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육군 훈련부사관의 직무분석에 관한 연구 - 육군훈련소·사단 신병 교육대대 소대장을 중심으로 -
이준식,조만덕,김영성 육군사관학교 화랑대연구소 2025 한국군사학논집 Vol.81 No.2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육군 훈련소 및 사단 신병 교육대대에 근무하는 훈련부사관 소대장들의 직무를 분석하는 것이다. 미래 전쟁의 복잡하고 빠르게 변화하는 특성에 대비하기 위해 군 인력의 체계적인 개발은 필수적이다. 훈련부사관은 용사들이 군 생활에 원활히 적응함은 물론 전투에서 요구되는 기초 역량을 습득하도록 지도하는 핵심 교육의 주체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훈련부사관의 직무는 단순한 교육 수행을 넘어 군 전력의 질적 수준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이다. 훈련부사관의 직무에 대해 명확하고 구조적인 분석은 아직까지 충분히 제시 되어 있지 않는 상태이다. 이에 본 연구는 미래전에 적합한 병력 양성을 위해 훈련부사관의 역할과 직무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유능한 군 인력을 양성하는 기초 자료로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연구방법 : 본 연구의 직무분석을 위한 방법은 데이컴(DACUM) 방법을 실시하였다. 1단계는 총 12명을 대상으로 3차에 걸친 워크숍을 통해 1차 직무모델 안을 마련하였다. 2단계는 1차 직무모델 안에 대하여 전문가 평가 위원들로부터 타당도를 검증하여 2차 직무모델 안을 도출 하였다. 3단계는 현재 임무수행 중에 있는 훈련부사관 소대장들을 대상으로 2차 직무모델 안에 대한 타당도, 중요도, 수행정도를 확인 후 최종 직무모델 표준안을 구성 하였다. 연구결과: 훈련부사관 소대장의 직무모델은 10개의 책무와 99개의 과업으로 구성되었다. 책무의 경우 인사. 교육훈련, 작전, 정보, 정보통신, 공보정훈, 감찰, 동원 10개로 구성되었다. 각 책무별 과업으로는 인사 : 37개, 교육훈련 : 40개 작전 : 3개, 정보 : 2개, 의무 : 9개, 군수 : 9개, 공보정훈 : 2개, 정보통신 : 1개, 감찰 : 1개, 동원 : 1개의 과업을 포함하고 있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훈련부사관 소대장의 명확한 직무분석을 통해 이들이 수행 해야 할 구체적인 책무와 과업을 제시하였다. 이런 점에서 향후 훈련부사관 관련 영역에 대한 이론적 지평 확대와 연구 현장의 적용 가능성을 기대할 것으로 내다본다. 또한, 본 연구를 바탕으로 훈련부사관 소대장, 중대장, 교관 등 해당 직책에 맞는 직무에 반드시 필요시 되는 역량을 판단 하기 위한 추가 연구가 필요시 된다. This study aims to systematically analyze the roles and responsibilities of platoon leaders serving as drill sergeant at the Korea Army Training Center and Division Recruit Training Battalions. The systematic development of military personnel is essential in preparing for the complex and rapidly evolving nature of future warfare. In particular, drill sergeants play a vital role in helping new recruits adapt to military life and develop the combat capabilities necessary for operational success. Their responsibilities go beyond basic instruction, serving as a core element in determining the qualitative strength of military forces. Despite the importance of their role, a clear and structured analysis of the duties of drill sergeants has yet to be fully presented. In response to this gap, this study aims to identify and clarify the roles and responsibilities of drill sergeants, providing foundational insight into enhancing their effectiveness and supporting the broader goal of cultivating capable military personnel for future battlefields. The job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DACUM (Developing A Curriculum) method. In the first stage, a draft job model was developed through three rounds of workshops involving a total of 12 participants.In the second stage, the validity of the first draft job model was verified by a panel of experts, leading to the development of a second draft job model. In the third stage, the validity, importance, and performance levels of the second draft model were assessed by current drill sergeant platoon leaders, resulting in the establishment of the final standardized job model. The job model for drill sergeant platoon leaders consists of 10 responsibilities and 99 tasks. The responsibilities are categorized into personnel, training and education, operations, intelligence,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public affairs, inspection, and mobilization. The tasks under each responsibility include personnel (37 tasks), training and education (40 tasks), operations (3 tasks), intelligence (2 tasks), medical services (9 tasks), public affairs (2 tasks),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1 task), inspection (1 task), and mobilization (1 task). This study provides a clear delineation of the specific responsibilities and tasks performed by drill sergeant platoon leaders, enhancing both theoretical understanding and practical application in this field. Future research is recommended to identify the core competencies required not only for drill sergeant platoon leaders but also for other related positions such as company commanders and instructors.
다차원척도법(MDS)을 이용한 육군의 병과별 우수 장교 모집 전략 연구: 육군3사관학교 사관생도를 중심으로
이정열 육군사관학교 화랑대연구소 2020 한국군사학논집 Vol.76 No.1
The Army spends a lot of money to train cadets as second lieutenant because they are future elite officers who can lead the armed forces. In case of KAAY cadets, the actual cost of training per cadet for two years is 116.62 million won. Moreover, the training is costly in terms of time and manpower. Therefore, the Army has to make good use of them. Furthermore, each of the Army branches has to put a lot of effort into recruiting elite officers, leading to the development of their branches.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rmy branches with information for recruiting elite officers in KAAY cadets. This study consists of three phases. In the first phase, theoretical reviews were conducted on the Multi-dimensional Scaling, the Image Positioning, and the branch classification system. In the second phase, an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wo surveys on the branch selection property of cadets. In the third phase, the Multi-dimensional Scaling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branch selection property of cadets in KAAY. 육군은 사관생도들이 장차 육군을 지휘할 엘리트 장교의 역할을 해 줄 것을 기대하기 때문에 이들을 양성하는데 많은 예산을 사용한다. 육군3사관학교 사관생도의 경우에도 생도 1인당 양성비용이 2년간 1억1662만원에 이르고, 예산뿐만 아니라 시간과 인력 측면에서도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러므로 육군의 입장에서는 많은 예산을 투입한 사관생도들이 장교로 임관한 후 자신의 역량을 충분히 발휘하도록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고, 각 병과의 입장에서는 병과의 발전을 이끌어갈 우수한 장교를 모집하기 위한 노력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많은 예산을 사용하여 양성한 소수정예의 3사 생도들 중 우수한 인재를 모집하고자 하는 각 병과들의 인재모집 전략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병과별 이미지 포지셔닝 전략의 수립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정열 육군사관학교 화랑대연구소 2022 한국군사학논집 Vol.78 No.1
대학의 교수자 즉, 교수의 주된 임무는 교육(teaching)과 연구(research) 그리고 봉사(service) 분야이다. 이러한 교수의 임무 중에서도 교육(teaching) 분야는 최근 4차 산업혁명과 학령인구 감소 등의 급격한 환경변화에 따른 ‘대학교육의 질’ 제고 이슈로 부각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교육역량의 발전과 전반적인 교육의 질을 높이기 위해 교수역량 평가는 반드시 필요하다. 교수역량에 대하여 피 교수자가 인식하는 평가 결과는 대학교육 프로그램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고, 교수가 지각하는 평가 결과는 교수활동의 개선에 환류되어 피 교수자와 원활한 의사소통이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육군3사관학교 교수와 사관생도가 인식하는 교수역량을 비교 분석하고, 그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는 3단계로 진행하였다. 1단계에서는 교수역량 이론, 교수역량 측정 도구, 육군3사관학교 학위교육 제도에 관한 문헌연구를 수행하였다. 2단계에서는 교수 및 생도들을 대상으로 '교사 역량' 척도를 활용한 교수 역량 인식을 측정하였다. 3단계에서는 t-검정 및 분산분석 수행 결과를 통해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수의 인구통계학적 요인 중 연령과 직급에 따른 교수역량 인식 차이가 존재하였다. 둘째, 사관생도의 인구통계학적 요소에서 학년, 학점, 전공에 따라 교수역량 인식의 차이가 존재했다. 마지막으로 교수와 생도 간 교수역량 인식 차이를 분석한 결과 강의 준비영역, 강의 진행영역, 강의 정리영역에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교수들에게 교수 역량 강화 방향을 제시함으로써 사관학교의 교육의 질을 높이기 위해 수행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는 사관학교의 '교육의 질'을 높이는 계기가 될 수 있다.
육군사관학교 영어교육을 중심으로 본 군사영어교육 발전방안: 국제언어로서의 영어교육 적용의 필요성
진성한 육군사관학교 화랑대연구소 2022 한국군사학논집 Vol.78 No.2
본 연구는 국제언어로서의 영어교육이 어떻게 육군사관학교 영어교육에 적용될 수 있는지 탐구함으로서, 국제적인 군사 환경에서의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위한 국제언어로서의 영어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논의한다. 첫째, 본 연구는 현재의 육군사관학교 영어교육이 국제적인 군사환경에서의 영어사용에 있어 제한사항에 대해 논의한다. 이어서, 국제언어로서의 영어교육이 그러한 제한사항들을 어떻게 극복할 수 있는지를 입증한다. 마지막으로, 육군사관학교에서 국제언어로서의 영어교육이 어떻게 실행될 수 있는지에 대한 다양한 방안을 제시한다. 끝으로, 본 연구는 국제적인 군사환경에서 다양한 언어적, 문화적 배경을 가진 상대와 효과적으로 의사소통을 하기 위한 생도들의 영어능력과 문화 간 소통 능력을 모두 배양하기 위해서는 국제언어로서의 영어교육이 반드시 필요함을 역설하며 결론을 맺는다.
6․25전쟁 이전 북한의 군관학교 설립과 운영 : 조선인민군 제1중앙군관학교와 제2중앙정치학교를 중심으로
김선호 육군사관학교 화랑대연구소 2023 한국군사학논집 Vol.79 No.1
On February 8, 1948, the North Korean government established the 1st Central Academy of the North Korean Army(Korean People’s Army) and the 2nd Central Political School to intensively foster military officers and political officers. Students embraced modern military doctrines for 7 to 10 months while being educated with Soviet military political textbooks and military manuals translated into Korean under the guidance of Soviet military advisers. The 1st Central Military Academy trained infantry and artillery officers through military studies until June 1948, and conducted tactical training of battalions and regiments from 1949 to 1950. In addition, the 2nd Central Political School educated students on the history of the World Communist Revolution and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as well as the weapons and equipment of the Soviet Army. During the Korean War in 1950, about 32.8% of officers in the North Korean Army had graduated from two academies. The junior military officers were mainly graduates of the 1st Central Military Academy, and the junior political officers were mainly graduates of the 2nd Central Political School. As a result, the two academies provided a human base for the modern offensive battles by comprehensively operating each type of soldier. 북한지도부는 1948년 2월 8일에 조선인민군 제1중앙군관학교와 제2중앙정치학교를 동시에 설립해서 인민군의 지상군간부와 문화간부․공군간부를 집중적으로 육성했다. 학생들은 7~10개월 동안 소련군 군사고문의 지도 아래 우리말로 번역된 소련군의 정치․군사 교재․교범으로 교육받으면서 소련군이 제2차 세계대전을 통해 획득한 군사교리를 급속히 수용했다. 제1중앙군관학교는 1948년 6월까지 군사학 교육을 통해 보병․포병장교를 먼저 육성했다. 그리고 1949~1950년에 보병․포병․탱크병․공군이 참가하는 대대․연대 전술훈련을 실시했다. 이와 함께 제2중앙정치학교는 세계공산주의혁명사․조선독립운동사에 대한 정치교육과 소련군의 무기․장비에 대한 군사교육을 실시했다. 특히 소련군의 정치교재를 직접 번역해서 학생들에게 군대의 정치공작을 교육했다. 1950년 6․25전쟁 당시 인민군의 군관 중 약 32.8%는 제1중앙군관학교와 제2중앙정치학교 출신이었다. 대대장 이하 하급 지휘관은 대부분 제1중앙군관학교 졸업생이었고, 문화부중대장과 대대․연대 선전원 등 하급 문화간부는 주로 제2중앙정치학교 졸업생이었다. 결국 2개 군관학교는 2년 동안 소련군의 사상과 교리로 무장한 군관을 배출함으로써 인민군이 각 병종을 종합적으로 운용해 현대적 공격전을 전개할 수 있는 인적 기반을 제공했다.
사관생도들이 지각한 교수자의 피드백 유형 및 수준이 군사학 과정 성적에 미치는 영향
정병삼(Byongsam Jung) 육군사관학교 화랑대연구소 2016 한국군사학논집 Vol.72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사관학교 군사학 과정 교관들이 제공하는 피드백의 유형이 사관생도들의 군사학 과정 성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그러한 영향이 사관생도들의 성취목표지향성 유형과 학습과제에 따라서 차이가 있는지 여부를 규명하는데 있다. 또한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사관생도들의 성취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교육방법 개선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K사관학교 생도 445명을 대상으로 2015년 5월 3일부터 12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했고, 불성실 응답지 11부를 제외하고 434부의 데이터에 대해 경로분석을 실시했다. 분석결과 군사학 교관들의 피드백 유형 중 긍정적, 교정적, 즉각적 피드백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고, 학위교육성적과 전 학기 군사학 성적이 미치는 영향에 추가적으로 18%를 설명했다. 이어서 교수자의 피드백 유형이 군사학 성적에 미치는 영향이 과목별로 차이가 있는지 여부를 분석한 결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는데, 전투기술학에 미치는 영향이 가장 컸다. 또한 교수자의 피드백 유형이 군사학과정 성적에 미치는 영향이 학습의 성취목표지향성향에 따라서 차이가 있는지 여부를 분석한 결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 숙달지향 집단에 미치는 영향이 더 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military academy instructors’ feedback on military cadets’achievement in the military science courses. In addition, this study intends to identify the differences of the feedback's effects among the types of the military science subjects and the military cadets’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types. Four hundred and forty five military cadets of K military academy were employed as a sample and two survey measures(achievement goal orientation measure and feedback type scale) were administered to them.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in the path modeling using AMOS 18.0 and the results of the analyses were like these: First, military instructors’feedback showed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the military cadets’ academic achievement in the military science courses.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effects of the feedbacks on the military cadets achievement among the military science courses and the types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3군 사관학교의 신입생 선발을 위한 영어시험의 타당도 분석
전종민 육군사관학교 화랑대연구소 2016 한국군사학논집 Vol.72 No.1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investigate the validity of English test for three armed forces academies to admit new students. To this end, one of the three armed forces academies, Air Force Academy, was selected as a sample group. The subjects of the present study were 760 students enrolled in Air Force Academy from 2011 to 2015.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articipants’ scores of English test made jointly by three armed forces academies for the admission and those of TOEIC(Test of English for International Communication) was analyzed using validity coefficient. The result of the study indicates that the validity coefficient for the entire students was 0.460. It also shows that the validity coefficient for the year of 2011 was 0.487, 0.550 for 2012, 0.664 for 2013, 0.556 for 2014, and 0.44 for 2015. Based on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this paper concludes that the English test of three armed forces academies has the appropriate criterion-related validity. 본 연구의 목적은 3군 사관학교의 신입생 선발을 위한 영어시험의 타당도(validity)를 조사하는 것이었다. 본 연구는 표본 집단으로 공군사관학교를 선정하였으며, 760명의 학생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 연구대상자들의 2011학년도부터 2015학년도까지 3군 사관학교가 공동으로 출제한 영어시험과 TOEIC 성적 간의 상관관계를 Pearson 상관계수 분석을 활용해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각 학년도별 상관계수가 2001년에는 0.487, 2012년에는 0.550, 2013년에는 0.664, 2014년에는 0.556, 2015년에는 0.440으로 두 시험간의 상관관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함을 나타낸다. 연구의 결과를 통해 사관학교 영어시험이 적절한 타당도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나상철(SANGCHUL NA) 육군사관학교 화랑대연구소 2020 한국군사학논집 Vol.76 No.1
This study traces the history of the Army Reserve Officer Academy, which was founded in May 1951 during the Korean War and disbanded in October of the same year, in the category of ‘micro-historical military history’. This Academy was established simultaneously with the 5th Corps (reserve), which was established following the disbandment of the National Defense Corps. The Reserve Officer Academy is presumed to be an organization to clean up the remaining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of the National Defense Corps Officer Academy. However, unlike before, the officers who graduated and commissioned the academy followed the Army"s officer hierarchy, although they were a reserve. The Reserve Officer Academy produced about 4,500 officers during its six-month until disbandment. Some of them were turned into active-duty officers and have been deployed to the front and rear mopping up and counterterror echelon. And many of them have become the link of the ROKA and U.N. military alliance, with the deployment of a number of senior members of the Korean Service Corps. In addition, they played a role in ensuring the robustness of the labor force to support the U.N. military"s defense. But memories of them have been forgotten and excluded from the study of Military History which was implemented from national history research institutions. Therefore, in this paper, I attempt to restore the nature of the Reserve Officer Academy and its military historical character by compiling the statements of the veterans along with the extremely scarce literature historical materials.
공군사관학교 1학년 학생의 중도탈락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이병주,이태원 육군사관학교 화랑대연구소 2023 한국군사학논집 Vol.79 No.1
In this study, the factors influencing the intention to drop out of the Air Force Academy’s first year cadets were explored. The survey was conducted by transforming the questionnaire of the Kore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to reflect the specific context of the Academy. Total of 125 survey responses were received. Also, by utilizing SPSS 29.0, a verification of difference was conducted to see if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groups(Drop out intention group and Hope to continue attending school) in the intention to drop out and the factors influencing the intention. A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as well. As a result, the study first showe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background variable ‘birth year, admission decision time', and ‘education service satisfaction, career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was significant in the university experience variable. The ‘relational variable' indicating the degree of alienation was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th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career satisfaction, life satisfaction, and alienation of relationship' had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 intention to drop out. While ‘career satisfaction, life satisfaction' decreased the intention to drop out, ‘relational alienation' increased the intention. With reference to these research results, structural solutions to reduce the intention to drop out of military academies should be supported. 본 연구에서는 공군사관학교 1학년 학생의 중도탈락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였다. 공군사관학교의 특수성을 반영하여 한국교육종단연구의 설문지를 변형하여 설문을 진행하였다. 총 125명을 대상으로 설문응답을 받았으며, SPSS 29.0을 활용하여 중도탈락의도 및 영향요인에서 집단(중도탈락의도 집단과 재학희망형 집단) 간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차이검증을 실시하고, 중도탈락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살펴보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 번째로 중도탈락의도 여부에 따른 차이검증 결과, 배경 변인은 ‘출생년도, 입학결심시기’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대학경험 변인에서는 ‘교육서비스만족도, 진로만족도, 생활만족도’가 유의하였다. 소외 정도를 나타내는 ‘관계변인’ 또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두 번째로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대학경험 변인과 관계변인에서 ‘진로만족도, 생활만족도, 관계의 소외’가 중도탈락의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만족도, 생활만족도’는 중도탈락 의도를 감소시키고 ‘관계의 소외’는 중도탈락 의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참조하여 사관학교 중도탈락의도의 감소를 위한 구조적 해결이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
박명환(Myunghwan Park),김득수(Deuksu Kim),김동한(Donghan Kim),설현주(Hyeonju Seol) 육군사관학교 화랑대연구소 2018 한국군사학논집 Vol.74 No.1
The demand for well-educated cyber warfare professionals is sharply increasing these days and it is clear that military academy should do the pivotal roles to cultivate such cyber warriors. For the sake of it, the current curriculum of military academy should be revised to make it best-fit to accommodate this challenging mission. To do that, we first surveyed several cyber security curricula of other institutions and previous researches on curriculum for cyber security. We then identified key knowledge areas required for cyber warfare and designed the class courses for the corresponding knowledge areas. Finally, we proposed cyber warfare centered curricula for each academy, which could be incorporated with the current curricula with a minor chan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