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총채벌레 천적 으뜸애꽃노린재(Orius strigicollis)와 미끌애꽃노린재(Orius laevigatus)의 생물학적 특성 비교

        김정환,김황용,변영웅,김용헌,Kim, Jeong-Hwan,Kim, Hwang-Yong,Byoun, Young-Woong,Kim, Yong-Heon 한국응용곤충학회 2008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47 No.4

        국내종인 으뜸애꽃노린재와 유럽종인 미끌애꽃노린재의 알, 약충 발육기간과 성충의 산란수, 수명, 포식량 및 포장밀도에서 증가량을 비교하였다. 으뜸애꽃노린재와 미끌애꽃노린재의 $15{\sim}30^{\circ}C$에서 알 부화율은 각각 $46.7{\sim}88.2%$와 $65.0{\sim}89.9%$였고, 알기간은 각각 $3.1{\sim}14.9$일과 $3.1{\sim}13.5$일이었다. 두 종의 약충 발육기간은 각각 $9.4{\sim}42.8$일과 $9.3{\sim}42.0$일이었고, 약충기간 생존율은 각각 $2.4{\sim}96.5%$와 $4.3{\sim}80.6%$였다. 두 종의 산란수는 15, 20, 25, 30, $35^{\circ}C$에서 각각 28.1, 107.9, 123.6, 127.3, 18.1개와 101.8, 218.6, 224.5, 219.5, 15.7개였고, 성충수명은 각각 63.4, 40.1, 22.1, 18.3, 11.0일과 70.6, 66.4, 32.6, 34.5, 7.3일로 으뜸애꽃노린재에 비해 미끌애꽃노린재의 산란수가 많고 성충수명은 길었다. 으뜸애꽃노린재와 미끌애꽃노린재의 온도와 일장에 의한 산란수는 $18^{\circ}C$, 16L:8D에서 각각 105.8개와 109.5개였고, 10L:14D에서 각각 1.0개와 63.0개였다. $25^{\circ}C$, 16L:8D에서 각각 142.4개와 191.5개였고, 10L:14D에서 각각 31.8개와 198.8개로 으뜸애꽃노린재는 $18^{\circ}C$, 10L:14D에서에 거의 모든 개체가 휴면하지만 미끌에꽃노린재는 휴면하지 않는다, 으뜸애꽃노린재와 미끌애꽃노린재의 꽃노랑총채벌레 2령 하루 포식량은 각각 14.3마리와 10.9마리이다. 겨울작형 시설재배 파프리카에서 으뜸애꽃노린재는 5월 중순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여 7월 상순에는 꽃당 1.8마리로 증가하였다. 미끌애꽃노린재는 3월 중순부터 증가하여 6월 상순에는 꽃당 6.6마리로 증가하는 과밀도 현상을 보였다. With the comparison of native Orius strigicollis (Poppius) to European O. laevigatus (Fieber), we investigated biological characteristics such as developmental period, fecundity, life span, predation ability, and augmentation after release.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at five temperature condition, $15^{\circ}C\;20^{\circ}C,\;25^{\circ}C\;30^{\circ}C$, and $35^{\circ}C$. In the case of O. strigicollis, egg period was $3.1{\sim}14.9$ days (hatchability: $46.7{\sim}88.2%$), and developmental period of nymphs was $9.4{\sim}42.8$ days (survival rate: $2.4{\sim}96.5%$). Fecundity at each temperature was 28.1, 107.9, 123.6, 127.3, and 18.1, respectively. Life span of adults was 63.4, 40.1, 22.1, 18.3, and 11.0 days, respectively. In the case of O. laevigatus, egg period was $3.1{\sim}13.5$ days (hatchability: $65.0{\sim}89.9%$), and developmental period of nymphs was $9.3{\sim}42.0$ (survival rate: $4.3{\sim}80.6%$) days. Fecundity at each temperature was 101.8, 218.6, 224.5, 219.5, and 15.7. Life span of adults was 70.6, 66.4, 32.6, 34.5, and 7.3 days, respectively. In long-day condition (16L:8D), fecundity of O. strigicollis and O. laevigatus was 105.8 $(18^{\circ}C){\sim}142.4(25^{\circ}C)$ and 109.5 $(18^{\circ}C){\sim}191.5(25^{\circ}C)$, respectively. In short-day condition (10L:14D), fecundity of them was 1.0 $(18^{\circ}C){\sim}31.8(25^{\circ}C)$ and 63.0 $(18^{\circ}C){\sim}198.8(25^{\circ}C)$, respectively. Daily prey consumption of second instar Frankliniella occidentalis was 14.3 and 10.9, respectively. In greenhouse, density of O. strigicollis begins to increase from mid May and peaked about early July (1.8 individual/flower), while that of O. laevigatus begins to increase from mid March and peaked about early June (6.6 individual/flower).

      • KCI등재

        아메리카잎굴파리 (Liriomyza trifolii)의 외부기생봉 굴파리좀벌 (Diglyphus isaea)의 생태적 특성 및 저장 조건 구명

        김정환,변영웅,김용헌,김황용,Kim, Jeong-Hwan,Byoun, Young-Woong,Kim, Yong-Heon,Kim, Hwang-Yong 한국응용곤충학회 2007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46 No.1

        아메리카잎굴파리 외부기생봉인 굴파리좀벌의 온도별 알, 유충, 번데기 발육기간과 성충의 산란수, 기주체액 흡즙수, 성충수명, 저온 저장력 등을 조사하였다. 굴파리좀벌의 알기간, 유충기간, 번데기 기간은 $25^{\circ}C$에서 각각 1.3일, 4.5일, 6.3일이었다. 성충의 산란수, 기주체액 흡즙수, 성충수명은 $25^{\circ}C$에서 각각 305.3마리, 657.0마리, 25.1일이었다. 아메리카잎굴파리 유충 영기별 굴파리좀벌의 산란선호성과 흡즙선호성을 조사한 결과 각각 90.2%와 82.8%가 3령 유충에 집중되었다. 굴파리좀벌의 저온저장에 따른 50% 생존기간은 꿀물 20%희석 용액을 제공할 경우 $5^{\circ}C,\; 10^{\circ}C,\;15^{\circ}C$에서 각각 180일, 150일, 90일이었다. 굴파리좀벌 저온저장 후 산란수는 저장기간 30일, 70일, 140일에서 각각 190.8개, 104.0개, 89.4개였다. Experiments have been performed to investigate 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Diglyphus isaea (Walker), an ectoparasite of Liriomyza trifolii (Burgess). At $25^{\circ}C$, development time of D. isaea was estimated as 1.3 days for eggs, 4.5 days for larvae and 6.3 days for pupae. Adult longevity was 25.1 days, and a female adult could lay 305.3 eggs throughout its lifetime. Number of L. trifolii parasitized or killed by the wasp was 962.2 individuals/adult. Most of all parasitized or killed larvae were identified as third instar. With 20% honeyed water as food source, half of the adults could survive 180 days at $5^{\circ}C$, 150 days at $10^{\circ}C$, and 90 days at $15^{\circ}C$. After storing at $10^{\circ}C$ with absolute honey for 30 days, 70 days and 140 days, a female adult in room temperature laid eggs 190.8 individuals, 104.0 individuals and 89.4 individuals, respectively.

      • KCI등재
      • KCI등재

        옥동단층(玉洞斷層)

        김정환,고희재,기원서,Kim, Jeong Hwan,Koh, Hee Jae,Kee, Weon Seo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1989 자원환경지질 Vol.22 No.3

        The Okdong Fault is situated in Okdong-Hamchang area, the central part of Korea. The area consists of Precambrian gneisses and granitoids, Paleozoic clastic and carbonate rocks, and Mesozoic clastic rocks and igneous intrusives. The Okdong Fault is situated along contact boundary between the lowermost Cambrian Basal Quartzite and Precambrian basements. Mylonites occur as narrow zone which is extended over 100km and is restricted to within 10m-30m along the Okdong Fault. The main features of mylonites are quartz mylonite derived from Cambrian Basal Quartzite and mylonitic granitoids from Precambrian granitoids. Movement sense is deduced as a sinistral strike-slip movement with evidence of rotation of sheared porphyroclasts, rotation of fragments and S/C-bands. The mylonite zone has been reactivated as fault which reveals oblique-slip movement. The fault resurges as faults which reveals normal(to the NW) and reverse(to the SE) dip-slip movement. Normal faults are dominant in the northern and southern part and reverse or thrust faults are dominant in the central part of the Okdong Fault. The thrust movement can be correlated with the Daebo Orogeny of Jurassic Period. Granites and dyke rocks intruded into Paleozoic and Precambrian rocks during Cretaceous Period.

      • SCOPUSKCI등재
      • KCI등재

        Structural Analysis of the Danyang Area, Danyang Coalfield, Korea

        김정환,고희재,Kim, Jeong Hwan,Koh, Hee Jae The Korean Society of Economic and Environmental G 1992 자원환경지질 Vol.25 No.1

        단양지역은 단양탄전 서남부에 위치하며, 습곡작용과 드러스트 단층운동을 받은 중생대와 고생대 지층들로 구성되어 있다. 연구지역은 대규모의 조구조선, 동으로는 옥동단층과 서쪽에는 각동 드러스트 단층으로 경계지워져 있다. 연구지역내에 발달하고 있는 지질구조 요소들을 해석한 결과 연구지역내의 지층들이 4번에 걸쳐서 변형작용을 받았다. 옥동단층을 따라서 발달하고 있는 압쇄대는 첫번째 변형작용($D_1$) 중에 형성되었으며, 이와 관련된 구조로는 장산규암층내에 불연속적으로 발달하고 있는 압쇄대와 조서누층군내의 지층에 평행하게 발달한 인장(引長, pull-apart)구조들이 관찰된다. 두번째 변형작용중에 형성된 지질구조($D_2$)로는 북서방향의 습곡구조와 선구조들이며, 이러한 구조들은 대동 누층군 내에서는 관찰되지 않는다. 한반도 전역에 영향을 준 대보조산운동의 결과로 형성된 지질 구조들로는 ($D_3$) 각동 드러스트를 비롯한 북동방향의 드러스트 단층들과 습곡구조 등이다. 이 기간 동안에 기존의 지질구조들은 더 tight해졌으며, 변형되고 북동방향으로 회전되었다. 최후기의 변형작용($D_4$) 중에 동-서 방향의 죽령단층과 미약한 습곡구조가 형성되었다. 죽령단층내의 지층들은 주향이동 단층운동중에 회전되고 transpression의 영향을 받았다. The Danyang area consists of the thrust and folded sedimentary rocks of Paleozoic and Mesozoic Era. The area is bounded by major tectonic units which are the Gagdong Thrust to the west and the Okdong Fault to the east. According to the structural analyses, the area is affected by polyphase deformation. This study establishes deformational sequence in the area. Mylonite zone along the Okdong Fault corresponds to the first generation of structures ($D_1$). $D_1$-structures are discrete shear zone in the Jangsan Formation and bedding parallel extensional deformation in the Cambro-Ordovician sequences. $D_2$-structures were formed prior to the sedimentation of the Jurassic Bansong Group, which are the NW-trending fold and linear structures. After sedimentation of the Bansong Group, the area is strongly affected by the Daebo Orogeny which produces NE-trending thrusts, folds and linear structures. Earlier structures were tightened and rotated toward NE. Some thrust faults did not propagate into the Bansong Group. It is suggested either the Bansong Group acted as a decoupling horizon or rest on unconformably on the thrust faults. The area is weakly affected by $D_4$-event of which structures are E-W trending folds and faults. The Jugryeong Fault clearly cut the earlier folds and thrust faults. The rocks within the fault zone were sliced and rotated during the strike-slip movements. Block rotation and transpressional features can be commonly observed.

      • 리사이클과 파렛트의 새로운 사업 전개에 도전

        김정환,Kim, Jeong-Hwan 한국파렛트컨테이너협회 2006 파렛트 뉴스 Vol.41 No.-

        본 보고서는 일본 마테리얼 플로(MATERIAL FLOW)월간지(2004년7월호)에 MF REPORT로서 기후플라스틱공업 주식회사가 플라스틱 파렛트의 Closed recycle전개에 도전한 내용을 번역한 것이다.-편집자 주-

      • 제3세계 항공산업의 부상

        김정환,Kim, Jeong-Hwan 한국방위산업진흥회 1988 國防과 技術 Vol.- No.112

        1960년대와 197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항공기를 획득하고자 하는 나라에 대해 적당한 공급처는 두군데 밖에 없었다. 이런 여건은 그 나라의 정치적인 입장에 따라 차이가 있어 "진보적 " 이거나 "사회주의"인 국가는 동구권 (주로 소련) 에서, 그렇지 않은 국가는 미국이나 유럽에서 공급원을 물색하였다. 여기에 "비동맹"을 표방한 국가들은 어느쪽에서든 항공기를 획득할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