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기분화와 의미차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김완일 한국상담심리학회 2003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15 No.4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ause of the following hypotheses: The higher the differentiation within dimension is, the higher the degree of experiencing depression is. The higher the differentiation across dimension is, the lower the degree of experiencing depression is. The hypothesi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if a person's differentiation within dimension is high, he or she tends to perceive themselves with a dimension of evaluative meaning; if a person's differentiation across dimension is high, he or she tends to perceive themselves with a dimension of descriptive meaning. A new questionnaire entitled “Beck Depression Inventory”, “Self Differentiation Scale”, “Meaning Dimension Scale” were employ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is study was to introduce the concept of evaluative meaning and descriptive meaning to the hypothesis that if a person's differentiation within dimension is high, he or she tends to perceive themselves with a dimension of evaluative meaning; if a person's differentiation across dimension is high, he or she tends to perceive themselves with a dimension of descriptive meaning. This hypothesis was partially confirmed. As a result, a person with higher differentiation across dimension tended to perceive himself/herself with a dimension of descriptive meaning. However, a person with higher differentiation within dimension tended to perceive himself/herself with a dimension of evaluative meaning.. These results have many implications not only for further theoretical discu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oncept and depression but also for practical utilities, e. g. counselling psychology. 본 연구자는 선행연구(김완일, 1997)를 통해 기존의 자기분화(Scott의 자기분화) 개념에서 차원내 분화와 차원간 분화의 개념을 분리해냈으며, 후속연구(김완일, 김재환, 2000)에서는 차원내 분화가 높을수록 우울을 많이 느끼고 차원간 분화가 높을수록 우울을 적게 느끼는 것을 밝힌바 있다. 그러나 김완일과 김재환(2000)의 연구에서는 차원내 분화가 높을수록 우울을 많이 느끼고 차원간 분화가 높을수록 우울을 적게 느끼는 원인에 대해서는 설명하지 못하고 있다. 한편 태도연구(이수원, 1994)에서 논의되고 있는 두 가지 의미차원(평가적 의미와 서술적 의미)은 자기개념과 우울의 관계를 설명하는데 중요한 시사를 해준다. 단순하게 분화의 두 가지 차원만을 가지고 자기개념과 우울을 설명하는 경우, 차원내 분화가 높은 사람은 우울을 많이 경험하고 차원간 분화가 높은 사람은 우울을 적게 경험하는 원인을 설명할 수 없다. 본 연구에서는 두 가지 의미차원인 평가적 의미차원과 서술적 의미차원의 개념을 도입하여 차원내 분화가 높은 사람이 우울을 많이 느끼며 차원간 분화가 높은 사람이 우울을 적게 느끼는 원인을 알아본 결과, 차원내 분화가 높은 사람은 자신을 평가적 의미차원에서 지각하기 때문에 우울을 많이 느끼나, 차원간 분화가 높은 사람은 자신을 서술적 의미차원에서 지각하기 때문에 우울을 적게 느끼는 것이 밝혀졌다. 그러나 차원내 분화가 낮은 사람은 자신을 서술적 의미차원에서 지각하기 때문에 우울을 적게 느낀다는 가설은 지지되지 않았다. 본 연구는 분화의 두 차원과 우울과의 관계에서 보이는 결과에 대한 원인을 밝힌 데 의의가 있다. 이 연구결과는 우울한 경향이 있는 내담자를 상담하는 과정에서 내담자로 하여금 자신을 서술적 의미차원에서 지각하도록 하는 상담전략이 포함되어야 할 것을 시사한다.

      • KCI등재

        군 병사의 자기개념 복잡성과 심리적 건강의 관계에서 자기조망의 매개효과

        김완일 한국상담학회 2012 상담학연구 Vol.13 No.6

        본 연구에서는 자기개념 구조에 대한 질적인 차이를 알아볼 수 있는 자기조망이 자기개념 복잡성과 심리적 건강간의 관계를 매개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자기조망이란 자신에 대해 이원적 구조로 지각하는 정도를 의미한다. 군 병사 311명을 대상으로 자기개념 복잡성 척도, 자기조망 척도, 우울척도, 심리적 안녕감 척도 및 삶의 만족도 척도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자기개념 복잡성과 심리적 건강(우울, 심리적 안녕감 및 삶의 만족도)과의 관계를 자기조망이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병사들을 상담할 때 자신을 서로 다른 다양한 모습으로 보도록 할 뿐만 아니라 자신에 대한 조망을 확대하도록 도와줌으로써 병사들의 심리적인 건강을 증진시켜줄 수 있음을 시사해주고 있다. This study is aimed to investigate whether the self-perspective revealing the qualitative difference in self-concept structure may mediate the association between self-complexity and psychological health. Self-perspective refers to the degree that one perceives oneself as dualistic structure. To this end, this study administered a series of questionaries measuring self-complexity, self-perspective, depressio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life satisfaction with 311 soldier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ssociation between self-complexity and psychological health (depressio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life satisfaction) is completely mediated by self-perspective. This finding suggests that psychological health among soldiers may be enhanced by enabling them to see themselves from various perspectives as well as helping them extending their self-perspectives in counseling.

      • KCI등재

        자기-태도 차원구조와 차별적 중요성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김완일 한국상담학회 2008 상담학연구 Vol.9 No.1

        There is a lot of studies about the relation between structure of self-concept and depression. Showers suggested a compartmentalization model. He said that depression is affected by compartmentalization and differential importance. This model is significant since it contains the contents and the separation degree of self-aspects. This model, however, has the following problems; First, it can only explain the appearancial difference in distribution of positive and negative aspects, not the cognitive mechanism of the reason why the difference of compartentalization exists; Second, it doesn't agree with the result of interaction between differential importance and compartmentalization on depression. Meanwhile, Su-weon Lee, in attitude studies, showed that there is evaluative dimension and descriptive dimension according to differentiation level of attitude. Those who perceive with descriptive dimension feel less stressed than those who perceive with evaluative dimension.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relation between depression and dimension structure model of self-attitude, instead of applying compartmentalization model; First,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 effects of compartmentialization and differential importance on depression, interactive effect were not seen; Second, we examined the relation between differential importance and self-attitude dimension structure on depression. Those who perceive themselves with evaluative dimension felt less depression as differential importance marked a higher degree, while the depression felt by those who perceive themselves with descriptive dimension were not related to differential importance. This study has an implication that it is necessary to make depressive clients perceive himself with descriptive dimension for counseling. 자기개념의 구조와 우울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들 중에서 Showers(1996)는 구획화와 차별적 중요성이 우울에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이 모델은 그 동안의 연구들이 간과해온 자기상의 내용 및 구분정도를 고려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러나 이 모델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자기상에 대한 정적, 부적 내용의 분포라는 현상적 차이만을 설명해주며, 구획화의 차이가 발생하는 이유에 대한 인지적 메커니즘을 설명하지 못하고 있다. 둘째, 구획화와 차별적 중요성의 우울에 대한 상호작용 효과의 결과에서 불일치를 보이고 있다. 한편 태도 연구 분야에서 이수원(1995)은 태도의 분화수준에 따라 평가차원과 서술차원이 존재함을 밝혔다. 그는 태도구조의 질적 차이가 스트레스 사건의 취약성을 중재한다고 하였다. 즉 서술차원으로 지각하는 사람은 평가차원으로 지각하는 사람보다 스트레스를 적게 느낀다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자기-태도의 차원구조 모델을 적용하여 우울과의 관계를 다음과 같이 알아보았다. 첫째, 구획화와 차별적 중요성의 우울에 대한 상호작용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자기-태도 차원구조 즉 평가차원과 서술차원 각각과 차별적 중요성의 우울과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평가차원으로 자기를 지각하는 사람은 차별적 중요성이 높을수록 우울을 적게 느꼈으나, 서술차원으로 지각하는 사람은 차별적 중요성에 따른 우울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우울한 내담자를 치료할 때 서술차원으로 자기를 지각하도록 하며, 평가차원으로 자기를 지각하는 내담자는 자신의 긍정적 자기상을 중요하게 여기도록 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해준다.

      • KCI등재
      • 능동 현가 시스템에 관한 최근 연구 동향

        김완일,전진훈,이병윤,김상우,원상철 한국자동차공학회 1995 한국자동차공학회 춘 추계 학술대회 논문집 Vol.1995 No.11_1

        Current research status and trends on the various types of vehicle active suspension systems are reviewed in this paper. Slow-active, semi-active and full-active type suspensions are described in terms of their performance enhancement and control strategies. For the full-active suspension, detailed description is given for optimal, adaptive, robust, intelligent, roll-pitch and preview control algorithm. And some applications and related areas are introduced.<b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