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습장애 선별검사를 통한 초등학교 학습부진, 학습장애, 정신지체 학생 등에 대한 차이 검증

        김윤옥 ( Youn Ock Kim ) 한국초등교육학회 2008 초등교육연구 Vol.2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differentiation capabilities for screening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LD) from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MR) and under-achievers in elementary schools through a validated LD Screening Checklist. The Cronbach Coefficient Alpha of the LD Screening Checklist was .92. The subjects were 95 students with LD, 48 students with MR, 111 under-achievers from elementary schools in nation wide. The research results indicated as follows. First, the listening skill subtest of the LD Screening Checklist could differentiate students with LD from students with MR and under-achievers. Second, the speaking, comprehending, writing, and thinking subtests of the LD Screening Checklist could differentiate students with LD from students with MR but not from under-achievers. Third, the math and social skill subtests of the LD Screening Checklist could not differentiate students with LD from students with MR and under-achievers. Regarding these results, some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국제교육실습 프로그램 개발에 있어서 다문화역량 향상을 위한 사전교육의 효과: 초등예비교사를 대상으로

        김윤옥(Kim, Youn Ock),윤소영(Yun, Soyoung),설양환(Sol, Yang Hwan),서찬란(Seo, Chan Ra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1

        본 연구는 다문화 역량 향상을 위한 국제교육실습 사전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를 위하여 국제교육실습 유경험자 27명을 대상으로 요구조사를 실시하여 사전교육 콘텐츠를 개발하고, 미국으로 교육실습을 갈 39명의 예비교사들에게 투입하여 효과를 검증하였다. 설문은 사전 검사(2018년 11월)와 사후(2018년 12월)로 시행되었다. 이에 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제교육실습 유경험자들의 사전교육 요구조사에서 드러난 다문화 지식과 태도에 대한 인식의 중요도와 보유도는 다르게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교육에 대한 사전과 사후검사지에 제작된 요인은 다문화지식과 다문화태도로 나뉘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다문화교육에 대한 사후검사지의 설명력은 63.46%로서 높게 나타났다. 넷째, 국제교육실습 유경험자들의 사전교육 요구조사 결과에 입각하여 개발된 다문화역량 강화 프로그램 실시 전후의 연구대상자들의 다문화지식과 태도에 있어서 사전검사에 있어서는 학년 간 차이가 있었으나, 사후검사에서는 학년 간 차이가 없어졌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몇 가지 관련 이슈가 논의되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n orientation program for an international teaching practicum to enhance the multi-cultural competence of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orientation program. To develop the contents of the orientation program in detail, a survey examining the needs of orientation was administered on 27 people who were in the international teaching practicum. An orientation program was developed based on the survey results. After that, to evaluate its effectiveness, 39 pre-service teachers who were going to participate in the international teaching practicum were asked to attend in the orientation program. They went through two surveys: one was done just before they were actually in the orientation(Nov. 2018) and the other one right after the program participation(Dec. 2018). The findings of the research are: firstl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ir perception of multi-cultural importance and multi-cultural possession of the 27 research participants. Secondly, the factors of multi-cultural education designed for the surveys both before and after the orientation program were clearly divided into two factors: multi-cultural knowledge and multi-cultural attitude. Thirdly, the validity of the explanation of the survey administered after the orientation program was appeared high as 63.46%. Finally, the survey carried out just before the orientation program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students’ grades in terms of their gaining of multi-cultural knowledge and attitude, but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orientation program, the difference between the grades of the students was not significant. In relation to these research outcomes, several issues were discussed.

      • KCI등재
      • KCI등재
      • 대학교 급별 학생들의 메타인지 비교 연구

        김윤옥(Kim, Youn-Ock) 학습전략중재학회 2019 학습전략중재연구 Vol.10 No.2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교의 등급 수준에 따라 대학생들의 메타인지에 차이가 있는가를 분석하는 것이었다. 연구대상은 중부지방에 위치한 D대학교 학습클리닉센터의 도움을 찾은 77명의 학습부진 대학생들, 남부지방의 A대학교 111명, B대학교 66명의 학생들, 서울지역의 전문대학교인 C대학교 81명의 학생들 등 모두 335명 이다. A대학교와 D대학교는 수학능력 1,2등급, B대학교는 수학능력 3, 4등급, C대학교는 수학능력 5, 6등급의 고등학생들이 지원하는 전문대학이다. 연구결과로서, 첫째, D대학교 학습부진 학생들은 효과 초래를 위한 ‘어떻게’의 사용에 취약하고(메타인지기술), 과제완성 후의 검토에 약하며(메타인지모니터링), 과제들의 우선순위 매김과 기억방법에 대한 지식이 약하다는(메타인지지식) 것이다. 둘째, 전문대학교인 C대학교 학생들은 주제 찾기 방법과 과제들의 우선순위 매김에 대한 인지가 약하며(메타인지지식), 효과 초래를 위한 ‘어떻게’의 사용과 자신의 능력에 대한 믿음이 약하다(메타인지기술). 셋째, B대학교 학생들은 정보를 이해하기 위해 글의 전/후 비교에 약하며, 자신의 능력에 대한 믿음이 약하다는(메타인지기술) 것이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결론을 내리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립 2급 대학교 학생들은 메타인지기술에 대한 중재가 필요하다. 둘째, 전문대학교 학생들은 메타인지지식과 메타인지기술에 대한 중재가 필요하다. 셋째, 위 두 부류의 학생들에게는 실패가 허용되는 통제된 학습환경에서 메타인지기술에 대한 성공경험이 필요하다. 넷째, 국립 1급 대학교에서 학습부진을 겪는 대학생들은 메타인지기술에 대한 중재가 가장 시급하고, 메타인지지식과 모니터링에 대한 중재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메타인지지식, 메타인지기술, 메타인지모니터링 등의 중재방법은 낱개의 지식으로 가르치기보다는 각 요소들이 잘 고안된 학습전략 프로그램의 중재를 통하여 메타인지의 각 요소들에 대한 완전학습과 자동화를 경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how differ college students’ meta-cognition according to each university’s applicants’ Korean SAT (K-SAT) level. Research participants included 77 D national university students with under-achievements and 111 from A national university students while the applicants were from top 1st or 2nd level, 66 from B private university students who had 3rd or 4th level, and 81 C two-year college students who had 5th or 6th level in the K-SAT. As the results, first, D national university students with under-achievements showed significant weakness in meta-cognitive skills which bring about effectiveness, monitering related to reviewing after complishing tasks, and meta-cognitive knowledge related to memorizing strategies. Second, C two-year college students showed significant weakness in meta-cognitive knowledge related to how to find out theme and prioritize tasks, meta-cognitive skills related to bringing about effectiveness, and believing in their capabilities. Third, B private university students showed significant weakness in meta-cognitive skills related to comparing front and back of the context to grasp comprehension and believing in their capabilities. Based upon the findings,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private college students with 3rd or 4th K-SAT level need some meta-cognitive skill intervention. Second, two-year college students need some meta-cognitive skill and knowledge intervention. Third, these two kind of students need to experience mastery level of success thru cotrolled practices. Fourth, university students with under-achievements holding 1st or 2nd K-SAT level need meta-cognitive skill intervention urgently, and meta-cognitive knowledge and monitoring intervention as well. Finally, meta-cognitive skills, knowledge, and monitoring intervention could be accomplished thru well-designed learning strategy programs.

      • 학습전략 중재를 통한 학습부진 초등학생들의 메타인지 비교 연구

        김윤옥(Kim, Youn-Ock),김옥규(Kim, Ok-Gyu) 학습전략중재학회 2020 학습전략중재연구 Vol.11 No.1

        이 연구의 목적은 6학년 학습부진 학생들을 실험/통제 집단으로 나누어, 실험집단에게 학습전략 프로그램을 중재하고 실험집단의 메타인지가 변화하는가를 검증하는 것이었다. 그 결과로서, 실험집단은 메타인지의 향상이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며, 둘째로 사전검사에서 통제집단과의 유의미한 차이가 사후검사에서는 해소되었음을 발견하였다. 셋째로 실험집단은 사전검사에서 메타인지의 하위요소인 메타인지지식과 자기규제 영역에서 통제집단보다 미숙한 것으로 의심이 되었는데, 실제로 정밀 분석한 결과로서 일부 항목에서의 미숙함이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하게 드러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결론을 내리자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장애 학생들을 위해 구안된 학습전략프로그램의 중재에 학습부진 학생들도 메타인지가 향상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학습부진이 학습장애 학생만큼 심하지 않더라도, 메타인지가 상대적으로 낮은 초등학생들에게도 학습전략프로그램의 중재에 메타인지가 향상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학습부진 학생들이 보이는 메타인지지식과 자기규제에서의 약점이 학습전략프로그램의 중재를 통하여 보완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ether meta-cognition changes after learning strategy interventions for experimental group with under-achievements in 6th graders. Each group included 11 6th graders with under-achievements. The experiment were implemented in 2018 April through 2018 December in Chungnam, Korea. As the research results,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improved their meta-cognition after two series of learning strategy interventions. Second, the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were disappeared on the post test while the average of the meta-cognition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one of the control group’s meta-cognition. Third, the experimental group’s meta-cognition knowledge and self-regulation on the pretest were seemed less developed than the ones of the control group, which were revealed that lack of meta-cognition knowledge and intention for attention found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significantly lower. Based upon the research results, we concluded as follows. First, elementary students with under-achievements could improved in their meta-cognition through learning strategy intervention designed for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Second, elementary students with relatively low meta-cognition could be necessary to take some learning strategy interventions when they reach up to 4th through 6th to prevent severe under-achievement.

      • KCI등재

        교대 수업,종합 교육실습 평가,분석

        김윤옥 ( Youn Ock Kim ),설양환 ( Yang Whan Sol ) 한국초등교육학회 2005 초등교육연구 Vol.18 No.2

        A high quality practicum is essential for providing highly qualified teacher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ssess and analyze the field experiences of preservice teachers. This study was to assess and analyze the 2004 teaching and job-related practicum held in the Go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It included 683 junior student teachers and 480 senior student teachers to examine wheth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rofessional competences such as learner, learning, curriculum, instruction, professional, assessment across practicum sites, practicum types, department types of student teachers. As the research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practicum sites towards the six professional competences. In terms of practicum type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practicum type related competence variable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department types of student teachers. In discussion, the authors proposed some issues to improve practicum services.

      • 국제교육실습프로그램 표준모형 개발을 위한 내용 요소 및 절차 구안

        김윤옥(Kim, Youn Ock),윤소영(Yun, Soyoung) 공주교육대학교 글로벌인재교육센터 2019 교육실습연구 Vol.1 No.1

        본 연구는 국제교육실습프로그램의 표준모형 개발을 위한 연구이다. 본 연구의 주요 초점은 국제교육실습프로그램 표준모형의 전체 절차의 구안과 구체적인 내용요소를 탐구하는데 있다. 본 연구를 위해 1995년부터 2016년까지 10년 동안의 국제교육실습 프로그램관련 선행연구 중 13편을 분석하였으며, 국제교육실습 모형에 들어가야 하는 구성요소들을 구축하였다. 또한 이 구성요소를 지난 10년간 국제교육실습프로그램을 운영해 온 A 교육대학교의 국제교육실습프로그램을 대상으로 사례분석 해 봄으로써, 국제교육실습프로그램의 표준모형에 포함되어야 할 구성요소들을 재확인하게 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로서, 선행연구를 통해 구축된 국제교육실습 프로그램의 구성요소들의 세부 단계는 교류준비, 선발, 사전교육, 출국준비, 지도교수배정, 현장실습, 인증서 교부, 평가 및 조사, 국내실습 인정, 실습록 전시 등에 걸친 10단계이었으며, 효과적인 국제교육실습 프로그램의 표준모형에 포함되어야 할 구성요소로 제시되었다. This study is for the development of a standard model of international teaching practicum. The main focus of this study is on both the formation of a whole procedure of a standard model of international teaching practicum and the specification of the elements of each step of the program. To create a standard model of international teaching practicum, we explored the required components and procedures of effective international teaching practicums. To do so, 13 research on international teaching practicum, from 1995 to 2016, were analyzed. Also, the international teaching practicum of A university where has operated the program successfully for the past ten years has been analyzed as a case. Then, the required components for a standard model of international teaching practicum has been constructed. The detailed steps that consist the international teaching practicum were found out to be ten steps. These are; exchange preparation such as contracting a MOU, recruiting the participants, an orientation program for international teaching practicum, departure preparation, assignment of guidance professors, on-site teaching practicum, certificate issuance, evaluation and pre/post surveys, exempting from one of the domestic teaching practica if possible, and exhibition of teaching diar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