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북한의 현대 이야기문학 창작 원리 연구

        김종군(Kim, Jong Kun)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6 통일인문학 Vol.65 No.-

        이 글은 김일성 사후에 총 5회에 걸쳐 출판된 『금수산기념궁전 전설집』을 대상으로, 거기에 수록된 이야기들을 통해 북한의 현대 이야기문학의 창작원리를 밝혀보고자 한다. 북한에서는 김일성 가문의 세습을 정당화하기 위해 새롭게 이야기를 창조하는 가운데 우리 전통 설화의 구성 원리를 차용하거나 나름의 설화 창작 원리가 존재할 것으로 예측된다. 김일성 가계의 세습을 정당화하는 목적으로 만들어지는 이야기들은 그 창작 원리가 국조신화가 만들어지는 원리와 흡사한 면이 있다. 더불어 기후나 천문 · 동식물 등의 특이한 현상에 견강부회하여 신성성을 부여하는 방식도 찾을 수 있다. 그리고 김일성 생전에 면담한 인물들의 일화나 행적을 신이한 경험담의 형식으로 전하기도 한다. 김정일이 『주체문학론』 에서 주창한 ‘수령형상화’가 결국 북한의 현대 신화 창작 원리라고 볼 수 있겠다. 『금수산기념궁전 전설집』에서 찾을 수 있는 북한의 현대 이야기 창작방향은 크게 세 가지이다. 먼저 전통적인 신화 구조를 전반적으로 원용하는 방식이다. <만경대가문> 이야기는 <작제건신화>의 구성 원리를 전적으로 수용한 측면이 있다. 두 번째는 전통 이야기에서 신화소로 해석할 수 있는 요소를 부분적으로 원용하는 방식이다. 김일성의 이름이나 글씨가 신이함을 드러냈다는 <기이한 이야기>는 삼국유사에 수록된 <도화녀비형랑>이나 <처용랑망해사>의 벽사진경 화소를 신화소로 해석하여 끌어온 측면이 있다. 마지막으로 현대 북한 사회의 인민들은 자발적으로 전설을 만들어서 향유한다는 입장을 내보이고 있다. 김일성 가계의 3대 세습을 주민들이 온당하게 수용하도록 창작 구성되는 우상화 이야기들이 우리 입장에서 바라보았을 때 황당하기 그지없지만 그 창작 방식은 신화나 전설이 만들어지는 원리를 탐색하는데 어느 정도 유효하다고 볼 수 있다. This article, by analyzing the story of Kumsusan Memorial Palace Legend Books aims to clarify creative principle of modern story literature of the North Korea. In the North Korea, the stories made to justify the succession of Kim Il Sung family are similar to the principle that national progenitor myth is being created. By using unusual phenomena such as climate, astronomy, animals and plants we can find ways to give the sacredness. Also, convey as a form of wondrous experience story with anecdote and achievement of the people that Kim Il Sung interviewed during his lifetime. ‘Leader idolization(수령형상화)’ that Kim Jeong Il claimed in the Juche Literary Theory(주체문예이론) is finally creative principles of modern myth. Modern story creative directions that can find in the Kumsusan Memorial Palace Legend Books are three in a big way. The first is how to take advantage generally of structure of traditional myths. The story of 〈Mangyongdae Family(만경대가문)〉 has side that accepted totally the organizing principle of the 〈Jak ja geon Myth(작제건신화)〉. The second is how to take advantage partially of the elements that can be interpreted as an element of myth in the traditional story. 〈The Mysterious Story(기이한 이야기)〉 revealed that the name and letter of Kim Il Sung are wondrous has side interpreted as elements of myth with Byeoksajingyeong(辟邪進慶, defeating the bad thing and going toward the good thing) of 〈Dohwanyeo and Bihyeongrang(도화녀비형랑)〉 and 〈Cheoyongrang and Manghaesa Temple(처용랑망해사)〉contained in The Heritage of the Three States(삼국유사). The third people of modern North Korea society are showing standpoint enjoying it by creating spontaneously legend that deify Kim Il Sung. When we view it from our perspective, idolizing stories that being created for people to accept reasonably the three generation succession of Kim Il Sung family are absurd however that creative way is somewhat effective to explore the principle that myths and legends are created.

      • KCI등재

        <금수산기념궁전 전설>의 신화적 요소와 현현(顯現) 메커니즘

        김종군 ( Kim Jong-kun ) 겨레어문학회 2018 겨레어문학 Vol.60 No.-

        이 논문에서는 폐쇄된 북한 사회에서 체제의 창건주 김일성에 대한 신격화 요소를 <금수산기념궁전 전설>에서 탐색하고, 이러한 신화소가 주민들에게 어떻게 믿음을 확보하는지 그 현현(顯現) 장치를 살피고자 한다. 이를 통해 고대시기 향유 장르인 신화의 실제생활 적용 양상을 유추할 수 있어서 신화 연구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더불어 현대 북한 사회와 사람들의 특수성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이를 통해 통일의 과정 속에 사람의 소통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북한은 21세기에 찾아볼 수 없는 봉건왕조체제를 유지하면서 3대 세습을 정당화하는 데 문학적 장치들을 활용한다. <금수산기념궁전 전설>이 그것들이다. 1994년 김일성이 사망한 후 연차별로 『금수산기념궁전 전설집』이 출판 보급되었다. 이 전설집에는 사망한 김일성을 하느님이나 상제(上帝)와 같은 신으로 좌정시키려는 노력들이 전면에 드러난다. 그래서 <금수산기념궁전 전설>은 북한 정권의 창건주 김일성 수령을 사후에 국조신으로 추앙하는 신화로서 기능한다고 볼 수 있다. 북한은 세습에 대한 주민들의 심리적인 반감과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왕조시대에 적용되었던 신화 메커니즘을 적절하게 원용하고 있다. 이야기를 허구가 아닌 진실, 사실로 인지하도록 하기 위해 현실에서의 구현 장치를 지속적으로 발굴하였다. 그 역시 왕조시대의 문화장치에서 원용한 측면이 강하다. 김정은체제는 개방의 물결 속에 세습을 정당화하는 방안을 찾아야 한다. 그래서 창건주 김일성을 더욱 공고하게 신격화하고, 그 신이한 행적을 대를 이어 받은 김정은체제에서 현실화해야 하는 부담감을 강하게 안고 있다. 그 가운데 신화의 현실화는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의료시스템의 현대화는 열악한 환경 속에서 질병으로 고통 받는 주민들이 가장 체감하는 효과적인 장치이다. 그래서 새롭게 병원을 짓고, 대대적인 홍보를 통해 <금수산기념궁전 전설>에서 보인 김일성의 신이한 의술 이야기를 현실화하고 있다. 이러한 신화 현현 메커니즘은 폐쇄된 북한 사회에서 당분간은 유효할 것으로 보인다. In this paper, we explore the deification factor of Kim Il Sung, the founder of the system through < Kumsusan Memorial Palace Legend > in the closed North Korean society, and look at the actualization mechanism of how these mythical elements secure beliefs to inhabitants. Through this, we can deduce the actual life application aspect of myths that were enjoyed in ancient time and can contribute to the study of myth. In addition, we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e special characteristics of modern North Korean society and People and through this, hope to contribute to the communication of people in the course of unification. As the North Korea maintains a feudal dynasty system that can not be found in the 21st century, uses literary devices to justify the third heredity. That is the < Kumsusan Memorial Palace Legend >. After the death of Kim Il Sung in 1994, the collections of Kumsusan Memorial Palace Legendary were published and distributed by year. In this legendary, there are efforts to make the deceased Kim Il Sung as a god such as God or king of heaven. Thus, the < Kumsusan Memorial Palace Legend > can be regarded as a myth that Kim Il Sung, the founder of the North Korean regime is revered as a national god after his death. The North Korea properly uses the mythical mechanism applied in the dynasty era to prevent psychological antipathy and departure of residents about heredity. In order to recognize the story as truth, fact, not fiction, the North Korea has continuously discovered the realizable devices in reality. It is also strongly quoted from the cultural devices of the dynasty period. The Kim Jong Eun regime must find a way to justify heredity in the wave of openness. Therefore, the Kim Jong Eun regime is more strongly deifying Kim Il Sung, the founder of the North Korea, and is more strongly having a burden for actualizing the marvelous acts in the system inherited generation. Among them, the realization of myths is progressing variously. In particular, the modernization of health care system is the most effective device that residents suffering from diseases in the harsh environment feel the most. Therefore, after building a new hospital, while advertising extensively, they are making actualization of Kim Il Sung's marvelous medical story appeared in the < Kumsusan Memorial Palace Legend >. The actualization mechanism of mythology seems to be valid for a while in the closed North Korean society.

      • 영화 <학생부군신위>와 <축제>의 감상 포인트 비교를 통한 전통 의례의 스토리텔링 기법과 문화콘텐츠화 방안 모색

        김종군(Kim, Jong-Kun) 서사와문학치료연구소 2009 영화와문학치료 Vol.2 No.-

        이 글은 장례풍속이라는 동일한 소재를 가지고 제작된 <학생부군신위>와 <축제>의 감상 포인트를 비교하여 장례문화의 스토리텔링 기법을 탐색하고, 나아가 전통 의례의 문화콘텐츠화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영화 <학생부군신위>와 <축제>는 1996년 몇 개월의 차이를 두고, 한국의 장례풍속이라는 동일한 소재를 가지고 제작 발표된 작품들이다. 이윤 창출을 목적으로 하는 영화판에서 이러한 모험이 무모하다고 판단될 수도 있겠지만, 두 작품은 어느 정도 성공을 거두었고 현재도 문화관련 교육 현장에서는 교재로써 활용도가 높은 편이다. 두 영화는 경상도 합천과 전라도 장흥지역의 장례의 전 과정을 영화에 담으면서 복잡 미묘한 한국사회의 가족사와 그 구성원들의 갈등 해소 과정을 보여주고 있다. 장례 과정에서 죽은 사람과 산 사람의 화해, 산 사람끼리의 화해를 해학을 곁들여 극적으로 풀어내고 있어 자칫 상투적으로 보일 위험도 있다. 그러나 두 작품은 상호 모방 혐의에 대한 부담을 떨치고 나름대로 각자 성공을 거둔 작품이라고 볼 수 있다. 그 이유는 두 작품이 관객들에게 던진 감상 포인트가 서로 달랐기 때문이라 판단된다. 두 작품은 장례라는 소재와 가족간 화해라는 주제에서는 유사한 면이 있지만, 줄거리 서사가 판이하고 무엇보다 장례식 풍경을 비추는 카메라 앵글이 달라서 관객들에게 색다른 작품으로 다가왔다고 볼 수 있다. 영상이라는 매체를 통해 서사를 던지는데, 그 스토리텔링 기법에서 차이가 있다고 볼 수 있다. <축제>가 교과서식의 설명과 동화형식의 삽화를 동원하여 가족 간의 화해를 강조한 교화적 측면이 강하다면, <학생부군신위>는 여전히 인간 군상들의 욕망을 여실하게 보여주면서 적당한 선에서 가족 간 화해와 타협을 보이는 열린 구조로 끝을 맺고 있다. 이러한 스토리텔링 기법의 차이가 관객에게는 다른 이야기로 영화를 대하게 하는 장치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스토리텔링 기법은 전통 장례를 포함한 전통 의례의 문화콘텐츠화 과정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질 쟁점이라고 생각된다. 생활문화로서의 전통 의례는 사멸되어 가는데 문화콘텐츠 산업에서는 중요한 소스로서 위상이 부각 되고 있기 때문이다. 의례 형식의 번거로움 때문에 의례의 본질적 의미마저 버리는 현 세태에서, 그 의미를 부각시킬 수 스토리텔링 기법을 다양하게 개발하여 우리의 전통생활문화 자체가 문화콘텐츠가 될 수 있도록 모색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making cultural contents of traditional ceremony after studying two movies, <Farewell My Darling> and <Festival> which were shot with same subject matter, funeral custom. Two movies show us the whole process of funeral ceremony of two representative provinces Hapchun of Kyungsang and Jangheung of Jeonla areas, and describe complicated family history of Korea"s society and present how family members solve their conflict. Compromise between the dead and the live in the process of funeral, reconciliate one another among the live were described with humor dramatically, it can be regarded as cliche though, but two pieces of work were successful separately far from imitation each other. Because the enjoying points we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oward the audiences. Two movies have two similar material and subject, funeral ceremony and reconciliation but story telling was totally different and camera angle capturing the scenes of funeral was also different, so two movies come to audiences as different movies. Two works have different story telling techniques by using image media. <Festival> shows educational side focusing on reconciliation between family members by using illustration of pony tale and instructive explanation. <Farewell My Darling> does still show the usual desire of people realistically and ends in open plot with proper compromise. The difference of story telling techniques regard two movies in different way. This kind of story telling technique can be a point to be treated importantly in the process of cultural contents in terms of traditional ceremony including traditional funeral. Traditional ceremony is being disappeared in terms of the normal life but the industry of cultual contents need this kind of tradition. It will be necessary to develop custom of the routine life for developing cultural contents.

      • KCI등재

        분단 극복을 위한 코리언의 정서공동체 형성 방안 -제사문화 속 본향의식을 중심으로

        김종군(Kim, Jong-Kun)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1 인문과학연구 Vol.- No.71

        이 논문에서는 코리언의 정서공동체 형성 방안을 남과 북, 동북아지역의 코리언 디아스포라의 제사문화에 드러나는 본향의식을 통해 제시해보고, 이를 통해 분단 극복의 의지를 돈독히 하고자 한다. 남과 북의 주민들은 본토에 거주하면서 본향을 언제라도 찾을 수 있는 존재이므로, 제사의 본질적 의미인 조상 추모와 효의 연장 기제로 제사를 인식하면서 편의를 쫓아서 제사를 축소 변형하고, 그 의미를 희석하는 경향성이 크다. 그에 비해 재중조선족이나 고려인, 재일조선인들은 이동권이 제약되고, 거주국 문화와 자기 민족문화가 충돌하는 가운데 문화향유권을 제약받는 열악한 상황 속에서, 제사를 본향의식의 발현 기제로 고수하고 있다. 이들에게 제사는 조상 추모라는 제사의 본질보다도 자신의 뿌리를 더듬어 확인하고 이국땅에서 지친 심신을 치유받을 수 있는 위안의 장치로써 위상을 갖는다. 이주 과정에서 제사문화가 변형되었지만, 그 가운데 코리언임을 드러내는 요소들을 문화코드화하여 굳건하게 전승하고 있다. 비록 원형에서 변형된 형식이지만 그들이 코리언의 문화라고 인식하고 있다면 그 자체를 인정하는 가운데 정서적 유대가 가능하고, 이를 통해 코리언 정서공동체 형성도 가능할 것이다. 남북은 분단체제에 안주하지 말고 분단을 극복하는 길로 나서서 그들에게 한으로 자리잡은 본향의식을 행복한 그리움으로 변화시킬 의무가 있다. In this paper, I would like to present a plan to form an emotional community of Korean through a ritual of hometown revealed in the ancestral culture of Korean Diaspora in the South, North, and Northeast Asia. Residents of South and North Korea are living on the mainland and are able to find their homeland at any time, so they recognize ancestral rites as an extension of ancestral remembrance and filial piety, which is the essential meanings of ancestral rites. Therefore, in pursuit of convenience, there is a great tendency to reduce and transform ancestral rites and dilute their meaning. On the other hand, Koreans in China, Koreans in Central Asia, and Koreans in Japan adhere to ancestral rites as a mechanism for expressing their hometown amid limited mobility and limited cultural enjoyment rights amid conflicts between their country"s culture and their own national culture. For them, ancestral rites have a status as a device of comfort that allows them to trace their roots and heal their tired mind and body in foreign lands rather than the nature of ancestral rites. In the process of migration, the ritual culture was transformed, but among them, the elements that reveal that they are Korean have been handed down as cultural codes. Although it is a modified form of the original, if they recognize it as a Korean culture, emotional bonding will be possible while acknowledging itself, and through this, it will be possible to form a Korean emotional community.

      • KCI등재

        북한의 생활문화 속 일생의례의 지속 의지

        김종군(Kim, Jong Kun)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1 통일인문학 Vol.86 No.-

        이 논문의 목적은 북한이 사회주의 국가를 형성하고 유지하는 과정에서 정략적인 필요에 의해 ‘만든 전통’과 ‘전통적인 관습’인 일생의례-특히 혼례와 상례-의 어긋남 양상을 살피고, 지속되는 의례 절차를 발굴하여 그 지속의 의미를 밝히는 데 있다. 북한은 국가 건설 과정에서 민족전통을 호명하면서 새로운 국가 체제에 부합하는 ‘전통 만들기’를 수행한다. 주민들의 삶을 사회주의 생활문화로 변혁하기 위해 두 가지 방향을 제시한다. 하나는 새로운 전통 창조에서 ‘민족적 형식’에 ‘사회주의적 내용’을 담아내는 방식이었고, 다른 하나는 ‘복고주의적인 경향’과 ‘허무주의적 경향’의 경계였다. 일생의례에서 사회주의식 새로운 전통 만들기는 봉건적, 미신적인 허례허식 요소의 폐기와 민족 고유의 미풍양속 요소의 권장이었다. 북한은 국가 건설 초기에 관혼상제로 4분화된 일생의례를 혼례와 상례로 간소화하였다. 그러나 간소화된 의례의 절차 가운데서도 봉건적이고 미신적인 허례허식이라고 규정하여 강력하게 폐지를 권하는 요소들이 현재까지도 강한 전승력을 유지하는 사례가 있다. 혼례에서 큰상문화는 신랑 신부라는 새로운 가족 구성원에 대한 환영과 신랑 신부를 축하하기 위해 모인 이웃과 음식을 나누려는 인정의 발로로 지속되고 있다. 상례에서는 인정드리기와 면례 풍습이 강한 전승력을 보인다. 이 풍습들은 인정의 발로와 지역문화로서의 특성을 간직하고 있어서 지속성을 가진다. 현재 북한 사회도 외부적인 변화 요인에 따라 의례나 절차도 간소화되고 변화하고 있지만 인간의 도리, 인정을 지켜야 한다는 윤리 덕목으로 의례와 절차의 본연의 의미는 유지하고 있다. 통일의 과정 속에서 일생의례에 담긴 민족 고유의 전승 의미를 상호 소통으로 되살리는 방향이 진정한 생활문화의 통합을 꾀하는 길이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1) examine the discrepancy among traditions, traditional customs, and lifelong rites-especially weddings and funeral rites-as related to forming a socialist state in North Korea, and 2) to uncover the meaning of continuing ritual procedures today. Through the process of building the Korean state, North Korea called for ethnic traditions and carried out "tradition making" in line with the new state system. Two directions were proposed to transform the lives of North Korean residents into a socialist lifestyle. The first direction put the "socialist content" in the "ethnic form" in creating a new tradition, while the other placed boundaries on retroverted and nihilistic tendencies. The creation of a new socialist tradition in the lifetime ritual meant the abolition of feudal, superstitious, and pretentious elements, and the encouragement of elements that aligned with national customs. In the early days of nation-building, North Korea simplified the lifetime ritual of weddings and funerals. However, even among these simplified ceremonial procedures, there were cases that contained feudal and superstitious elements, which still maintain a strong tradition today. In the wedding ceremony, the Keunsang culture continues to welcome new family members, the bride and groom, and recognize the sharing of food with neighbors gathered as a celebration of the bride and groom. In funerals, the Injeongdeuligi and Myeonrye customs show a strong tradition of transmission. These customs have continued because they retain a token of acknowledgment of the characteristics of local culture. Even in North Korean society, lifetime rituals are changing as a result of external factors, but their original meaning is maintained as an ethical virtue of protecting human morality and recognition. Within the process of unification, true integration of Korean living culture can be achieved through mutual communication and by reviving traditional lifetime rituals.

      • KCI등재
      • KCI등재

        기획논문 : 진주와 남명학의 세계 ; <진주낭군>의 전승 양상과 서사의 의미

        김종군 ( Jong Kun Kim ) 온지학회 2011 溫知論叢 Vol.0 No.29

        이 논문은 서사민요인 <진주낭군>의 전승 양상과 그 서사의 의미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이 작품의 기원과 작품명을 확정하고, 이 민요의 분포상황을 고찰해 보고자 한다. 그리고 전반적인 사설의 구조를 비교하여 표준형과 변이형을 구분하고, 그 변이 양상과 의미를 살피고자 한다. 내용적인 측면에서는 비극적 결말을 맞는 며느리의 삶을 통해 사회적 약자로서의 여성의 삶과 그 서사의 의미를 파악하고자 한다. <진주낭군>은 진주 기생 월정화 고사에서 기원한 진주 지역의 노래라고 보아야 한다. 아울러 그 제목도 현재 통칭되는 <진주난봉가>의 부정적인 이미지를 벗고, 서사에 담긴 의미를 충실히 표출할 수 있는 <진주낭군>이 적절하다고 판단된다. <진주낭군>의 전승지역은 현재 조사된 자료를 근거로 파악하면 영호남 지역에 주로 분포하고, 충청 이북권역으로는 전파가 이루어지지 않은 특성을 찾을 수 있다. 그리고 그 사설은 순차적인 단순구조로 표준형의 사설을 비교적 온전히 유지하면서 전승되는 특징이 있다. 그렇지만 표준형의 사설에서는 완결된 서사 맥락을 파악하기에 부족함이 있어, 서두부의 사설이 확대된 변이형을 가지고 그 완형의 서사를 재구성할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보다면 <진주낭군>의 서사적 의미는 고된 시집살이를 참아가며 남편의 출세와 사랑을 기대했던 여성이, 생각 없이 무심하게 행동하는 남편에게 자결로써 강하게 항거하여 남편을 각성시키고 영원한 사랑을 역설적으로 희구하는 강인함에서 찾을 수 있다. 이러한 서사 의미는 영남(경북)지역 내방가사 중 <규원가>류의 서사적 의미와 상통하며 향유 의식도 유사하다고 볼 수 있다. 그 결과 <진주낭군>의 전승이 경북 지역에 집중된 것으로 판단된다. This paper is intended to illuminate traditional aspects of an epic folk song <Jinjunanggun(진주낭군)> and its the meaning of narrative. First, confirm the origin of this work and title, will try to look at the distribution situation of this folk song. And by comparing the structure of overall song lyrics, divide standard pattern and variant pattern, and will check aspects of the variation and the meaning. In terms of content through tragic ending daughters-in-law`s life, would like to understand the women`s life as underprivileged and meaning of the narrative. Proceeded to discuss the results as follows: First, the origin of <Jinjunanggun(진주낭군)> can be found at the <Woljeonghwa(월정화)> published 『Koryosa(고려사)』 「Akji(악지)」. Through it, can be estimated that <Jinjunanggun(진주낭군)> is the song occurred in Jinju region. Second, the most appropriate name designated this work is <Jinjunanggun(진주낭군)>. Third, the distribution of the work by focusing occurred area Jinju, mainly has been handed down in the adjacent central south region. Fourth, as the song lyrics have sequential structure and simple structure, little variation, in the process which is said it, primarily have maintained standard pattern. Fifth, the meaning of the narrative of this work can be said strong protest about her husband`s betrayed and unjust tyranny. However at the end, by the device that does not end with hate, protest, yet paradoxically, is longing for her husband`s love. These the meaning of the narrative is the point which equals with Zenana lyrics of women`s literature.

      • KCI등재

        통합서사의 개념과 통합을 위한 문화사적 장치

        김종군(Kim, Jong Kun)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5 통일인문학 Vol.61 No.-

        이 글은 현대 한국 사회의 첨예한 갈등이 분단과 한국전쟁이라는 역사적인 사건과 분단체제에서 비롯되었다고 진단하고, 이를 통합하기 위한 문화적인 장치들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한국 사회 갈등의 주요 원인인 분단서사는 분단과 한국전쟁이라는 역사적 사건, 분단체제의 지속 속에서 형성된 한국 사회의 갈등을 그대로 안고 있는 사고와 말하기 방식이다. 통합서사의 개념은 이러한 분단서사를 완화시키는 일련의 인간 활동으로 사회를 통합시키는 서사적 장치로 보고 접근한다. 분단서사를 넘어서 통합서사로 가는 데는 몇 단계의 완화 과정이 있다. 1단계는 신변의 안전이 확보된 상태에서 고발을 통한 해원(解寃)의 서사이다. 2단계는 적대하는 상대를 동정(同情)의 시각으로 보는 포용(包容)의 서사이다. 3단계는 화해(和解)를 통한 통합서사의 완성이다. 이러한 통합서사의 단계는 반드시 순차적이라고 할 수는 없다. 사람의 심리나 정서적인 측면에 호소하거나 치유를 시도함으로써 온전한 사회 통합, 국가 통일은 가능하다. 통일이나 통합의 장치로서 문학이나 예술영역의 인문학이 갖는 강점이 여기에 있다. 한국 역사에 등장하는 다양한 이야기에서 해원의 서사, 포용의 서사, 통합의 서사 사례를 찾을 수 있다. 이것을 현대의 분단서사를 극복하는 문화적 장치로 활용해 볼 수 있다. 그리고 통합서사의 담론화를 통해 사회적으로 확산하고, 이를 통해 분단 트라우마를 치유할 수 있다. This article is to diagnose that sharp social conflicts of the modern South Korea has been derived from historical events of division and Korea War and the division system, to study on the cultural devices for integrating them. The division narrative of main cause of South Korea social conflict is thinking and speaking manner showing the conflict of South Korea formed in the continuation of the division system based on historical events of division and Korea war. The concept of integration narrative is a narrative device integrating the society as a series of human activities to mitigate the division narrative. There are mitigation courses of several steps to go to the integration narrative over the division narrative. Step 1 is the narrative of solving grudge through prosecution while ensuring safety of the personal. Step 2 is the narrative of tolerance seeing opponents with the perspective of sympathy. Step 3 is a completion of integration narrative through reconciliation. These steps of Integration narrative might not necessarily be sequential. Full social integration and national unity are possible by trying to heal as appealing to people’s psychological and emotional aspects. The humane studies in literature or art area is most suitable as a device of unity and integration. We can find examples of narrative of solving grudge, narrative of tolerance and narrative of integration in stories appeared in Korea history. This Can be taken advantage as a cultural device to overcome the modern division narrative. And spread socially through discussions of integration narrative, can heal the trauma of division through them.

      • KCI등재
      • KCI등재

        <강도몽유록>을 통한 고통의 연대와 통합서사의 사회적 담론화 모형

        김종군 ( Kim Jong-kun ) 한국문학치료학회 2016 문학치료연구 Vol.40 No.-

        이 글에서는 분단된 한반도의 통일과정과 통일 이후 사회 통합의 본질이 될 정서적 치유를 위한 장치로, 통합서사의 사회적 확산 모형을 고소설 <강도몽유록>에서 찾고자 한다. 우선 우리의 비극적 역사인 병자호란에서 억울하게 죽은 여성들의 하소연을 담은 <강도몽유록>을 통해 고통의 연대 양상과 기억서사의 사회적 담론화 모형을 도출한다. 그리고 이 모형을 현대사의 분단 트라우마 증언담의 사례에 적용해 봄으로써 사회 통합의 장치로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한다. 또한, 전쟁 속에서 가해진 고통을 호소하는 이야기나 소설을 사회적 확산 장치로 보고, 서사 속 고통에 대중이 연대하는 가운데 1차적인 치유가 이루어 지면서 더 나아가 사회 통합이 가능하다는 모형을 제안한다. 몽유록은 서사 구조가 고통의 연대를 통해 서로 위로받고 치유를 거두는 담론의 장 구조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형태는 전쟁 체험담의 구술현장과 매우 흡사한 구조로 보인다. 그리고 작품에 등장하는 15명의 여인들은 각자의 신분과 처지에 따라 자신의 죽음에 대해 원망을 표출했고, 각자의 고통스러운 사연에 연대를 표하는 가운데 치유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 통일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지속적으로 버텀업(botoom-up) 방식의 통합서사 확산 노력이 필요하다. 그 방식을 <강도몽유록>에서 차용할 수 있다. 분단 트라우마의 실상을 파악하기 위해 피해자들이 상처를 증언하도록 하고, 이를 경청하면서 고통에 공명하는 가운데 치유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개인적 차원의 고통의 연대가 가능한 증언을 모아서 1차 증언자료로 출판하거나 2차적인 콘텐츠로 개발 보급하는 사회적 담론화 과정을 거친다면 공동체 차원의 고통의 연대가 가능할 것이다. 이러한 통합서사에 담긴 고통에 공동체가 연대하는 가운데 우리 사회에 집단적 형태로 만연해 있는 분단 트라우마는 어느 정도 치유될 수 있을 것이고, 사회적 통합은 알지 못하는 사이에 이루어질 것이다. 이러한 모형 탐색은 우리 역사와 고전 속에 담긴 치유와 통합을 위한 역사문화적인 장치를 현대에 적용하는 일은 우리 고전의 가치를 드높이는 시도로서 그 의미가 크다고 하겠다. This article aims to find a way to heal the trauma of division through a model developed in the Korean old novel < Gang-do-mongyurok(강도 몽유록) >. Its goal is to help people connect with their suffering and with each other, after hearing the stories of people who suffered damage in war. As such suffering is widespread in society, the hypothesis is proposed that their wounds can be healed and that the community can be integrated. The process is as follows. First, we derive aspects of the solidarity created by sharing painful experiences and model the social discourse of the memorial narrative from the < Gang-do-mongyurok(강도몽유록) >, a book containing complaints of women in the Manchu War 1636, a tragic period in the history of Korea. Second, we suggest the possibility of using this model as a device for achieving social integration by applying it in the case of witness narratives about the divisive nature of trauma in modern history. Third, by reading stories or novels about the suffering imposed by war as a social diffusion device, people feel solidarity with the pain in the narrative; once this primary healing is done, we further propose a model by which social integration is possible. The narrative structure of < Mongyurok > can be called the structure of a place of discourse, where people can console themselves and heal each other through the solidarity of suffering. This form has a very similar structure to collections of oral histories of war experiences. Fifteen of the women who appeared in the work expressed resentment about their own death, according to their status and position; they also began to heal, experiencing solidarity with each other through sharing their painful stor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