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바람난 아내 이야기에 대한 두 개의 시선을 통해 본 분노서사와 그 극복 가능성

        김정애 ( Kim Jeong-ae ) 한국문학치료학회 2014 문학치료연구 Vol.31 No.-

        이 논문은 다른 이성을 마음에 품고 있는 아내에 대한 남편의 분노 문제와 그것의 해결 가능성을 탐색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문학치료학적 관점에 입각하여 바람난 아내에 대한 분노서사를 찾아보고 그로부터 벗어날 수 있는 극복서사도 아울러 탐색해 보았다. 논의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바람난 아내에 대한 이야기에는 양립하기 어려운 두 개의 시선이 존재한다. 하나는 아내가 다른 이성과 행복하게 살기를 응원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아내가 다른 이성과 사는 것은 불륜으로 취급되어 반드시 파국에 이르게 될 것이라는 것이다. 이 두 시선은 결코 화해 불가능한 것이며, 따라서 남편의 분노를 더욱 증폭시킨다 할 수 있다. 둘째, 화해 불가능한 두 개의 시선을 잘 보여주는 분노서사로 <뒤주 태운 남편과 간부 제사지낸 아내>를 거론해 볼 수 있다. 이 작품에서 남편은 아내의 마음에 두 남자가 공존할 수 있다는 생각을 받아들이기 어려워 아내를 부정하게 된다. 셋째, 두 개의 시선을 화해가능하게 만드는 작품서사로는 <아내의 전남편 제사지낸 아버지>를 거론해 볼 수 있다. 이 작품에서 남편은 아내의 전남편을 은인으로 이해하고 있으며, 아내의 마음에 다른 남자가 존재하고 있었다는 사실을 부정하지 않는다. 이렇게 분노서사를 극복할 수 있는 대안은 1:1의 관계를 맺어야 한다는 배타적 생각이 관계를 오히려 위태롭게 할 수 있다는 생각으로 이어져야 하고 아내를 독점의 대상이 아닌 그 존재 자체를 인정할 때 그 분노가 조절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eal the problem of the anger and the possibility to overcome anger by analyzing two types of the standpoint on the tale of a flirtatious wife. For this purpose, based on review of earlier studies in literary therapeutics, anger epic on the tale of a flirtatious wife is studied. The results of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wo position in the tale of a flirtatious wife can not coexist. One is to support a flirtatious wife and adulterer. The other is to reproach saying immoral conduct. So two types of standpoint is difficult to compromise, and increase the emotion of anger. Second, < A Wife Holding a Memorial Service for adulterer > can be present as a anger epic. The husband in this story denied the fact that his wife can keep her mind on two man. Third, < A Wife who holds a ceremony for ex-husband > can be present as the epic to overcome anger. The husband in this story did not deny the fact that his wife can keep her mind on two man. And he regarded an adulterer as a benefactor. As a result, this paper present that we have to escape from the thought to possess exclusively his wife for controlling anger.

      • KCI등재후보

        아동의 설화반응 사례로 본 문학치료 프로그램의 효과 연구 - `교육적 배려 대상자의 문해력 신장을 위한 문학치료 프로그램`을 대상으로 -

        김정애 ( Kim Jeong-ae ),황혜진 ( Hwang Hye-jin ) 한국문학치료학회 2010 문학치료연구 Vol.14 No.-

        이 연구는 `교육적 배려 대상자의 문해력 신장을 위한 문학치료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이는 문해력 신장과 문학치료 프로그램의 연동 가능성을 천착하기 위한 것이며, 이를 통해 국어교육의 방법적 영역을 확장하고 체계화하기 위한 것이기도 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필자가 프로그램 활동을 실시했던 복지관의 한 아동을 대상으로 사례를 분석하여 문학치료의 효과성을 입증하고자 했다. 그 결과 본 연구에서 주목한 아동인, 은희는 자녀서사영역과 남녀서사영역의 설화를 통해 자기서사적 특성을 드러냈다. 즉 `세상`의 `법칙`에 지나치게 얽매여 `나`의 `소망`에는 관심을 기울이지 못한다는 특성을 드러내었다. 그러나 총 25회기에 걸친 프로그램이 진행되면서, 은희에게 많은 변화가 일어났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활동에 임하는 은희의 태도가 상당히 변화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테면 프로그램 초반에 은희는 상당히 위축되고 산만한 면도 보였었는데, 프로그램 종결 시점에서는 집중력과 적극성을 보이기도 했었다. 둘째는, 설화 반응을 통해 은희의 자기서사의 특성이 달라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예로, 은희는 <여우구슬>이라는 설화의 서사적 흐름을 이해하고, 그것을 온전하게 재구성하는 결과물을 산출하기도 했다. 따라서, 은희의 태도 변화는 본 프로그램의 활동에서 자기서사를 변화시키는 데에도 기여했다. 셋째, 은희는 이러한 자기서사의 변화와 함께 서사 요약 능력이나 문장 구성 능력에서 점차로 많은 변화를 일으킴으로써 문해력에도 뚜렷한 변화가 드러났다. 결국, 은희의 자기서사의 변화와 문해력의 신장은 곧 총25회기 동안 강사와 은희 사이의 교호작용에 의한 것이고, 특히 `문학`이라는 것이 이를 단단하게 묶어주는 중요한 기제로 작동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종합적인 작용이 은희의 성공적인 변화를 이룩한 것이라고 본다. 따라서 본 연구는 문해력 신장이라는 국어교육의 하나의 과제를 문학치료와의 연동을 통해 충분히 수행해 나갈 수 있음을 입증한 것이라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verify the effect of literary therapeutic program on improving literacy of children. We tried to research that literacy is connected with literary therapeutics, and to systematize the theoretic realm of Korean education. Based on the aspects above, by studying a child(false name: Eun-hee), a participant of the program, this paper focused on verifying the effect of`literary therapeutic program` As a result, we find that she showed the characteristics of `epic of self` through the response of folk tale about `son and daughter epic` and `man and woman epic`. That is, she showed the characteristics that she couldn`t pay attention to `I and desire`, being suppressed by `world and principle`. But she was changed so much during the 25 session. First, her attitude was changed in process. For example, compared with her intimidation and lack of attention in the initial phase, she adopted a positive attitude in final phase. Second, she was changed in the epical characteristics about response of folk tale, too. For instance, she understood the epical context on < the bead of fox >, and created new story completely. So we can guess that the this change of attitude make a contribution to the change of her `epic of self`. Third, with a change in `epic of self`, she was improved gradually in her literacy: ability of summation and composition about folk tale. Consequently, `epic of self` and `literacy` were changed by interacting between Eun-hee and the instructor. Especially, `epic` played an important role in making close them.

      • KCI등재후보

        이어쓰기 활동을 통해 본 <문둥이 처녀와 동침한 총각>의 문학치료적 활용 가능성

        김정애 ( Kim Jeong-ae ) 한국문학치료학회 2010 문학치료연구 Vol.16 No.-

        이 연구는 설화 <문둥이 처녀와 동침한 총각>의 문학치료적 활용 가능성을 탐색하기 위한 것이다. 설화를 활용하여 이어쓰기 활동을 실시하고, 그 결과에서 발견되는 성 인식의 문제는 무엇이고 그것을 조정하는 데 <문둥이 처녀와 동침한 총각>이 어떤 기여를 할 수 있는지에 맞춘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대학교의 글쓰기 강의에서 학생들이 작성한 이어쓰기 결과를 분석하였다. 여러 학생들의 반응 중 연구자는 4가지 유형의 반응에 주목하였다. 반응의 유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반응 <1>은 총각이 처녀와 동침한 사실보다는 현재 눈에 문둥이로 보인다는 사실에 집중함으로써, 처녀에 대한 분노를 표출하고 그 결과 죽음을 자초하는 내용이다. 이 반응 <1>은 설화 <신립장군과 원귀>와 가까운 거리에 놓여 있는 자기서사를 지향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반응 <2>는 역시 총각이 처녀와 동침한 사실보다는 처녀가 문둥이 라는 사실에 집중함으로써 문둥이 처녀와 함께 살지만 서로에게 발전적이지 못한 자포자기적인 삶의 방식을 드러내는 내용이다. 이 반응 <2>는 설화 <나무꾼과 선녀>의 선녀 입장의 서사와 근거리에 있다고 판단되었다. 셋째, 반응 <3>은 처녀가 문둥이라는 사실에 충격을 받긴 하지만 처녀에게서 긍정적인 면을 발견함으로써 무기력했던 인물이 매우 적극적인 인물로 탈바꿈하고 처녀를 위한 희생으로 보상까지 받는 내용으로 그려진다. 이 반응 <3>은 <지네각시> 설화와 유사한 자기서사를 지향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넷째, 반응 <4>는 <3>과 마찬가지로 처녀가 문둥이라는 사실에 충격을 받긴 하지만 어젯밤의 자신과 현재 충격받는 자신의 모습을 직시하게 되면서 성적 욕망의 허와 실이 어디에서 기인하는가까지 고민함으로써 자신의 삶을 더욱 성장시키고 처녀와의 관계도 공고히 하는 내용이다. 이 반응 <4>는 설화 <거지 여자와 동침하고 벼슬 얻은 남자>와 근거리에 있는 자기서사를 지향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 유형들을 통해, 연구자는 각각의 반응에서 성적 욕망에 대한 인식이 어떤 방식으로 왜곡되는지 파악하게 되었다. 그것의 조정 가능성도 조망할 수 있게 되었다. 따라서 이 논문은 연구자가 학생들의 성 인식이 어떻게 왜곡되고 어떻게 조정가능한가를 탐색하는 데에만 집중한 것이지만, 앞으로 본고에서 추출된 4가지 유형으로 하여금 성 인식에 대한 자기서사의 치료에도 활용될 것으로 전망된다. This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 applicability of literary therapeutics on < A Maid Leper and Bachelor >. This paper is focused on searching and restructuring basic understanding about sex through after-story subsequent writing about < A Maid Leper and Bachelor >. I analyzed that the students wrote about < A Maid Leper and Bachelor > in college lecture. And I look at four response. The result are as follows. First, the response <1> is that the bachelor concentrates his mind on the facts which the maid is leper, and the bachelor expresses his anger and dies. The epic of the self of this response is closes to < The General Shin Lip and The Female ghost >. Second, the response <2> is that the bachelor concentrates his mind on facts which the maid is leper, and the bachelor lives in a state of lethargy. The epic of the self of this response is closes to < Woodcutter and nymph >. Third, the response <3> is that the bachelor discovers affirmative things of the maid, and the bachelor changes actively. The epic of the self of this response is closes to < A centipede Woman >. Fourth, the response <4> is that the bachelor realized an intrinsic attribute about sexual desire, and the bachelor changes his life affirmatively. The epic of the self of this response is closes to < The female beggar and the man who secures a government position >. I understand the aspects that the students distort about sexual desire in this four responses, and I can take a view of the possibility of change. So this four types will be able to use in literary therapy

      • KCI등재

        <옥단춘전>에 나타난 옥단춘의 지감능력과 그 문학치료적 의미

        김정애 ( Kim Jeong-ae ) 한국문학치료학회 2012 문학치료연구 Vol.24 No.-

        이 논문은 <옥단춘전>에 나타난 옥단춘의 지감능력의 의미를 문학치료적 관점에 의거하여 분석하고자 한 것이다. 작품에서 이혈룡은 추레하고 무능해 보여 여기서 이혈룡의 `비범성`을 포착하기는 어려워 보였다. 그래서 그동안의 연구에서는 비범성의 근거를 소설의 결말부에서 찾으려하거나 혹은 소설 <옥단춘전>의 가치가 저평가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본고에서는 옥단춘이 이혈룡과의 첫만남에서 미래를 예측하고 이혈룡을 도와줄 수 있었던 옥단춘의 지감능력을 하나의 서사파악능력으로 이해함으로써, 결코 계산적인 행동방식이 아니라 이혈룡의 삶을 조망함으로써 연애감정을 증폭시키는 계기일 수 있음을 알게 되었다. 특히 옥단춘이 이혈룡에게서 발견한 단서들은 매우 단편적인 것들이었지만 그것들이 내포하는 서사는 <흥보가>에서 관계를 지속하는 데 집중하며 착함을 실천했던 흥보의 서사와 닮아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옥단춘은 단편적인 사건만으로도 이혈룡의 삶을 조망할 만큼의 지감을 소유했다는 점에서 뛰어난 서사능력을 소유한 인물이라고 보았다. 그리고 이러한 서사능력은 오늘날 우리가 연애를 성공적으로 견인하는 데에도 매우 유용한 요건일 수 있음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우리가 이성을 선택하고 연애를 할 적에 발생하는 판단의 착오를 최소화할 수 있는 지침이 될 수도 있다는 것을 전망해 볼 수 있겠다. This paper is to reveal the capability of Ji-gam(知感能力) and the meaning of literary therapeutics on Gojeonsoseul < Ok Taan Chun Cheon >. So I analyzed Ok Taan-Chunon`s the capability of Ji-gam(知感能力) in viewpoint of literary therapeutics. We are difficult to discover an uncommon quality of Lee Hyeol-ryong because he looks like an untidy and incompetent person at the opening part of < Ok Taan Chun Cheon >. So < Ok Taan Chun Cheon > has been estimated lowly by some researcher. But I understand that the capability of Ji-gam(知感能力) is not cupboard way of behaving but opportunity of increasing the emotion of love through viewing Lee Hyeol-ryong`s life, by regarding Ok Taan-Chunon`s the capability of Ji-gam(知感能力) as the capability of epic. Especially, Lee Hyeol-ryong`s life is similar to hung-bo`s life in viewpoint of epical structure. For instance, the epic of Lee Hyeol-ryong is similar that hung-bo practices goodness by concentrating his mind on maintaining human relations. So I see that Ok Taan-Chunon has superior capability of epic, because she discovers the epic of hung-bo in Lee Hyeol-ryong`s life. And I make sure that this ability is useful to guide successful love nowadays. If we have this capability of epic, we should reduce making a mistakes when we select and love the other sex.

      • KCI등재

        설화 <부부 동침으로 지킨 명당〉에 나타난 운명 바꾸기의 문학치료학적 의미 - 영화 <컨트롤러〉와의 서사 비교를 통하여 -

        김정애 ( Kim Jeong-ae ) 한국문학치료학회 2015 문학치료연구 Vol.37 No.-

        이 논문은 설화 <부부 동침으로 지킨 명당〉에서 발복을 하는 이유와 의미를 문학치료학적 관점에 입각하여 밝혀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영화 <컨트롤러〉와 서사 비교를 시도하였다. 서사의 비교 결과, 두 작품에 표면적으로 드러나는 텍스트 상의 차서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두 작품 모두 사랑의 성취가 천상의 질서에 위배됨에도 불구하고 사랑의 감정에 충실한 결과 천상의 질서까지 재편하게 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드러냈다. 다시 말해 이성과 충동의 길 항속에서 충동적 감정에 귀를 기울이고 그것에 충실한 결과, 한계로 다가 왔던 운명을 새롭게 수정할 수 있게 되었다는 점이 공통적이라 할 수 있었다. 이런 맥락으로 <부부 동침으로 지킨 명당〉을 이해할 때 갖는 문학치료 학적 의미는 첫째, 적어도 이 작품의 서사에 공감할 수 있다면, 인간적 한계에 직면한 사람이 원초적인 방법을 선택한다는 것이 곧 인간다운 방법일 수 있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길이 될 수 있음을 인지하고 있다고 진단해볼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서사를 자기서사로 가지고 있다면 직면한 한계에 좌절하지 않고 그 한계를 만들게 한 법칙을 수정할 수도 있다는 가능성까지 내다볼 수 있는 역량을 확보하였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이 설화가 영화 <컨트롤러〉와 유사한 자장 안에 있다는 것은, <부부 동침으로 지킨 명당〉이 하나의 원형으로 존재하면서 다양한 형태로 변개되고 창작의 추동력이 될 뿐 아니라 사람의 자기서사에도 영향을 미쳐 많은 사람들이 기억하고 구연하게 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태의 텍스트로 변개 및 수정될 수 있는 가능성도 전망할 수 있다고 설명해볼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reveal the reason for and significance behind the main character`s fate changing for the better in <A good grave where was gained by sex of husband and wife〉based on the viewpoint of literary therapeutics. To this end, I compared the epic of this story with the epic of the film〈Controller〉from the point of view of literary therapeutics. The results of this comparison revealed that even though there are several differences in the texts, both works have important elements in common. First, the love of main characters was against the raw of heaven. Second, their love or sexual impulses could not be controlled by the raw of heaven. Third, they believed their love to be just as precious as their fate. Fourth, the sincerity of the main characters change the raw of heaven. In short, they can change their fate by focusing on and their desire and considering it to be precious. By comparing the two works, I was able to find the meaning of <A good grave where was gained by sex of husband and wife〉. The results of analysis are as follows. If there are people who read and empathize with this story, it can be assumed that they have the ability to change their fate and overcome all difficulty. In other words, they tend to not be limited by the boundaries of fate. Based on the common elements between the two works from the point of view of literary therapeutics, we can consider <A good grave where was gained by sex of husband and wife〉to be an archetype among many works that depict a rivalry between love/desire and fate/raw. Therefore this story can not only attribute motive to create new works but also influence people.

      • KCI등재

        영화 <빈집>에 나타난 `아내의 돌아옴`의 의미 -설화 <복 많은 백정 딸>과의 서사 비교를 통하여-

        김정애 ( Kim Jeong-ae ) 한국문학치료학회 2014 문학치료연구 Vol.33 No.-

        이 논문은 영화 <빈집>에서 폭력적인 남편을 떠난 아내 선화가 다시 남편에게 돌아오는 것의 의미가 무엇인지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삼고 있다. 그리고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고에서는 문학치료학적 관점을 바탕으로 하여 설화 <복 많은 백정 딸>과 서사비교를 하였다. 서사의 비교 결과, 두 작품에 미세한 차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두 작품 모두 폭력적인 남편과 관계를 회복하고 지속해나가는 이야기임을 확인했다. 그리고 영화 <빈집>에서 보이는 선화의 비자발성의 이면에는 선화의 자기 긍정성 혹은 복이 잠재하고 있다는 것도 알게 되었다. 영화 <빈집>에서 선화가 남편에게로 돌아오는 것은 선화가 태석과 함께 한 시간을 통해 자기 성숙에 이르게 된 것에서 기인한다. 자기 성숙에 이른 선화는 남편에게 승리를 선포하는 것이 아니라 주도권을 장악하지 못하는 것에 늘 불안해하는 남편에 대한 연민과 포용이 작동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선화의 귀환 과정을 통해 선화의 남편처럼 주도권 싸움에 지쳐가는 우리들을 발견하게 되며 그러한 과정속에서 선화와 같은 인물이 우리에게 얼마나 중요한 지향점이 되는가를 보여줌으로써 성찰과 새로운 시대에 대한 전망까지 갖게 된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주도권 장악을 위한 투쟁과 집착이 타인을 의심하고 배타하려고 한다는 점에서 우리 스스로가 빈집이 아닌 감옥을 만들고 살아가고 있음을 상기시키고 있다. This paper is to reveal the meaning of reuniting between the wife and the husband in the film <3 Iron>. So I am compared the film <3 Iron> with folklore <a blessed butchers daughter> in viewpoint of literary therapeutics. As a result of comparison, there are a little of differences between two works. But two works have story that reunite and last the relationship between wife and husband. And at first Seonwha shows involuntary attitude, but there are activism, so called bless, in her inside potentially. Returning her home is caused by Seonwha`s maturity through the time to spend time with Taeseok in the film <3 Iron>. So Seonwha does not insist her victory but is under her husband because of mercy toward him. Consequently, Seonwha`s story can help us to memory and reflect ourself who struggle to occupy hegemony. Especially this story shows that we cannnot distinguish our home from the prison real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