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북한의 현대 이야기문학 창작 원리 연구

        김종군(Kim, Jong Kun)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6 통일인문학 Vol.65 No.-

        이 글은 김일성 사후에 총 5회에 걸쳐 출판된 『금수산기념궁전 전설집』을 대상으로, 거기에 수록된 이야기들을 통해 북한의 현대 이야기문학의 창작원리를 밝혀보고자 한다. 북한에서는 김일성 가문의 세습을 정당화하기 위해 새롭게 이야기를 창조하는 가운데 우리 전통 설화의 구성 원리를 차용하거나 나름의 설화 창작 원리가 존재할 것으로 예측된다. 김일성 가계의 세습을 정당화하는 목적으로 만들어지는 이야기들은 그 창작 원리가 국조신화가 만들어지는 원리와 흡사한 면이 있다. 더불어 기후나 천문 · 동식물 등의 특이한 현상에 견강부회하여 신성성을 부여하는 방식도 찾을 수 있다. 그리고 김일성 생전에 면담한 인물들의 일화나 행적을 신이한 경험담의 형식으로 전하기도 한다. 김정일이 『주체문학론』 에서 주창한 ‘수령형상화’가 결국 북한의 현대 신화 창작 원리라고 볼 수 있겠다. 『금수산기념궁전 전설집』에서 찾을 수 있는 북한의 현대 이야기 창작방향은 크게 세 가지이다. 먼저 전통적인 신화 구조를 전반적으로 원용하는 방식이다. <만경대가문> 이야기는 <작제건신화>의 구성 원리를 전적으로 수용한 측면이 있다. 두 번째는 전통 이야기에서 신화소로 해석할 수 있는 요소를 부분적으로 원용하는 방식이다. 김일성의 이름이나 글씨가 신이함을 드러냈다는 <기이한 이야기>는 삼국유사에 수록된 <도화녀비형랑>이나 <처용랑망해사>의 벽사진경 화소를 신화소로 해석하여 끌어온 측면이 있다. 마지막으로 현대 북한 사회의 인민들은 자발적으로 전설을 만들어서 향유한다는 입장을 내보이고 있다. 김일성 가계의 3대 세습을 주민들이 온당하게 수용하도록 창작 구성되는 우상화 이야기들이 우리 입장에서 바라보았을 때 황당하기 그지없지만 그 창작 방식은 신화나 전설이 만들어지는 원리를 탐색하는데 어느 정도 유효하다고 볼 수 있다. This article, by analyzing the story of Kumsusan Memorial Palace Legend Books aims to clarify creative principle of modern story literature of the North Korea. In the North Korea, the stories made to justify the succession of Kim Il Sung family are similar to the principle that national progenitor myth is being created. By using unusual phenomena such as climate, astronomy, animals and plants we can find ways to give the sacredness. Also, convey as a form of wondrous experience story with anecdote and achievement of the people that Kim Il Sung interviewed during his lifetime. ‘Leader idolization(수령형상화)’ that Kim Jeong Il claimed in the Juche Literary Theory(주체문예이론) is finally creative principles of modern myth. Modern story creative directions that can find in the Kumsusan Memorial Palace Legend Books are three in a big way. The first is how to take advantage generally of structure of traditional myths. The story of 〈Mangyongdae Family(만경대가문)〉 has side that accepted totally the organizing principle of the 〈Jak ja geon Myth(작제건신화)〉. The second is how to take advantage partially of the elements that can be interpreted as an element of myth in the traditional story. 〈The Mysterious Story(기이한 이야기)〉 revealed that the name and letter of Kim Il Sung are wondrous has side interpreted as elements of myth with Byeoksajingyeong(辟邪進慶, defeating the bad thing and going toward the good thing) of 〈Dohwanyeo and Bihyeongrang(도화녀비형랑)〉 and 〈Cheoyongrang and Manghaesa Temple(처용랑망해사)〉contained in The Heritage of the Three States(삼국유사). The third people of modern North Korea society are showing standpoint enjoying it by creating spontaneously legend that deify Kim Il Sung. When we view it from our perspective, idolizing stories that being created for people to accept reasonably the three generation succession of Kim Il Sung family are absurd however that creative way is somewhat effective to explore the principle that myths and legends are created.

      • KCI등재

        <금수산기념궁전 전설>의 신화적 요소와 현현(顯現) 메커니즘

        김종군 ( Kim Jong-kun ) 겨레어문학회 2018 겨레어문학 Vol.60 No.-

        이 논문에서는 폐쇄된 북한 사회에서 체제의 창건주 김일성에 대한 신격화 요소를 <금수산기념궁전 전설>에서 탐색하고, 이러한 신화소가 주민들에게 어떻게 믿음을 확보하는지 그 현현(顯現) 장치를 살피고자 한다. 이를 통해 고대시기 향유 장르인 신화의 실제생활 적용 양상을 유추할 수 있어서 신화 연구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더불어 현대 북한 사회와 사람들의 특수성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이를 통해 통일의 과정 속에 사람의 소통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북한은 21세기에 찾아볼 수 없는 봉건왕조체제를 유지하면서 3대 세습을 정당화하는 데 문학적 장치들을 활용한다. <금수산기념궁전 전설>이 그것들이다. 1994년 김일성이 사망한 후 연차별로 『금수산기념궁전 전설집』이 출판 보급되었다. 이 전설집에는 사망한 김일성을 하느님이나 상제(上帝)와 같은 신으로 좌정시키려는 노력들이 전면에 드러난다. 그래서 <금수산기념궁전 전설>은 북한 정권의 창건주 김일성 수령을 사후에 국조신으로 추앙하는 신화로서 기능한다고 볼 수 있다. 북한은 세습에 대한 주민들의 심리적인 반감과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왕조시대에 적용되었던 신화 메커니즘을 적절하게 원용하고 있다. 이야기를 허구가 아닌 진실, 사실로 인지하도록 하기 위해 현실에서의 구현 장치를 지속적으로 발굴하였다. 그 역시 왕조시대의 문화장치에서 원용한 측면이 강하다. 김정은체제는 개방의 물결 속에 세습을 정당화하는 방안을 찾아야 한다. 그래서 창건주 김일성을 더욱 공고하게 신격화하고, 그 신이한 행적을 대를 이어 받은 김정은체제에서 현실화해야 하는 부담감을 강하게 안고 있다. 그 가운데 신화의 현실화는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의료시스템의 현대화는 열악한 환경 속에서 질병으로 고통 받는 주민들이 가장 체감하는 효과적인 장치이다. 그래서 새롭게 병원을 짓고, 대대적인 홍보를 통해 <금수산기념궁전 전설>에서 보인 김일성의 신이한 의술 이야기를 현실화하고 있다. 이러한 신화 현현 메커니즘은 폐쇄된 북한 사회에서 당분간은 유효할 것으로 보인다. In this paper, we explore the deification factor of Kim Il Sung, the founder of the system through < Kumsusan Memorial Palace Legend > in the closed North Korean society, and look at the actualization mechanism of how these mythical elements secure beliefs to inhabitants. Through this, we can deduce the actual life application aspect of myths that were enjoyed in ancient time and can contribute to the study of myth. In addition, we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e special characteristics of modern North Korean society and People and through this, hope to contribute to the communication of people in the course of unification. As the North Korea maintains a feudal dynasty system that can not be found in the 21st century, uses literary devices to justify the third heredity. That is the < Kumsusan Memorial Palace Legend >. After the death of Kim Il Sung in 1994, the collections of Kumsusan Memorial Palace Legendary were published and distributed by year. In this legendary, there are efforts to make the deceased Kim Il Sung as a god such as God or king of heaven. Thus, the < Kumsusan Memorial Palace Legend > can be regarded as a myth that Kim Il Sung, the founder of the North Korean regime is revered as a national god after his death. The North Korea properly uses the mythical mechanism applied in the dynasty era to prevent psychological antipathy and departure of residents about heredity. In order to recognize the story as truth, fact, not fiction, the North Korea has continuously discovered the realizable devices in reality. It is also strongly quoted from the cultural devices of the dynasty period. The Kim Jong Eun regime must find a way to justify heredity in the wave of openness. Therefore, the Kim Jong Eun regime is more strongly deifying Kim Il Sung, the founder of the North Korea, and is more strongly having a burden for actualizing the marvelous acts in the system inherited generation. Among them, the realization of myths is progressing variously. In particular, the modernization of health care system is the most effective device that residents suffering from diseases in the harsh environment feel the most. Therefore, after building a new hospital, while advertising extensively, they are making actualization of Kim Il Sung's marvelous medical story appeared in the < Kumsusan Memorial Palace Legend >. The actualization mechanism of mythology seems to be valid for a while in the closed North Korean society.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지리산 인근 여성 생애담에 나타난 빨치산에 대한 기억

        김종군(Kim Jong Kun) 건국대학교 통일인문학연구단 2009 통일인문학 Vol.47 No.-

        이글은 지리산 인근에 살았거나 살고 있는 두 여성의 생애담을 통하여, 지리산과 백운산에 숨어들었던 빨치산 치하에서의 삶의 실상을 살피고, 그 트라우마를 어떻게 극복하는지 살피는 데에 목적이 있다. 지리산 인근 지역의 70대 중반 이후의 여성들은 시집살이라는 일반적인 고통과 분단사의 특수성에서 비롯된 빨치산의 약탈을 이중으로 견뎌내야 했다. 이 지역 사람들은 ‘반란군’이라는 용어로 ‘빨치산’을 대신하는데, 1948년 10월에 발생한 여순사건의 잔당이 지리산으로 숨어든 이후 5년 이상의 긴 시간을 전쟁 상황에 있었음을 입증하는 것이다. 이러한 비극적인 역사 현장에서 상처받은 여성들의 삶은 국가 주도로 편찬된 역사서나 지역 기관에서 편찬한 사료보다 직접적인 생애담 구술과정에서 역사적 진실로 드러난다. 지리산 인근 여성들은 빨치산의 치하에서 수많은 수탈을 당하고 비극을 겪었다. 남편과 자식을 잃은 경우도 있고, 자신의 몸을 상하기도 하였다. 그 결과는 일생의 멍에로 작용하여, 고향을 등지고 유랑하기도 하고 가난 속에서 상처를 보듬고 살아가기도 한다. 이들이 겪은 일들은 뼈에 사무치는 한으로 남을 상처이다. 그러나 이들은 그 상처를 누구의 탓이라고 말하지 않고 시절이 그럴 수밖에 없었다고 말한다. 이러한 기억은 분단 한국의 말할 수 없는 상처로 자리하고 있으므로, 통일을 위한 토대는 이러한 분단서사의 치유에서부터 시작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actual circumstances of lives under the occupation of Partisans who sneaked into Mountain Jiri and Baek-un through life stories of two females who lived or live near mountain Jiri. Females aged around mid 70s near Mountain Jiri were suffered from the despoliation of partisans caused from specific situation of divided country as well as marriage life with husband's family. Local people of this area use the word 'a rebel army' instead of 'partisan', Local war had been 5 years since the remnants of Yeo-Sun resistance sneaked into mountain Jiri in October, 1948. This tragic history of woman could be described in the direct life story telling process more detail than the history text published by the government. Women around mountain Jiri experienced lots of tragedy and exploitation under the Partisan's ruling; they lost husband and children and some hurt. This kind of trauma could be yoke of their lives, wandering back off the native place or living in poverty with suffer of hurt. These women's experiences are wound which can easily transfer into lamentation. But they never blamed anybody but just age. This kind of memory was settled as hurt which can't be explained, for the purpose of reunification, Healing the division epic should be initialized.

      • KCI등재

        기획논문 : 진주와 남명학의 세계 ; <진주낭군>의 전승 양상과 서사의 의미

        김종군 ( Jong Kun Kim ) 온지학회 2011 溫知論叢 Vol.0 No.29

        이 논문은 서사민요인 <진주낭군>의 전승 양상과 그 서사의 의미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이 작품의 기원과 작품명을 확정하고, 이 민요의 분포상황을 고찰해 보고자 한다. 그리고 전반적인 사설의 구조를 비교하여 표준형과 변이형을 구분하고, 그 변이 양상과 의미를 살피고자 한다. 내용적인 측면에서는 비극적 결말을 맞는 며느리의 삶을 통해 사회적 약자로서의 여성의 삶과 그 서사의 의미를 파악하고자 한다. <진주낭군>은 진주 기생 월정화 고사에서 기원한 진주 지역의 노래라고 보아야 한다. 아울러 그 제목도 현재 통칭되는 <진주난봉가>의 부정적인 이미지를 벗고, 서사에 담긴 의미를 충실히 표출할 수 있는 <진주낭군>이 적절하다고 판단된다. <진주낭군>의 전승지역은 현재 조사된 자료를 근거로 파악하면 영호남 지역에 주로 분포하고, 충청 이북권역으로는 전파가 이루어지지 않은 특성을 찾을 수 있다. 그리고 그 사설은 순차적인 단순구조로 표준형의 사설을 비교적 온전히 유지하면서 전승되는 특징이 있다. 그렇지만 표준형의 사설에서는 완결된 서사 맥락을 파악하기에 부족함이 있어, 서두부의 사설이 확대된 변이형을 가지고 그 완형의 서사를 재구성할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보다면 <진주낭군>의 서사적 의미는 고된 시집살이를 참아가며 남편의 출세와 사랑을 기대했던 여성이, 생각 없이 무심하게 행동하는 남편에게 자결로써 강하게 항거하여 남편을 각성시키고 영원한 사랑을 역설적으로 희구하는 강인함에서 찾을 수 있다. 이러한 서사 의미는 영남(경북)지역 내방가사 중 <규원가>류의 서사적 의미와 상통하며 향유 의식도 유사하다고 볼 수 있다. 그 결과 <진주낭군>의 전승이 경북 지역에 집중된 것으로 판단된다. This paper is intended to illuminate traditional aspects of an epic folk song <Jinjunanggun(진주낭군)> and its the meaning of narrative. First, confirm the origin of this work and title, will try to look at the distribution situation of this folk song. And by comparing the structure of overall song lyrics, divide standard pattern and variant pattern, and will check aspects of the variation and the meaning. In terms of content through tragic ending daughters-in-law`s life, would like to understand the women`s life as underprivileged and meaning of the narrative. Proceeded to discuss the results as follows: First, the origin of <Jinjunanggun(진주낭군)> can be found at the <Woljeonghwa(월정화)> published 『Koryosa(고려사)』 「Akji(악지)」. Through it, can be estimated that <Jinjunanggun(진주낭군)> is the song occurred in Jinju region. Second, the most appropriate name designated this work is <Jinjunanggun(진주낭군)>. Third, the distribution of the work by focusing occurred area Jinju, mainly has been handed down in the adjacent central south region. Fourth, as the song lyrics have sequential structure and simple structure, little variation, in the process which is said it, primarily have maintained standard pattern. Fifth, the meaning of the narrative of this work can be said strong protest about her husband`s betrayed and unjust tyranny. However at the end, by the device that does not end with hate, protest, yet paradoxically, is longing for her husband`s love. These the meaning of the narrative is the point which equals with Zenana lyrics of women`s literature.

      • KCI등재

        문학 : <만파식적>설화의 다시읽기를 통한 통합의 의미 탐색

        김종군 ( Jong Kun Kim ) 온지학회 2011 溫知論叢 Vol.0 No.27

        이 논문은 <만파식적>설화의 다시읽기를 통해 이야기에 담긴 사회 통합의 의미를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만파식적>설화는 이야기에 담긴 신이성 때문에 후대 학자들은 그 실상을 부정하면서도, 근심을 잠재울 수 있다는 기능에 대해서는 매력을 느끼며 지속적으로 향유하였다. 그리하여 이야기가 처음 만들어진 시대의 호국사상과 사회 통합 의지를 역사적으로 고찰하는 데 힘을 쏟았다. 그러나 『삼국사기』의 사료로는 ``김흠돌의 반란`` 사건을 무마하는 장치, 또는 신문왕대에 와서 무열왕계의 왕권을 강화하는 장치 정도로만 해석이 가능한 실정이었다. 이에 『삼국유사』에 만파식적을 언급한 이야기들을 다시 읽으면서 『삼국사기』의 기사와 비교하고, 논증의 대상에서 배제된 『화랑세기』의 기사를 통해 그 통합의 실상을 탐색하였다. 그 결과 <만파식적>설화는 외적을 방어하기 위한 호국의 장치보다는 국내의 변란을 진압하고 무마하는 사회 통합의 장치로 기능하는 측면이 강하였다. 신문왕과 효소왕 때 언급된 내용은 무열왕계와 가야계의 통합을 목적으로 한 경우이고, 원성왕 때 언급된 내용은 내물왕계와 무열왕계의 통합을 목적으로 한 것으로 파악된다. 그리고 조화와 통합을 위한 기제로 활용하기 위하여 피리라는 악기를 설정하였는데, 만파식적은 두 계파를 상징하는 대나무 두 개를 나란히 붙여 소리를 내는 악기일 가능성이 크다. 현재 만파식적을 대금의 원형으로 파악하고 있는데, 이는 잘못이다. 지금은 찾아볼 수 없지만 대나무 두 개를 나란히 붙여서 만든 쌍피리의 형상이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e research of the society unification through <Msanpasikjuk>`s rereading. This story has been entertained because the junior scholars denied the reality but calmed worries. In the context, the era of this story when the story manufactured first had patriotism and society reunification. But <Samkuksaggi> explains that equipment for weakening the ``KimHeumDol``s rebellion, and reinforcing the Muyeul King`s family authority in the dynasty of King Sinmun. And while the stories which refer <Manpasikjuk> were reread, comparing articles of <Samkuksaggi>, and searched the reality of the unification through <Hwarangseggi> which was excluded from the objectives of demonstration. In the conclusion, <Manpasikjuk> should be studied in aspect of society unification rather than defense from outer enemy. And the time of King Sinmun and Hyoso, the purpose of unification of King Muyeul and Gaya`s family, the time of King Wonsung for King Naemul and Muyeul`s family`s unification. And musical instrument, pipe was equipped for the purpose of harmony and unification, Manpasikjuk may possibly be two bamboo pipes attached which stand for two factions. Currently Manpasikjuk is being regarded as Korean recorder, Daeguem, it is fault. It must be the shape of twin bamboo pipes which are currently not be seen.

      • SCOPUSKCI등재
      • KCI등재

        북한의 ‘수이전체 산문’의 연구 동향과 남북의 소통지점

        김종군(Kim, Jong Kun)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0 통일인문학 Vol.84 No.-

        이 연구의 목적은 현재 그 전모가 전하지 않는 『신라수이전』과 고려의 『수이전』에 대한 북한의 연구 동향을 살피고, 남북의 소통지점을 찾는 데 있다. 북한문학사에서 그 발생과 양식적 특성, 작가에 대해 어떻게 규정하고 있는지 시대별로 고찰하고, 남한의 연구 성과와 비교하여 남북의 서사문학사 서술 시각을 대비해 보고, 통일시대를 대비한 문학 교재로서 통일문학사 서술의 기반을 마련하고자 한다. 먼저 북한의 고전문학 연구 기반과 『조선문학사』 편찬 현황을 고찰하고, 1950년대부터 2012년까지 출판된 북한 문학사에서 ‘수이전체 산문’의 개념과 발생, 양식적 특성, 작가 논의 등을 역사적으로 고찰하였다. 북한에서는 1977년에 출판된 『조선문학사』 고대·중세편에서 『수이전』에 대한 시각을 다음과 같이 확정한 후 큰 변화 없이 지속하고 있다. ① 7~9세기 사이에 특색 있는 산문 형식으로 출현했다. ② 작품들은 구전설화적 요소를 가지면서도 개별 작가들의 예술적 창작이다. ③ 작품의 주인공 설정은 살아있는 사람과 죽은 사람을 등장시켜서 이야기를 전개하는 환상적 수법을 사용하므로 ‘수이전체’라는 명칭이 연유했다. ④ 작품의 분위기가 낭만적 색채를 가지는데, 당대 사회현실의 문제를 해결할 방도를 찾을 수 없는 한계와 당대의 현실을 비판적으로 대하는 작가의 사상미학적 이상에서 기인한다. ⑤ 작가는 신라 말의 최치원과 고려 전기의 박인량이며, 대표 작품은 <쌍녀분>과 <수삽석남>이다. 북한의 이러한 연구 동향을 남한의 논쟁들과 비교하여 그 소통지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① 서사 양식의 명칭에서 남한 학계에서 합의를 이룬 ‘전기(傳奇)’보다는 북한에서 확정한 ‘수이전(殊異傳)’으로 나아가는 방향이 우리 문학사의 독자성을 정립하는 데 유효할 듯하다. ② 그 발생과 계통에 대해서도 중국 문학의 일방적 수용이라는 시각보다는 구전설화의 소재를 원용하여 개인 창작자의 창작 역량이 발휘된 작품이 발생한 것으로 보고, 고소설의 전 단계나 본격적 고소설 작품으로서 위상을 갖는다고 진단하는 것이 지금까지의 남북문학사의 성과를 포섭하는 견해가 될 것이다. ③ 작가나 편저자에 대한 시각 역시 서사 양식의 발생과 연동하여 최치원, 박인량, 김척명에 국한할 것이 아니라 현재 발굴되지 않은 다수의 작가가 존재할 수 있다는 열린 시각이 남북 학계의 공통된 지지를 받을 가능성이 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search trends of North Korea on the Silla Suijeon and Goryeo’s Suijeon and to find a point of communication between the two Koreas. We consider the origin, stylistic characteristics, and definition of writers in the history of North Korean literature by period. In a comparison with South Korea"s research results, we contrast the narrative perspectives on the narrative literature history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further, with an eye to the era of unification, we prepare the basis for a narrative of integrated Korean literature history in textbooks. First, we examined the foundation of research on classical literature in North Korea and the current state of compilation of Korean literature history. We also examine the concept and occurrence, stylistic characteristics, and discussions about writers of “Suijeon-form Prose” in the history of North Korean literature published from the 1950s to 2012. North Korea has confirmed its perspective on Suijeon in the ancient and medieval editions of the Joseon literature history published in 1977 as follows. And keep it going without much change. ① It appeared as a distinctive prose form between the seventh and ninth centuries. ② The works have oral mythological elements, but they are artistic creations of individual artists. ③ Because it uses the fantastic technique of developing stories by setting up a living person and a dead person as the main character of the work, it was named “Suijeon form.” ④ The atmosphere of the work has a romantic color, which that originates from the limitation of not being able to find a way to solve the problems of social reality of the time and from the writer"s ideological and aesthetic ideal of dealing critically with the reality of the time. ⑤ The authors are Choi Chi-won(최치원) of the late Silla Period and Park In-ryang(박인량) of the early Goryeo Period, and their representative works are “The tomb of two women(<쌍녀분>)” and “The plum blossom tree branch on the head(<수삽석남>).” Comparing the North"s research trends with the South"s disputes, the point of communication is as follows. ① When naming the narrative form, to decide “Suijeon”(수이전殊異傳) which is confirmed in North Korea rather than “Jeongi”(전기傳奇), was agreed upon by the South Korean academic community as it is likely to be effective in establishing the independence of Korean literary history. ② It would be right to regard the “occurrence” and “lineage” as producing a work that shows the creative ability of individual creators by using the material of oral legend rather than the view that Chinese literature was unilaterally accepted. and to diagnose as having the status as the previous stage of a classic novel or as the work of a full-fledged classic novel will be a view that embraces the achievements of South and North Korean literature history so far. ③ In connection with the occurrence of narrative form, rather than to restrict your views on writers and editors to Choi Chi-won, Park In-ryang and Kim Chok-myung, to have the open view that there may be a number of writers who have not been discovered at present will receive common support from South and North Korean academic circl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