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디지털 콘텐츠 저작 도구 Namo Author를 활용한 교육 프로그램 설계 과정과 효과에 관한 연구

        임철일 ( Cheolil Lim ),염지윤 ( Jiyoon Yeom ),이종찬 ( Jongchan Lee ),정혜원 ( Hyewon Jung ),최서연 ( Seoyeon Choi ),이웅기 ( Unggi Lee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21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7 No.2

        COVID-19로 인한 원격교육과 디지털트랜스포메이션으로 인한 교육현장의 변화로 디지털 기반의 교육용 콘텐츠에 대한 수요는 더욱 높아졌지만, 기존의 콘텐츠는 교사 및 학습자의 요구를 충족시키기에 미흡한 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디지털 콘텐츠 저작 도구인 Namo Author를 활용하여 교육용 콘텐츠를 설계하는 과정과 그것의 효과성을 분석하려고 하였다. 교육용 콘텐츠 설계를 위한 참여적 설계 과정은 교사, 학생, 연구자가 5개의 팀을 구성하여 이루어졌다. 준비, 설계, 사용성 평가, 최종 개발 및 실행의 네 가지 단계를 거쳐 연구가 수행되었으며, 사용성 평가 과정에는 학습자 사용에 대한 시선추적기법이 탐색적으로 활용되었다. 연구 결과, 해당 저작 도구가 학습자 중심의 교육용 콘텐츠를 제작하는데 효과적이며, 프로그래밍에 대한 전문 지식이 적어도 전자책 형태의 콘텐츠를 빠르게 제작할 수 있도록 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반면, 현재 저작 도구의 인터페이스가 다소 직관적이지 않고, 제작한 콘텐츠를 구동할 수 있는 환경이 제한적이라는 한계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교육용 저작 도구의 효과성 및 한계를 확인함으로써 추후 교육용 저작 도구 및 교육용 콘텐츠 개발 시 참고할 수 있는 시사점을 도출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e demand for digital educational content has increased with the adoption of distance learning in schools caused by COVID-19 and digital transformation, the existing digital contents are still insufficient to meet the needs of teachers and learners. Therefore, this study is designed to analyze the process of designing educational contents and its effectiveness using Namo Author, a digital content authoring tool. The educational contents were developed by adopting a participatory design method with five teams of researchers, teachers, and learners and by conducting four stages of preparation, design, usability test and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In particular, eye tracking technique has been used explorately in the usability tests for learners. The results of the study confirmed that the authoring tool is effective in producing learner-engaged educational contents. Also, the tool has advantage in creating e-pub contents easily without the complex knowledge of computer programming. On the other hand, it has limitations such as less intuitive interface and the limited execution environmen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has derived implications to the future development of educational authoring tools and educational contents by examining the effects and limits of the educational authoring tool.

      • KCI등재

        인공지능 챗봇의 교육적 활용 연구 동향 분석: 활동이론을 중심으로

        김민지 ( Minji Kim ),염지윤 ( Jiyoon Yeom ),정혜원 ( Hyewon Jung ),임철일 ( Cheolil Lim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21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7 No.2

        본 연구는 인공지능 챗봇의 교육적 활용 연구 동향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현재의 이슈를 파악하고 향후 방향성을 탐색하기 위하여 활동이론에 기반하여 관련 연구 동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활동체제 모형을 분석 틀로 사용하여 34개 논문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챗봇 관련 연구는 국내와 국외 모두 2019년부터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2) 학습자는 국내와 국외 모두 대학생 이상이 가장 많았고, 3) 표집 크기는 국내는 50명 이하, 국외는 100명을 초과한 경우가 가장 많았다. 인공지능 챗봇은 국내와 국외 모두 4) 목적형 시스템 5) 문자 6) 학습도구로 사용되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또한, 7) 국내는 기존 챗봇을, 국외는 자체 개발한 경우가 가장 많았다. 국내와 국외 모두 8) 영어와 9) 지적기능을 학습 목표로 설정하여 챗봇을 활용한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 10) 학습 결과로 국내는 인지 및 정의적 영역을, 국외는 정의적 영역을 가장 많이 확인하였다. 11) 챗봇 사용 횟수는 국내는 1회, 국외는 2회 이상이 가장 많았다. 챗봇 사용은 12) 교수가 스캐폴딩을 제공하는 통제된 환경에서 사용하는 경우가 국내와 국외 모두 가장 높았다. 13) 챗봇을 사용하는 학습 환경은 국내는 오프라인이 가장 많았고, 국외는 온라인과 오프라인 둘 다 동일하게 가장 많았다. 14) 협동학습에서 챗봇을 사용하는 경우는 국외는 없었으며, 국내도 1건만을 제외하고 모두 개별학습에서 사용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연구의 방향성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과업 중심의 목적형 챗봇을 개발하고 효과성을 엄격하게 검증하는 후속 연구가 요구된다. 둘째, 정의적 영역을 지원하는 챗봇을 에이전트화하여 개발할 필요가 있다. 셋째, 챗봇이 튜터로써 기능하여 적시적 피드백을 제공하는 다양한 협동학습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온라인 학습 환경에서 학습 분석 데이터를 활용하여 챗봇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학습 설계에 대한 연구가 요구된다. In this study, the research trend of educational use of artificial intelligence chatbots were systematically analyzed to identify current issues and explore future directions based on activity theory. 34 papers were analyzed by using the activity system model as an analysis framework. The results are as follows. Research on chatbots has been sharply increased from 2019 in both domestic and international. For the number of learners, above of college students were the most in both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The most common sample size was 50 or less in domestic and more than 100 in foreign countries. Artificial intelligence chatbots were most often used as a purpose-based system, text-based, learning tools in both domestic and abroad. chatbots were developed for using in foreign countries, while existing chatbots were used in Korea. In both domestic and foreign countries, chatbots were aimed to teach English and intellectual skill. The most result of learning is cognitive and affective domain in Korea and affective domain in foreign conturies. The most number of use was only once in Korea and twice in foreign countries. In both domestic and foreign countries, it was the most common case that the instructor were in control of environment and offered scaffolding while using chatbots. As for the learning environment, offline was the most common in Korea, and both online and offline were identically common in foreign countries. Chatbots were not used in cooperative learning at all abroad and only one case in Korea. Based on the results,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is presented as follows. First, a follow-up study is required to develop a task-oriented, purpose-built chatbot and strictly verify its effectiveness. Seco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chatbots that support the affective domain as agents. Third, it needs to design the cooperative learning in which chatbots function as tutors and provide timely feedback. Finally, research on learning design that can effectively use chatbots by utilizing learning analysis data on online learning environment is requi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