 학습자가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는 방향으로 학습 환경을 개선하고 변화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해주었다. This study aims to demonstrate the longitudinal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learner-centered instruction, learning motivation, growth beliefs, and academic stress. In particula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focus on the structural effect of the related variables using data from the 3rd to 5th year of the Gyeonggi Education Panel Study. Results showed that while learner-centered instruction positively predicted both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 of learners, it predicted the former better. In addition, learner-centered instruction influenced academic stress through motivation, both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 were found to increase stress. Further, growth beliefs mediated motivation with learner-centered instruction; specifically, learner-centered instruction influenced learners’ positive beliefs about growth, and learners who had growth beliefs had intrinsic motivation. At the same time, external motivation tended to be lower for learners who believed in the possibility of growth. Finally, the perceptions of learner-centered instruction affected academic stress through changes in growth beliefs. However, the other 3 factors (learner-centered instruction, learning motivation, and academic stres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conclusion, learner-centered instruction was able to mitigate academic stress, demonstrating that this relationship is influenced by changes in growth beliefs rather than learning motivation, as previously studied. These results suggest that learners’ perceptions and beliefs contribute to not only intrinsic motivation but also academic stress. Furthermore, it is suggested that learners need to change their learning environments in positive ways.

      • KCI등재후보
      • KCI등재

        학습과학의 미래와 교육과정의 변화

        김종백(Jong-Baeg Kim),문경숙(Kyoung-Suk Mo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22

        한국교육은 기로에 서 있다. 새로운 백년대계를 계획하기 위해서 교육제도와 정책을 다루는 교육관련 종사자들은 교육과정과 학습과학의 중요성에 모든 역량을 집중해야 한다. 교육과정은 학생들이 학교에서 경험하는 경험의 총체이다. 현재 변 화되고 있지만 아직 우리 교육과정은 국가가 통제하는 부분이 크기 때문에 교사가 학생들을 가르치기 위해 교육과정을 재구성하기 위한 자율성이 아직 미흡하다. 미래교육은 모든 초점이 학습자에게 맞추어져야 하며 교육과정은 학습자의 흥미와 특성에 맞추어 다양화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 본 연구에서 학습과학의 역사를 되돌아보고 학습과학의 관점에서 교육과정의 미래를 예측하고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미래의 학습과학은 학습자의 주도권이 인정되고, 실생활 과 관련이 있는 지식을 다루고, 교사의 전문성이 강화되어야 하고, 학생들의 깊은사고력을 자극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 미래의 교육과정은 이러한 학습과학의 변화에 발맞추어 학생이 학습 과정에 주도권을 갖도록 허용되며 학생들 간의 사회적 협력을 촉진하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더 나아가서 학생이 스스로 학습과정을 평가할 수 있어야 하고 구체적인 상황과 결부된 교육 내용을 포함해야 된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미래 교육의 발전에 도움이 되는 사항들을 정리하였다. Curriculum is sets of experiences students have in school. Even though we are making the progress to improve our educational systems, the curriculum is still under the control of government and for this reason teachers freedom to adapt the curriculum for their students is limited. For future education, educational professionals have to focus on the fact that learners and curriculum should be diversified according to the students interests and character.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retrospect the history of learning science and predict the direction of future curriculum based on it. Learning and instruction methods should be diversified also with the same reason. Future learning science must appreciate learners initiation, deal with the knowledge of everyday lives, strengthen teachers professionalism, and stimulate the student s deep hinking. Future curriculum should go in tandem with learning science and permit the students assertiveness on learning process, be designed to facilitate the social nteraction among students, let students evaluate the learning process, and include the contents related with specific context. Based on these comments, final discussions were presented.

      • KCI등재
      • KCI등재

        영재를 위한 교수-학습과정 설계와 분석 틀로써의 활동이론

        김종백(Kim Jong Baeg),조형정(Cho Hyung Jung) 한국영재교육학회 2007 영재와 영재교육 Vol.6 No.2

          Activity theory was accomplished from studies on the condition that learners" talent are developed through learning activity. From the theory, we can get implications on instruction-learning design as analyzing structure of learning activity based on activity theory. Especially, for developing innate potential of the gifted, educators must confirm and inquiry interaction between factors in associated with all activity. The same activity can be viewed differently according to subject"s various points of view and components of this activity system also have differences based on various factors. Therefore, in case of learning activities of the gifted, respective case might be special and important.<BR>  So when researchers and educators plan instructional design for the gifted, they have to realize and reflect that what instrumental medium can be advanced cognitive ability of the gifted and that is the core which instrument is most pertinent to which learning situation. Activity theory provides a viewpoint that learning or activity means combination of various social interactions and factors. Consequently, analysis and specific application on learning activity based activity theory need to be renewed discussion to gifted education as well as common education environment.   학습활동을 통해 형성되는 학습자의 재능은 자연적인 상황에서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 활동을 통해서 상황에 따라 규정이 되는데 이와 같은 측면을 설명할 수 있는 영재교육의 틀이 필요하며 연구자들은 활동이론(activity theory)이 그러한 대안이 될 수 있는지 본 연구를 통해서 탐색하고자 하였다. 활동이론은 전통적인 개인주의적 관점에서 학습환경과 학습자를 구분하여 소외시키는 입장을 비판하고 학습활동을 보다 통합적인 관점에서 보고자 함으로써 구체적인 상황과 결부된 학습활동과 일반적인 교수-학습 설계에 시사점을 제공한다. 특히 고정된 능력의 관점에서 보는 영재성을 탈피하고 Vygotsky(1978)가 주장했듯이 잠재력을 계발하기 위해 특별한 교육을 필요로 하는 미래의 잠재 영재에 초점을 두고 교실수업 실천가들과 함께 개별 교육 상황들에게 작동되는 모든 활동관련 요인들 간의 상호작용들의 확인과 탐색을 유기적으로 관련짓도록 강조한다. 활동이론이 제시하는 통합적인 관점은 단순히 학습활동에 관심이 있는 것이 아니라 학습활동을 통해서 학생들이 대상물을 변형하고 그 변형된 대상물을 통해서 학습목표를 성취하는 것이다. 이러한 학습활동은 개별적 학습 상황속에서 도구의 매개를 필요로 하게 되는데 영재아들을 위해서 이러한 지식이 적용되는 개별 학습 상황의 체험적 지각과 물리적 혹은 정신적 도구의 활용 또한 고차원적인 사고기능을 발달시키는데 도움을 제공한다. 또한 거시적인 관점에서 활동이론은 영재 동료들 간의 상호작용 및 다른 전문가들간 네트워크의 중요성에 대해 언급하고 있고 이것은 학문적 학습공동체를 통해서 학습활동을 촉진하고 문제의식을 고양하고 창의적 문제해결력 증진에 기여하는 촉매역할을 한다. 본 연구에서는 활동이론의 영재교육에 대한 이론적 시사점 및 제안점을 주로 수업적 관점에서 논의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