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Development of the Nondestructive Methods to Detect Voids under Concrete Slabs Using Wave Analysis

        김용곤,김영수,Kim, Yongon,Kim, Y. Richard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1998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Vol.2 No.1

        많은 주거용 및 상업용 건물에서 콘크리트 구조물이 사용되고 있는데 콘크리트 슬래브 아래의 기초부분에 공동이 생기는 경우가 종종 발견되었다. 이 현상은 진동하중, 반복되는 충격, 흙의 유실, 혹은 불량시공 등 여러가지 이유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구조물의 지지력을 저하시키고 결국 수명을 단축시키는 원인이 되므로 이러한 문제는 일찍 발견되고 조치가 취해질수록 구조물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공동이 슬래브 아래에서 형성되고 커져가는 과정을 모니터할 수 있으면 현재 상태에서 지지력을 결정하고 또한 앞으로 남은 수명을 예측함으로써 적절한 유지보수계획을 세우는 데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음파와 응력파, 특히 표면파가 슬래브 아래의 공동을 찾아내는데 이용되었고 두 가지 방법의 효과가 상호 비교되었다. 두개의 콘크리트 슬래브를 만들어 이용했는데 하나는 미리 공동이 만들어져 있었고 다른 하나에는 공동이 없었다. 공동이 없던 슬래브는 처음 손상안된 상태에서 실험을 한 후 나중에 하부에 공동을 만들어 다시 실험하였다. 실험결과와 실제 공동의 위치가 잘 일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력파를 이용하는 방법과 음파를 이용하는 방법사이의 장단점이 비교검토되었고 실험의 표준방법과 결과에 대한 일반적인 기준이 확립되어야 하는 필요성에 대해서도 설명되었다.

      • KCI등재

        노출형 조압수조의 해석모델별 내진성능평가

        김용곤 ( Yongon Kim ),옥승용 ( Seung-yong Ok ),김일규 ( Il Gyu Kim ),류선호 ( Seonho Ryu ),배정주 ( Jungjoo Bae ) 한국안전학회(구 한국산업안전학회) 2016 한국안전학회지 Vol.31 No.5

        This study investigates the seismic performance of the surge tank which is of the atmospheric type and constructed above the ground. For that purpose, three different numerical models of the surge tank have been taken into account. Two models are constructed to describe the surge tank with different support conditions: one is to model all supports as fixed, and the other is to use spring element for the rock conditions. The third model is constructed to describe not only the surge tank with spring element of the rocks but also the vertical waterway tunnel. Through the time-history analysis of the surge tank subjected to three artificially excited ground motions, it is demonstrated that there can be much difference between the three models of our interest according to the support conditions and inclusion of the vertical waterway tunnel. However, their seismic performances still remain below the safety criteria, i.e., dynamic allowable stress. Also, the numerical results let us know where the critical sections occur. These results could be used to develop the efficient seismic enhancement method for the surge tank.

      • 표면파 분석기법을 이용한 균열 깊이 측정

        김용곤 한경대학교 2008 論文集 Vol.40 No.-

        Damages that develop in structural elements decrease the structural integrity of the structure and finally results in early failure of the structure. Therefore, the earlier the damages in the structure are detected and repaired, the longer the service life of the structure results. Monitoring the formation and the development of the structural damages in structural elements will help evaluating the structural integrity which determines the load carrying capacity and the remaining life of the whole structure. The best way of detecting damages in existing structure is using nondestructive tests considering that it is practically impossible to sample cores all over the structure. In this research, the stress waves, especially the surface waves, were used to evaluate the cracks in concrete slabs. For crack detection, one concrete slab with different depths of cracks were fabricated. The cracks were created on the surface of the concrete slab. The effect of the cracks on the stress wave propagation was investigated by measuring phase velocity and attenuation ratio of the frequency magnitude plot. The results show a good agreement between the test results and the actual damage condition

      • 주철근 겹침이음된 철근콘크리트 교각의 보강에 의한 내진성능평가

        김용곤 안성산업대학교 2002 論文集 Vol.33 No.-

        철근콘크리트 교각의 시공시 소성힌지구간에서의 주철근의 겹침이음은 내진성능면에서 바람직하지 않으나 불가피하게 시공되는 경우가 있었다. 특히, 1992년 도로교표준시방서의 내진설계기준이 마련되기 이전에 설계 시공된 대부분의 철근콘크리트 교각은 소성힌지구간에 주철근을 겹침이음하였으며, 이들은 축방향력의 크기에 따라 내진성능이 기준에 미달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형상비 4.0의 휨파괴가 예상되는 비내진 시험체를 5기 제작하여 준정적(Quasi-Static)실험을 통한 철근콘크리트(RC) 교각의 소성힌지구간내의 주철근 겹침이음이 내진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실험체의 변수로서는 0%, 50%, 100%의 주철근 겹침이음, 3종류의 축하중비(Axial force ratio), P/f_ckA_g=0.1, 0.15, 0.2를 선택하였다. 본 연구결과에 의하면 주철근 겹침이음 정도에 따라 철근콘크리트 교각의 내진성능은 급격히 저하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 Prediction of Layer Moduli in Pavements Using Artiticial Neural Network

        Kim, Yongon 안성산업대학교 1999 論文集 Vol.31 No.-

        응력파를 이용하여 아스콘 포장도로 단면의 탄성계수를 측정하는 실험법이 이 논문의 주제이다. FWD (Falling Weight Deflectometer) 실험과 표면 응력파 실험으로부터 각 층의 탄성계수를 찾아내는 방법이 논문에서 개발되었다. 이 방법은 한켈 트랜스폼을 이용한 다층탄성해석법으로 모델링된 동적거동으로부터 인공신경망법을 이용하여 탄성계수를 역추적하는 방법이다. 추파수가 10Hz에서 10000Hz에 이르는 위상속도들이 수학적 모델을 이용하여 다양한 범위의 탄성계수와 층두께에 대하여 계산되어졌다. 이 위상속도들은 인공 신경망법을 이용하여 각 층의 탄성계수와 층 두께들에 대해서 훈련되어졌다. 훈련이 된 인공 신경망은 FWD 실험과 응력파 실험의 결과에서 가장 유사한 분산곡선(위상속도 대 주파수 곡선)을 찾아냄으로써 탄성계수들을 찾아내었다. 지하에 암반이 있을 대의 영향을 고려하기위해 암반의 깊이를 추적하는 별개의 인공 신경망이 훈련되었다. 이 인공신경망과 탄성계수측정을 위한 처음의 신경망을 함께 이용하여 처음의 신경망에서 계산된 암반의 깊이가 두 번째 신경망에서는 입력값으로 이용되는 순차적인 분석해석법이 개발되어 암반이 있는 경우에도 사용이 가능하게 되었다. 손상되지않은 포장체와 균열위에 덧씌우기가된 포장체의 실험결과들이 순차적인 분석해석법과 기존의 포장구조물 역산프로그램이 MODULUS 5.0을 이용하여 행해졌다. 미국 국도인 US 1 과 North Carolina 주도로인 NC54, 그리고 연구용 도로인 MN/ROAD의 여러 단면에서 실험한 결과 등을 비교분석하여 순차적인 분석해석법이 기존의 역산프로그램인 MODULUS 5.0 보다 노상탄성계수가 일관되게 나왔고 고주파영역의 응력파 속도가 포함됨에 따라 상부 아스콘 층의 탄성계수변화를 민감하게 예측하는 것이 보여졌다.

      • KCI등재후보

        콘크리트 구조물의 결함발견을 위한 3차원 초단파 영상처리기법의 개발

        김유진,김용곤 한국안전학회 2003 한국안전학회지 Vol.18 No.4

        Various nondestructive evaluation (NDE) techniques have been studied to locate steel rebars or dowel, and to detect invisible damage such as voids and cracks inside concrete and debonding between rebars and concrete caused by corrosions and earthquakes. In this study, the authors developed 3-dimensional (313) electromagnetic (EM) imaging technology to detect such damage and to identify exact location of steel rebars or dowel. The authors have developed sub-surface two-dimensional (21)) imaging technique using tomographic antenna array in previous works. In this study, extending the earlier analytical and experimental works on 2D image reconstruction, a 3D microwave imaging system using tomographic antenna array was developed, and multi-frequency technique was applied to improve quality of the reconstructed image and to reduce background noises. 'Ibis paper presents the analytical expressions of numerical focusing procedures for 3D image reconstruction and numerical simulation to study the resolution of the system and the effectiveness of multi-frequency technique. Also, the design of 4?4 antenna array with switching devices is introduced as a preliminary study for the final design of whole arra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