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보도사진 표현층위의 조형범주 분석

        김은정(Kim, Un Chong) 한국디지털디자인협의회 2015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5 No.2

        보도사진은 의도를 가진 시각적 표현형식의 구조를 가지고 있는 매체이다. 보도사진 연구는 언어적, 시각적인 측면의 상관성, 카메라를 통한 기계적 약호분석, 의미구조 및 해석, 독자의 반응 및 태도변용, 왜곡, 이데올로기, 정치관련 및 선거보도, 보도윤리 및 사회적 책임, 신문 전체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 등으로 다양하게 행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연구와는 다른 방향성을 가지고자 하였으며, 보도사진은 내용 전달을 목적으로 하므로 큰 영역에서 언어범주에 포함되며, 보도사진의 조형 요소 또한 언어의 규칙 속에 잠재되어 있을 것으로 가정하고 사진 표현면의 구조적 분석을 시도하였다. ‘위험’주제 재난 보도사진으로 범위를 제한하였으며, 플로슈의 조형기호 분석에 기대어 분석틀을 설계하였고, 이를 통해 문법적 차원에서 이미지 분석을 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1,193건의 ‘위험’주제 보도사진을 대상으로 사진이미지 분석에 경험이 있는 디자인학 박사1인, 박사과정3인, 석사 1인이 교차하여 공동으로 분석하는 방법으로 진행하였으며, 연구의 결과 연구자가 설계한 분석틀에 의한 조형범주(위상범주, 색채범주, 형태범주)분석의 가능성을 검증하였고, 각 범주마다 분석의 시각요소가 다양하게 추출되었다. The news photos are the media that have an intention with a visual expressive formation. The studies of the news photos are done in various ways targeting linguistic, correlation in the visual aspects, mechanical code analysis through cameras, structure and interpretation of meaning, response and attitude change of readers, distortion, ideology, politics related and election report, news ethics and social responsibilities, and the entire newspapers. Therefore, this study purposes to have different direction than the previous studies as attempting to have a structural analysis of expressional aspects of photos by assuming that the news photos are included in the range of language if seen widely as it purposes to transfer contents, and the formative elements of news photos may be hidden under the linguistic rules. The range was limited to the disastrous news photos with a topic of ‘danger’, and the analysis frame was designed based on the analysis of Floch`s Visual Semiotic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images in grammatical aspects through such. The study was processed for 1,193 ‘danger’ news photos with an analysis method done by 1 PhD, 3 in the doctoral course, and 1 with master degree in Design who has experiences in photo image analysis to cross analyze together. The result of the study proved the possibility of the plastic art"s range (topological range, color range, formative range) analysis, and each range extracted various visual elements of the analysis.

      • KCI등재후보
      • KCI등재

        그래픽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문자가독성 개선

        김용철(Yang-Chul Kim),김은정(Un-Chong Kim) 한국콘텐츠학회 2008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8 No.12

        본 연구의 목적은 디지털미디어환경에서 가독성을 높이는 앤티에일리어싱에 대한 고찰과 소프트웨어의 다른 기능과 함께 적용하여 보다 가독성을 높이는데 사용되고 있는 복합적인 앤티에일리어싱에 대한 사용사례를 통해 가독성이 높은 표본을 개발하고 실험을 통해 가독성의 정도를 분석하는데 있다. 이 연구의 결과는 실무에서 제목용서체로 사용되고 있는 복합적인 앤티에일리어싱의 사용을 위한 가이드라인의 제시와 함께 향후 개발될 그래픽소프트웨어에서 가독성 구현을 위해 시도할 수 있는 새로운 분야에 대한 가능성을 제시하는데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way of enhancing readability with Anti-Aliasing in digital media environment. Subjects of this paper were established analyzing Anti-Aliasing & Multiple Anti-Aliasing. First, this study is to find a actual condition of using Anti-Aliasing in digital media environment. Then Gathered the information of Multiple Anti-Aliasing samples from internat. I made enhancing readablity result with that information and tested this result for finding the best result for readability. This study will present the guid line for the person who is working as a designer in field to find the best result for readability with Multiple Anti-Aliasing. Also, will show us a readablity's possibility of using Multiple Anti-Aliasing for next verson of graphic software.

      • KCI등재
      • KCI등재

        뉴실버세대를 타깃으로 하는 의류브랜드의 색상전개에 관한 연구

        여화선(Hwa Sun Yeo),최정욱(Jeong Wook Choi),김은정(Un Chong Kim),김혜경(Hae Kyung Kim)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1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7 No.1

        본 연구는 실버세대를 타깃으로 하는 의류브랜드의 색상전개 방향을 알아봄으로써 뉴실버세대를 위한 색채가이드라인을 수립하는데 기초자료로 제안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범위는 국내 의류브랜드 중 실버세대를 타깃으로 하는 의류 브랜드를 컨셉에 따라 ``포멀웨어``, ``캐쥬얼``, ``아웃도어``로 나누고, 이 중 일반 실버세대가 선호하는 브랜드와 뉴실버세대가 선호하는 브랜드로 다시 나누어 연구범위를 정하였다. 이들 브랜드의 제품을 분광측색기를 사용하여 측색하고 이 결과를 분석하였다. 즉, 뉴실버세대를 타깃으로 하는 브랜드와 실버세대를 타깃으로 하는 의류브랜드와의 차이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에 뉴실버세대를 타깃으로 하는 브랜드 내에서도 성별, 시즌, 아이템에 따라 어떻게 색상전개를 달리하는지 알아봄으로써 뉴실버세대를 겨냥한 색채계획의 방향을 제안하는 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먼저 타깃세대 구분에 따른 조사결과를 살펴보면, 뉴실버세대 타깃 브랜드의 경우 고명도에서 저명도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명도를 가진 저채도 색상을 제안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IRI Hue & Tone 120 System에 의거하여 색상분포를 분석한 결과, Yellow, Yellow Red, Purple Blue 색상의 출현빈도가 높았으며, 톤은 고르게 분산되어있으나 특히 Light와 Gray톤의 빈도가 상대적으로 높았다. 무채색의 경우, 고명도 무채색이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실버세대를 타깃으로 하는 브랜드의 경우. 저명도를 선호하고, Green과 Red의 중간 Purple Blue 계열과 Blue 계열의 색상을 주로 제안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하였다. 색상분포는 Purple Blue 색상의 출현빈도가 높았으며, 톤은 Bright와 Dark톤으로 양분되어 나타났다. 무채색의 경우, 저명도 무채색에 집중되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음으로 뉴실버세대 타깃 브랜드의 성별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색상에서 블루계열과 옐로우계열로 두드러지게 대별되며 공통적으로 그레이톤의 저채도 저명도 색상이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뉴실버세대 타깃 브랜드의 시즌별 차이는 색상의 경우, 한색인 블루계열과 난색인 옐로우계열로 극명하게 구분되어졌다. 뿐만 아니라 톤도 S/S엔 밝고 가벼운 톤이, F/W에는 무겁고 어두운 톤의 색상이 보여졌다. 마지막으로 뉴실버세대 타깃 브랜드의 아이템별 색상전개 현황을 살펴본 결과, 정장과 캐쥬얼의 경우 색상은 비슷하게 전개되었다. 그러나 톤에 있어 정장은 Dull하거나 Dark한 계열 많이 보여졌고, 캐주얼은 Strong에서 Dark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톤이 전개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아웃도어는 매우 다양한 색상이 전개되었고 톤도 그 활용범위가 넓었다. This study examines the direction of color development of apparel brands targeting the silver generation in order to provide foundational data for establishing a color guideline for the new silver generation. Regarding the range of study, it divides apparel brands targeting the silver generation among local apparel brands by the concepts of ``formal wear``, ``casual``, and ``outdoor``, and among these, it again categorizes them into brands preferred by the general silver generation and those preferred by the new silver generation to set up the range of research. And measuring colors of the products made by the brands with a spectrophotometer, it analyzes the result. First of all, according to the results of survey depending on the classification of target generation, new silver target brand was analyzed to propose the low chroma color with various brightness from high chroma to low chroma. As a result of analyzing its color distribution according to IRI Hue & Tone 120 System, appearance frequency of Yellow, Yellow Red and Purple Blue color was high, and their tones were distributed evenly, but in particular, the frequency of Light and Gray tone was relatively high. Achromatic color was analyzed to have many high brightness achromatic colors. Brands targeting silver generation prefer low brightness and were analyzed to mainly propose the color in blue series and PurpleBlue series between Green and Red. For color distribution, the appearance frequency of Purple Blue color was high, and the tone was separated into Bright and Dark tone. Achromatic color was analyzed to concentrate in low brightness achromatic color. Nex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ifference of brands per sex targeting new silver generation, blue series and yellow series colors are strikingly distinguished, there are more low chroma low brightness color in gray tone in common. As for the difference of brands per season targeting new silver generation, they were separated into cold color of blue series and warm color of yellow series clearly. In addition, bright and light tone appeared in S/S while heavy and dark tone color appeared in F/W. In the e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present status of color deployment of brands targeting new silver brand per item, color was deployed similar in formal suit and casual. However, for the tone, dull and dark series much appeared in the formal suit and various tones appeared from strong to dark in the casual. In the mean time, very diverse colors were expanded. In the mean time, various colors were deployed for outdoor and its scope of application for tone was wid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