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병원의 브랜드 이미지가 고객의 이용의사에 미치는 영향

        김원경(Weon-Gyeong Kim),노은경(Eun-Kyung Noh) 한국의료정보교육협회 2018 보건의료생명과학논문지 Vol.6 No.2

        본 연구에서는 최근 다양해지고 있는 의료시장과 병원들 간의 차별화 전략이 요구되어지고 있는 상황에 의료 소비자인 고객들이 병원 브랜드 이미지에 따라 고객의 이용의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 보았다.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광역시에 소재한 3개의 병원 주변 아파트 주민을 대상으로 인구학적 특성과 대상자의 건강수준 및 의료이용의 특성, 각 병원에 따른 브랜드 이미지 등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고객 이용의사와 관련하여 M병원의 경우 검사 시 병원의 호감도, 기억, 기호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입원 시 에는 호감도, 기억, 진료도, 기호도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수술시 에는 기억, 진료도가 이용의사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K병원의 경우에는 입원치료 시에만 호감도, 기억, 진료도, 기호도 모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D병원의 경우에는 입원 시에는 호감도와 기억, 수술 시에는 진료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브랜드이미지가 병원 이용의사에 미치는 부분은 입원을 하였을 때 가장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병원에 입원하여 장기적인 치료를 받아야할 경우 브랜드 이미지가 병원 이용의사에 더욱더 중요한 수단으로 작용 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브랜드는 기업뿐만 아니라 병원도 브랜드에 대한 인식이 높아져야 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With the medical markets recently diversifying and hospitals needing differentiating strategies,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hospital brand image on the choice of doctors by medical consumers. Targeting the residents near three hospitals in a metropolitan city, a survey was conducted on hospital brand image, etc.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health levels, and characteristics of medical-service use.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Regarding the choice of doctors by the medical consumers, in the case of hospital M,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good feeling about the hospital, memory, and preference, and in relation to hospitalizati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good feeling about the hospital, memory, diagnosis and treatment, and preference. In relation to surgery, memory and diagnosis and treatmen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choice of doctors by the medical consumers. In the case of hospital K, only in relation to hospitalizati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good feeling about the hospital, memory, diagnosis and treatment, and preference. In the case of hospital D, in relation to hospitalizati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good feeling about the hospital and memory, and in relation to surger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diagnosis and treatment. The finding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effect of brand image on doctors was greatest in relation to hospitalization. This suggests that in relation to long-time treatment under hospitalization, hospital brand image is an important factor influencing the choice of doctors by medical consumers. As such, hospitals need measures to boost their brand awareness.

      • KCI우수등재

        한국형 에니어그램 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자아정체감, 대인관계 및 셀프리더십에 미치는 효과

        김원경(Weon Gyeong Kim),정향인(Hyang In Chung) 한국간호행정학회 2015 간호행정학회지 Vol.21 No.4

        This study was done to identify the effects of the Korean Enneagram program on college nursing students` ego-identity,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self-leadership. Method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posttest design was used. Twenty-nine students were in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ing the Korean Enneagram program, and 28 were in the control group with no treatment. Results: ‘The experimental group will show higher scores for ego-identity (t=3.97, p<.001), interpersonal relationship (t=3.26, p=.002) and self-leadership (t=2.91, p=.007)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8 weeks after the program finished’ was supported b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cores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 The findings indicate that the Korean Enneagram Program has a significant effect on improving ego-identity, interpersonal skills and self-leadership in nursing college students and the program can be used as a tool to promote the ego-identity, interpersonal skills and self-leadership of nursing students.

      • KCI등재

        간호학생의 응급환자간호 임상실습 온라인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김원경(Weon-Gyeong Kim),박정민(Jeong-Min Park),송지은(Chi-Eun Song)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21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5 No.1

        코로나 바이러스(COVID-19) 팬데믹으로, 전국의 대학들이 온라인 플랫폼을 사용한 비대면 강의를 시행하고 있다. 따라서 응급환자간호 임상실습 교육에 맞는 온라인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간호학생에게 적용하여 그 효과를 확인해보고자 시도 되였다. 본 연구는 양적자료와 질적자료를 분석한 방법론적 연구로, G광역시 N대학교 성인간호학교수 3인이 G광역시 종합병원 간호부장과 응급실 수간호사들에게 자문을 구하여 학생들의 교과목과 관련된 요구도 조사 후에, 4학년을 대상으로 응급환자간호 임상실습 온라인 프로그램을 ADDIE모형에 따라 개발하였다. 프로그램은 총 4주 동안 진행되었으며, 1주에 영상 4시간, 과제 2가지로 구성하였고, 실시간 쌍방향 화상집담회도 포함되었다. 총 96명 학생 자료가 수집되었으며, SPSS/WIN 22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결과 교과목 만족도 부분에서‘학습목표 연계성’이 총 6.0만점에 평균 5.58±0.98로 가장 점수가 높았다. 응급간호 학습성취도에서는 ’BLS 수행‘이 평균 5.47±0.74로 가장 점수가 높았으며,‘낙상예방 간호수행’(5.39±0.77),‘응급환자 기록수행’(5.30±0.70), ‘감염예방 간호수행’(5.27±0.736) 순이었다.‘3학년 때 시행한 대면임상실습경험과 이번학기 비대면임상 실습수업 경험을 비교하여 내가 생각하는 이번학기 수업의 장점은 무엇인가?’에 관한 질적자료를 Keyword로 추출하여 Wordcloud로 제시한 결과 답변을 한 77명의 학생들 중‘간호과정경험’이라고 답한 경우가 13명(16.9%)로 가장 많은 빈도를 나타내었고,‘자세한 교수설명’이 10명(13.0%),‘사례기반실습’이 9명(11.7%)‘시간과 공간의 제약이 없다(Anytime anywhere)’고 답한 경우가 8명(10.4%) 순으로 나타났다. 이에, 개발된 온라인 프로그램을 활용한 응급환자간호 임상실습이 학생들의 교과목 요 구도를 반영한 학생들의 학습성취도를 파악하였으며, 대면실습과 비교하여 교과목 만족도가 높게 나타나 개발된 온라인 프로그램을 향후 응급환자간호 임상실습에서 활용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Clinical practicums via non-face-to-face methods were inevitable due to the COVID-19 pandemic. We developed an online program for emergency nursing care and identified the feasibility of the program and the learning achievements of students. Methods: This was a methodological study. The program was developed by three professors who taught theory and clinical practicum for adult nursing care and clinical experts. Students received four hours of video content and two task activities every week in four-week program. Real-time interactive video conferences were included. Qualitative and qualitative data were collected. Results: A total of 96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program. The mean score for overall satisfaction with the online program was 4.72(±1.02) out of 6. Subjects that generally had high learning achievement scores were basic life support care, fall prevention, nursing documentation, infection control, and anaphylaxis care. As a result of a content analysis of 77 reflective logs on the advantages of this program, students reported that “experience in applying nursing process,” “case-based learning and teaching method,” and “No time and space constraints” were the program’s best features. Conclusion: Collaboration between hospitals and universities for nursing is more important than ever to develop online content for effective clinical practicum.

      • KCI등재

        에니어그램 성격유형에 따른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 창의적 리더십, 간호진로분야 선호도의 차이

        박선영(Park Sun Young),김원경(Kim Weon Gyeong),최하림(Choi Ha R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19

        본 연구는 에니어그램 성격유형에 따른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 창의적 리더십 및 간호진로분야 선호도의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는데 있다. 자료 수집은 2017년 4월 5일부터 5월 24일까지 G시에 소재한 간호대 1~2학년 252명을 편의 표집하여 설문 조사하였다. 에니어그램 성격유형에 따른 간호전문직관의 정도는 통계적으로 차이는 없었다(F=0.08, p=.922). 창의적 리더십의 정도는 장형이 평균 3.43점, 가슴형은 3.58점, 머리형은 3.55점이었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F=4.53, p=.012)를 보여 가슴형이 장형보다 창의적 리더십의 정도가 높았다(p=.017). 본인의 역량을 가장 잘 발휘할 수 있을 것 같은 간호진로 분야로서 장형은 공무원, 응급실, 내과계 병동 순으로 선호하였고, 가슴형은 공무원, 응급실, 중환자실 순이었으며, 머리형은 공무원과 수술실을 각각 선호하였다. 따라서 전통적으로 의료기관내 진로를 선호하는 것과 다르게 공무원 분야를 가장 우선적으로 선호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간호대학생의 진로지도 및 4차 산업혁명시대에 필요로 하는 창의적 리더십 향상을 위한 간호교육 프로그램의 기초자료에 도움이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inical career preference, nursing professionalism & creative leadership according to Enneagram personality types in nursing students. Data were collected from 252 nursing students from 1~2 grade of university students studying the department nursing science in G Metropolitan city from April 5, to May 24, 2017. There was no difference in nursing professionalism according to type(F=0.08, p=.922). The Creative leadership according to the enneagram personality type was 3.43 in the intestine type, 3.58 in the Heart type, and 3.55 in the head type.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F=4.53, p=.012) Heart type was higher than intestinal type(p=.017). The intestine type, which is the nursing career field which seems to be able to exert the most ability of oneself, preferred public officials, emergency room and medical ward. The heart type preferred public officials, ER and intensive care unit. The head type preferred public officials and operating room. Therefore, it was found that the public service rather than the traditional preferred hospital work.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helpful for the basic data of nursing education program for career guidance of nursing college students and creative leadership needed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돌봄인성, 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능력이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조명희(Cho Myunghee),김원경(Kim Weon-Gye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1

        목적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들의 돌봄인성과 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능력 및 임상수행능력을 확인하고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G광역시와 J도에 소재한 3개 대학교의 간호학과에 재학중인 간호학생 185명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Windows 23.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임상수행능력은 돌봄인성(r=.674, p<.001), 의사소통능력(r=.647, p<.001), 문제해결능력(r=.629, p<.001)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회귀모형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F=40.42, p<.001) 돌봄인성(β=.358)이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다. 전공만족과 돌봄인성, 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능력은 임상수행능력을 56.2% 설명하였다. 결론 임상수행능력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돌봄인성이므로 가장 우선적으로 돌봄인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필요할 것이다. 미래사회 인공지능 간호사에게 대체되지 않으려면 기능적 간호업무가 아닌 모성애에 기초한 돌봄인성이 겸비된 교육과정과 의사소통과 문제해결능력이 녹아들 수 있는 프로그램이 필요할 것이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caring-character, communication ability, problem solving ability and clinical competence of nursing students and to investigate the influencing factor on clinical competence. Methods A total of 185 nursing students were recruited from 3 nursing colleges in G metropolitan city and J Provinces. The data was analyzed using multiple linear regression with SPSS Windows 23.0 program. Results Caring-personality(r=.674, p<.001), communication skill(r=.647, p<.001), problem solving ability(r=.629, p<.001) were highly positive correlated with clinical competency. Factor influencing these three variables accounted for 56.2% of clinical competence. Conclusions Caring-character i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in clinical performance, so programs will be needed first to promote care personality. In order not to be replaced by artificial intelligence nurses in the future, a curriculum based on motherhood, not functional nursing, and a program that can incorporate communication and problem-solving skills will be needed.

      • KCI우수등재

        간호사의 비판적 사고성향, 학습 관련 자기주도성 및 간호업무수행능력에 관한 연구

        박안나(Park, An-Na),정경희(Chung, Kyung-Hee),김원경(Kim, Weon Gyeong) 한국간호행정학회 2016 간호행정학회지 Vol.22 No.1

        Purpose: A descriptive survey was used in this study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nurses"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and professional nursing competency and to examine factors that influence professional nursing competency. Method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188 nurses and analyzed using t-test, ANOVA, Scheffé" test, Pearson correlation,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the SPSS/WIN 20.0 PC program. Results: Professional nursing competency was found to have significant pure correlations with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r=.59, p<.001), and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r=.54, p<.001). The most influential factor influencing nurses" professional nursing competency was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followed by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β=.25, p=.003), work department (β=.19, p=.001), total clinical career (β=.19, p=.003), and position (β=.12, p=.040), and these factors explained 43.8% of the variance in professional nursing competency. Conclusion: The findings indicate the necessity of developing and applying strategies and educational programs to enhance individual nurse"s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Furthermore, exploration is needed on ways to enhance professional nursing competen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