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현장실습과 온라인실습 유형별 간호 대학생의 실습 만족도 및 학업성취도 비교
전은영 ( Eunyoung Jeon ),김소현 ( Sohyeon Kim ),김민중 ( Minjung Kim ),김서현 ( Seohyun Kim ),김성주 ( Seongju Kim ),김소영 ( Soyeong Kim ),김소현 ( Sohyeon Kim ),김아영 ( Ayoung Kim ),김예빈 ( Yebin Kim ),김정은 ( Jeongeun Kim ) 경북대학교 간호과학연구소 2021 경북간호과학지 Vol.25 No.2
Purpose: This study aimed to compare the level of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of nursing students' clinical practice achievement between field and online practice. Methods: In this descriptive research, we recruited junior and senior nursing students who experienced both field and online practice from nursing college in Daegu and Gyeongbuk, Korea. Data were collected using the online survey and analyzed via a t-test, ANOVA, and paired t-test using SPSS V 25.0. Results: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atisfaction of practice between field and online practice types. However, academic achievement was higher in the field group than in the online group. Out of five points, the scores of field practice and online practice were 3.66 points and 3.39 points, respectively, which indicated that academic performance was higher in field practice than online practice (t=6.21, p<.001). Conclusion: Field practice has been shown to achieve higher academic performance than online practice. Hence, research is needed in order to develop suitable field practice models for the New Normal era in preparation for situations that practice is limited, such as COVID-19 and future outbreaks.
GIS 기반의 재해 위험성을 고려한 북한 영농형 태양광 발전 잠재성 분석
김예빈(Yebin Kim),박형동(Hyeong-Dong Park)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21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1 No.7
농작물은 광포화점을 초과하여 빛을 받게 되면 생장이 저하되는데 영농형 태양광 모듈을 설치함으로써 그림자를 제공하여 작물의 생장을 도와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동시에 태양광 발전을 통해 농촌 지역에 에너지를 공급함으로써 북한의 에너지 불균형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산악 지역 비중이 높은 북한에서 황해남도 지역은 상대적으로 넓은 평야를 가지며 곡창지대로 알려져 있는 한편, 태풍과 집중호우로 인한 피해가 잦은 지역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영농형 태양광 발전 적합 지역을 선정하기 위해 GIS 기반의 기상재해 위험성을 분석하여 위험성이 높은 지역을 배제한 후, SAM(System Advisor Model) 소프트웨어를 활용하여 농지의 차광률, 태양광 패널 경사 및 경사방향 등을 고려해 영농형 태양광 발전 잠재성을 평가하였다. 영농형 태양광은 북한의 농업 환경 개선 및 에너지 공급에 기여할 수 있지만, 하부 작물 별 생육 특성, 낙숫물의 영향, 농지 수분 및 온도 변화 등에 대한 추가적인 고려가 필요하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향후 재생에너지 협력 시 북한의 전력 공급 상황을 개선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