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매체유동층에서 미세 고분자의 건조특성

        김옥신(Og Sin Kim),이동현(Dong Hyun Lee) 한국청정기술학회 2011 청정기술 Vol.17 No.3

        직경 0.15 m, 높이 1.0 m인 매체유동층 건조기 내에서 유입 열풍유속(0.26~0.31 m/s), 유입 열풍온도(315~353 K) 및 미세 고분자입자와 매체입자의 질량비(0.1~0.4)에 따른 미세 고분자의 건조속도에 관한 영향을 조사하였다. 건조에 사용된 미세 고분자는 평균입경이 20 μm인 가교 PMMA beads로써 Geldart group C 입자이고, 매체입자는 Group B인 직경 590 μm인 glass beads를 이용하였다. 건조속도는 유입열풍유속 및 유입열풍온도에 따라 증가하였고, 미세 고분자와 매체입자의 질량비에 따라 감소하였다. 건조된 미세 고분자(PMMA)의 입도분포형태는 단일분포를 나타내었다. The effects of inlet gas velocity (0.26-0.31 m/s), inlet gas temperature (315-353 K) and the mass ratio (0.1-0.4) of fine polymer (crosslinked poly methyl methacrylate beads) to inert medium particles on the drying rate of fine polymer in a 0.15 m-ID × 1.0 m-high inert medium fluidized bed dryer have been investigated. Crosslinked PMMA beads of 20 μm (group C) were used as fine polymer, and glass beads of 590 μm (group B) were used as the inert medium. The drying rate increases with increasing inlet gas temperature and velocity. However, the drying rate decreases slightly as the mass ratio of fine polymer to inert medium particles increases. The particle size distribution of dried fine polymers was mono distribution.

      • KCI등재
      • KCI등재

        다문화사회와 이중언어교육

        김옥신 ( Ok Seon Kim )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2 인문학연구 Vol.0 No.43

        우리나라는 다가올 한국 사회의 이중언어적 미래를 대비하여 제2언어로서 한국어교육뿐만 아니라 이중언어교육에도 많은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이러한 취지로 본 논문의 2장에서는 이중언어교육(등장 배경, 발전, 유형)의 간략한 개관과 함께 커밍스의 이론을 중심으로 이중언어교육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3장에서는 이에 비추어 한국에서의 이중언어교육 상황을 살펴보았으며 4장에서는 우리나라가 지향해야 할 이중언어교육에 대해 제언하였다. 우리나라 이중언어교육 계획은 우리나라 다문화가정의 특수성과 우리나라 다문화가정 아동이 지니는 특성과 성장경로, 이들이 처한 특수한 상황을 면밀하게 조사하여 개별 이중언어 아동의 다양하고 상이한 전제조건들을 고려하여 구상된 세심한 교육적 접근이 필요하다. 이와 더불어 한국어를 모어로 사용하는 학생들에게도 다양한 문화를 이해하고 인정하도록 하는 상호문화 이해교육의 차원에서 외국어교육을 강화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이중언어교육은 소수집단에 속한 개개인의 권리를 존중할 뿐만 아니라 민족, 인종, 문화적으로 다른 사람들 사이의 소통과 이해를 촉진시키며 궁극적으로 다양한 문화가 조화롭게 공존하는 사회를 이루는데 기여할 것이다. After 1990 Korea has experienced rapid demographic change, and this transition will be accelerated. According to this change, we should recognize that Korea is not monolingual society any more, and need new education to adjust to rapidly changing linguistic, cultural reality, Nowadays Korean government adopt lingual and cultural assimilationism, but should develop various educational program for bilingualism as the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y increase. Education for bilingualism is proper education policy to overcome the limits of lingual and cultural assimilationism that has been taken for marginal group in Korean society as one of the consideration for the social weak. Through supporting policy for bilingualism, the children of bilingualism can develop their potential abilities without being rejected their world that presented by language and without handicaps in cognitional and emotion growt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