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학습자 중심 교수가 학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김종백(Jong-Baeg Kim),준엽(Junyeop Kim),이성원(Sung-Won Lee) 한국교육심리학회 2018 敎育心理硏究 Vol.32 No.1

        학습자 중심 교수는 자기 주도적 학습 환경을 지원한다. 더 나아가 자기 주도적 학습 경험은 학습자로 하여금 자신의 노력으로 인해 본인의 성장과 성취가 이루어질 수 있다는 믿음을 가지게 한다. 이런 학습자의 믿음과 신념은 성취 경쟁에서 오는 불안감이나 스트레스를 완화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 본 연구는 학습자 중심 교수, 학습동기, 성장신념, 학업스트레스 간의 구조적 관계를 증명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있다. 특히 본 연구는 경기교육종단연구 3~5차 년도(초6~중2) 데이터를 사용하여 관련 변인들의 변화에 따른 구조적 영향에 주목하고자 진행되었다. 연구결과 먼저 학습자 중심 교수는 학습자의 내재적, 외재적 동기를 모두 긍정적으로 예언하였으나, 내재적 동기를 더 잘 예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습자 중심 교수는 동기를 매개로 하여 학업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내재적 동기와 외재적 동기 모두 스트레스를 강화시키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셋째, 성장신념은 학습자 중심 교수와 동기를 매개하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구체적으로 학습자 중심 교수는 학습자가 성장에 대한 긍정적 신념을 갖는데 영향을 미치며, 성장신념을 가진 학습자는 내재적 동기가 강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반하여 외재적 동기는 성장 가능성을 믿는 학습자일수록 낮아지는 경향이 있었다. 마지막으로 학습자 중심 교수에 대한 인식의 변화는 성장신념 변화를 매개로 하여 학업스트레스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다른 3요인(학습자 중심교수, 학습동기, 학업스트레스)은 변화에 따른 관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학습자 중심 교수는 학업스트레스를 완화할 수 있었으며, 이 관계가 기존에 연구되던 학습동기가 아닌 성장신념의 변화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임을 보여주었다. 이 결과는 학습자의 인식과 믿음이 내재적 동기 형성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학습자의 학업스트레스 변화에 기여하는 주요요인임을 유추하게 하였다. 더 나아가 학습자가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는 방향으로 학습 환경을 개선하고 변화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해주었다. This study aims to demonstrate the longitudinal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learner-centered instruction, learning motivation, growth beliefs, and academic stress. In particula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focus on the structural effect of the related variables using data from the 3rd to 5th year of the Gyeonggi Education Panel Study. Results showed that while learner-centered instruction positively predicted both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 of learners, it predicted the former better. In addition, learner-centered instruction influenced academic stress through motivation, both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 were found to increase stress. Further, growth beliefs mediated motivation with learner-centered instruction; specifically, learner-centered instruction influenced learners’ positive beliefs about growth, and learners who had growth beliefs had intrinsic motivation. At the same time, external motivation tended to be lower for learners who believed in the possibility of growth. Finally, the perceptions of learner-centered instruction affected academic stress through changes in growth beliefs. However, the other 3 factors (learner-centered instruction, learning motivation, and academic stres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conclusion, learner-centered instruction was able to mitigate academic stress, demonstrating that this relationship is influenced by changes in growth beliefs rather than learning motivation, as previously studied. These results suggest that learners’ perceptions and beliefs contribute to not only intrinsic motivation but also academic stress. Furthermore, it is suggested that learners need to change their learning environments in positive ways.

      • KCI등재후보

        과학영재를 위한 교수-학습 전략

        김종백(Kim Jong Baeg) 한국영재교육학회 2006 영재와 영재교육 Vol.5 No.2

          영재교육에 대한 그 간의 논의는 영재아를 어떻게 진단하고 찾아내는 가에 대한 논의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다. 이 분야와 더불어 또 다른 핵심적 부분은 어떻게 하면 영재로 판별된 학생들을 교육할 것인가 인데 상대적으로 이 부분에 대한 연구는 체계적이지 못하며 상당 부분 일반적인 교수-학습 전략들을 다양한 영역에 원용하여 적용하고 있는 실태이다. 영역 일반적인 영재 교수전략에 한발 더 나아가서 이제 영재 교육에서 구체적인 영역 혹은 과제 중심으로 전략에 대한 심화를 위한 논의가 시작되어야 할 시점이다. 여러 영역 중에서 특별히 과학영역이 사고과정의 방법 혹은 접근의 면에서 유추하기 그리고 가설검증과 같은 방법을 활용한다는 면에서 다른 영역과 구분되는 영역 특수성을 지닌다. 이와 같은 특수성은 과학교육과정이 갖추어야 할 준거들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기준으로 활용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과학영재 교수-학습전략을 설명하기 위해 최근 소개되고 있는 구성주의 학습전략들이 과학영재 교육에서 어떠한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을 지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구체적으로 개방형 문제를 활용한 접근, 쳬계적 탐구절차의 활용, 구체적인 산출물의 제작 등과 같은 일반적인 전략과 함께 유추하기, 설명하기, 인지적 갈등 활용하기, 가설검증하기 등과 같은 구체적인 전략의 활용이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과학영재 교육을 위한 전략적 방법들을 최근 구성주의 교수-학습 방법과 연결하여 기술하였으며 영재아들이 자연 혹은 사회현상에 대해 체계적이면서 과학적인 탐구를 하도록 돕는 전략들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와 함께 몇 가지 연구의 예들을 함께 기술하였다.   Gifted education today focuses on the aspect how we are going to find the right children for the program. In spite of the fact that this is crucial element in gifted education field, it is also important to pay more attention to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for the specific area of contents. For example, specific thinking processes in the field of science may be different from those of other content areas such as arts and humanities. This paper discusses three main elements of gifted curriculum standards and teaching-learning principles for science domain. Main themes discussed in this paper was students led scientific problem solving processes, use of various cognitive tools such as graphs and tables for understanding scientific phenomena, and teacher"s teaching strategies. For teaching strategies, teacher may use tactics for creating cognitive conflicts, asking students of explaining scientific data or phenomena, utilizing students" errors for evaluating their knowledge structure. General instructional packages such as problem-based learning and design-based learning may be utilized for developing gifted education program in the field of science.

      • KCI등재
      • KCI등재

        또래 협력 상황에서 능력과 과제난이도에 따른 유아의 언어적 상호작용 분석

        김종백(Kim Jong-Baeg),호(Kim Ho)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6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1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또래 협력 상황에서 나타나는 유아들의 언어적 상호작용은 성취 능력과 과제의 수준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밝히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대전광역시에 있는 B초등학교 병설유치원과 J초등학교 병설유치원에 다니는 만 5세 유아 48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자들이 개발한 유아의 언어적 상호작용 관찰 도구를 이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변인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서 유아의 언어적 상호작용 유형에 대하여 Kruskal-Wallis 검증법과 Mann-Whiney 검증법을 실시하였고 사후 비교분석으로는 Wilcoxon의 순위합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유아들의 언어적 상호작용 중 긍정적인 언어적 상호작용은 공간ㆍ도형 문제해결과제에서 상위능력의 유아들이 하위능력의 유아들보다 높게 나타났고, 의존적인 언어적 상호작용은 하위 능력의 유아들이 상위와 중위 유아들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과제의 수준 변인에 따르면, 과제 수준이 어려우면 유아들의 언어적 상호작용 중에서 부정적인 상호작용 행동이 높게 나타났다.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verbal interactions of varying levels of task difficulty by children of different abilities. A total of 48 5-year old children who attended 2 public kindergartens in Daejeon participated in this study. Kruskal-Wallis and Mann-Whiney tests were conducted to find differences among children's verbal interactions according to the different ability levels and levels of task difficult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highㆍmedium and low-ability children on various helping behaviors. For example, higher ability children took more positive roles in helping lower ability ones, while lower ability children were more active in requesting help. Second, the study results indicated that children showed different behavior patterns depending on task difficulty. When the task was easy, the children collaborated well and helped one another. However, when the task was difficult, children showed negative social interaction.

      • KCI등재

        교육개혁과 교육심리학의 역할

        김종백(Jong Baeg Kim) 한국교육심리학회 2010 敎育心理硏究 Vol.24 No.1

        교육심리학은 제도적 교육의 발전과 함께 실질적 교실교육의 발전에 기여해 왔다. 과거 한 세기 동안의 급격하게 대중화된 공교육시스템은 정치, 경제, 시민사회의 변화와 성장에 영향을 미쳤다. 기술 문명과 그에 대응하는 사회가 빠르게 변화되고 성장하면서 교육에 대한 수요는 개인, 사회, 국가 등 다양한 수준에서 상응하여 개혁적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교육개혁은 보다 근본적인 변화를 요구한다. 현재 공교육 체제 안에서 교육개혁은 교실에서부터 학교제도 혹은 정책에 이르기 까지 체계적이며 과학적인 근거 하에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나 지금까지 교육개혁은 개혁이 일어나는 교실에 대한 미시적이며 과학적인 접근으로부터 양산되는 지식과 경험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데 소홀히 해왔다. 교육정책과 제도를 입안하는 관련 당사자들이 지금까지 축적되어 온 다양한 교실연구의 지식과 경험에 대한 이해 노력 그리고 교육심리학자들이 자신의 교실연구를 연구실 밖으로 알리려는 노력을 적극적으로 하지 못했던 것에 중요한 이유가 있다. 교육심리학은 학교교실에서부터 구조적인 개혁에 이르기 까지 다양한 수준에서 교육개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원적, 보조적, 주도적, 협력적 역할을 수행하여야 하며 교육적 타당성을 갖는 연구의 수행과 함께 그 결과 얻게 되는 지식들을 교육학 내 타 분야와 공유하려는 노력을 계속해야 할 것이다. The field of educational psychology has made significant contributions for changing educational systems and environments. Various educational demands put pressure on public sectors for reforming educational institutions. Among the fields, educational psychology has paid more attention to educational processes happening in the classroom. Educational psychologist has shown a great deal of interests in interactions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and attempted to create the systematic and scientific explanations of them. The role of educational psychology in reforming education is crucial for this reason. It can offer strong evidences to persist the idea or logic of educational reform. However, many educational psychologists tended to disregard the significance of educational practices in real classrooms. There should be efforts to translate scientific knowledge into more understandable ones for teachers and others. In addition, educational studies should reflect more about classrooms to maintain ecological validities.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KCI등재

        실수-기반 학습의 의미와 교육적 시사점

        김종백(Jong Baeg Kim) 한국교육심리학회 2010 敎育心理硏究 Vol.24 No.4

        학습의 과정에서 학생들은 많은 실수를 범하고 또한 학습의 실패를 경험한다. 실수(error)는 그것이 단순한 주의의 문제에 기인한 것에서부터 잘못된 절차의 적용과 문제상황의 이해에 이르기까지 원인이 다양할 수 있다. 실수들은 학습의 실패나 부진의 원인이 되는데 이를 피할 수 있도록 전략과 해결책들을 가르치고 몇 가지 전형적인 내용에 대한 이해를 알려주는 것이 현재와 같은 교육 및 평가 시스템 내에서는 효과적일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교수실천(teaching practices)은 유연성이 낮은 지식구조와 현실 문제들에 대한 해결능력 제고에 제약이 된다. 실수와 실패는 어떻게 활용하느냐에 따라 교육적으로 긍정적 의미를 가지고 있다. 그 방법은 실수와 작은 실패를 허용하는 환경에서 학생들이 스스로 내용영역과 문제공간을 탐색하며 이해의 창의적 구성과 해결전략을 학습하도록 비계를 제공하는 것이다. 교사가 효율성을 위해서 학생들의 경험을 규정하거나 제한하기 보다는 되도록 학생들이 넓고 복잡한 교과관련 내용영역을 주도적으로 탐색하도록 허용한다면 학생들의 실수와 실패는 교육적 기능과 역할을 한다. 교사의 역할은 교육과정의 전달에서 내용영역(curriculum)의 학습에서 학생들이 어떠한 경로를 거쳐서 발달해나가는 지에 대해 이해하고 각각의 발달단계별로 학생들의 전형적인 실수 혹은 오류의 성격과 교수전략에 대한 전문성을 갖추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실수의 교육적 의미와 역할을 기술하고 교실에서 실수를 활용할 수 있는 전략을 학습 공간 확대, 교육과정 구성의 개방성, 실수를 공유할 수 있는 교실문화, 실수에 따른 피드백 전략, 그리고 실수에 대한 정서적 불안감 해소의 관점에서 논의하였다. Students make errors and experience failures in their learning processes. The cause of errors is various from allocation of attentional resources to representational problems. In general, teachers attempt to avoid situations students making errors, because they hinder faster and efficient teaching of contents in the short period of time. Therefore, students are taught with a few typical strategies to solve problems or understandings of specific contents. Although this might look effective method, this kind of teaching practices offer students with less flexible knowledge structure for multiple authentic situations. Errors and failures have positive educational implications. Teachers should allow small failure to occur so that students explore problem space freely and provide them with relevant scaffoldings. To make this work, teachers should research how a curriculum is connected with students` understanding. In addition, teachers should have expertise in relationship between specific content area and typical errors and mistakes they make.

      • KCI등재

        학습실패가 기억 및 수행에 미치는 영향 테스트를 위한 애플리케이션 개발

        김종백(Jong-baeg Kim),신종호(Jong Ho Shin) 한국교육심리학회 2016 敎育心理硏究 Vol.30 No.2

        학습 목표(learning goals)의 성취와 학습 성공을 위한 열쇠는 학생들이 학교에서 경험하는 내용(curriculum)과 과정(processes)에 의해 결정된다. 교사는 학생들의 경험을 디자인하는 사람이며 학생들의 다양하고 자유로운 경험은 학생들의 앎의 성장을 도모한다(Dewey, 1938). 그러나 학생들의 다양하고 자유로운 경험의 긍정적인 측면과 더불어 그 과정에서 불가피하게 경험하는 것이 난관과 학습실패의 경험이다. 난관과 학습실패의 경험을 일부 교육학자들과 교육실천가들은 부정적으로 지각하고 수업과 학습의 효율성을 위해 이를 배제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부정적 입장을 포함하여 난관과 학습실패가 학생들의 지적 성장에 교육적 의미를 가지며 수업과 학습과정에서 학생들에게 보다 깊은 사고의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수업적 가치가 있는 지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이와 같은 주장을 검증하기 위해 우선 통제된 실험실 상황에서 학생들이 경험하는 실패와 난관이 학습 및 수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지의 여부를 살펴보기 위해서 연구의 도구로서 기능을 수행할 FindMiro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였다. 기존의 문헌을 살펴보면 학생들의 교육과정을 어떠한 방식으로 경험할 지는 자신이 추구하는 학습목표에 영향을 받으며 실패와 난관이 교육적 시사점을 갖기 위해서는 과제의 복잡성과 난이도 그리고 적절한 피드백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는 연구요인으로서 학습목표, 과제난이도, 피드백 유무 등을 조작하고 그것을 애플리케이션 설계에 포함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로 애플리케이션에서 연구목적과 연구요인들을 어떻게 반영하였는지 기술하고 FindMiro가 연구수행을 위해서 제공하고 있는 자료의 종류와 수집방법들을 기술하여 연구와 애플리케이션의 연계과정을 설명하는 것이었다. 예를 들어, 연구 참여자의 배경 정보, 실험 조건과 관련된 자료, 학습 활동과 관련된 제반 자료 들을 수집하는 절차들을 기술하였다. 두 번째 연구목적은 연구를 위한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해서 고려해야 할 중요한 사안들에 대한 논의였다. 애플리케이션의 개발절차와 과정을 단계별로 기술하고 개발자로서 고려해야 할 요소들을 함께 설명하였다. The key to success of learning is determined by the experiences of the contents students are involved in. Teachers are the ones who design students`` experiences and various self-initiated experiences to promote their growth of learning. While students are experiencing learning contents or curriculum freely, students inevitably also encounter learning impasses and failures. To prove the argument that students’ learning failure can improve learning outcomes in the context of mastery goal objectives, highly difficult tasks, and existence of feedback, an application, FindMiro, was developed. This study explains the developmental procedure and also contents of FindMiro application. The application, FindMiro, will test the idea of learning failure in experimental conditions. FindMiro was based on IOS environment using C#. and finished its development in Feb. of 2016. Three research variables were included in this application: (1) learning objectives, (2) task difficulties, (3) feedback. This paper discusses the developmental procedures of application and how research factors are incorporated in the process of designing application for future researchers who are going to design an application for research purpo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