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입원환자와 간호사가 지각한 간호만족에 대한 연구

        김안자,이정자,손민자,최영자,이숙자 中央醫學社 1994 中央醫學 Vol.59 No.3

        The perceived satisfaction of patients as care-receiver (provided by nurses as care-giver) during nursing care process is considered important not only in the establishment of efficient nursing care but also in the evaluation of nursing intervention effectiveness in the hospital. Following work was undertaken to find out the difference of perceived satisfaction in patients and nurses during nursing care. 185 patients admitted for more than 5 days and 148 nurses employed in the same hospital were subjected to respond to the same questionnaires in the Quality Patient Care Scale developed by Wandelt and Ager. The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using Anova and t-test. The findings obtained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About 60 % of patients were female and the mean age of them was 41 year-old. Forty five percent of patients were admitted more than 3 weeks. In contrast, about 40 % of nurses belonged to the age group of twenties (25?29 yrs.) and 68 % of them was unmarried. A quarter of nurses had the clinical experiences less than one year and nurses who have worked in the clinic more than 5 years were 23 %. 2. The perceived satisfaction score of patients were varied significantly with age, martial status and education level while that of nurse showed the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upon age, marital status and clinical experiences. 3. The satisfaction score of patients was higher than that of nurses in the same items. Patients showed the significant higher scores in the psycho-social and communication aspects than nurses, whereas lower score in physical aspects than nurses.

      • KCI등재
      • 가족레질리언스가 한부모가족의 가족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김안자 21세기사회복지학회 2007 21세기사회복지연구 Vol.4 No.1

        본 연구는 가족레질리언스가 한부모가족의 가족스트레스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규명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강점 관점에 기초한 건강 개념으로 한부모가족을 조망하여 가족레질리언스의 어떤 요인이 한부모가족의 가족스트레스를 감소 완화하고 극복하게 하는지를 규명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자료는 서울시내의 초․중․고등학교에 재학중인 한부모가족 학생의 모(母)를 대상으로 비확률 유의표집을 통해 표본을 구했다. 설문지는 총 191부를 분석자료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한부모가족이 역경과 위기에 대처할 수 있는 레질리언스를 비교적 많이 가지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특히 가족레질리언스 조직유형의 하위요인 중 연결성과 가족자원은 동일한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갖고 있다 하더라도 한부모가족이 가족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극복하는데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으로 입증되었다. 따라서 한부모가족에 대한 연결성과 가족자원 서비스에 초점을 두고 가족레질리언스를 강화하고 확대하는데 대한 더 깊은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겠다.

      • KCI등재

        순환교대근무와 주간고정근무 간호사의 수면양상,직무만족 및 삶의 질.

        윤진상,국승희,이형영,신일선,김안자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9 신경정신의학 Vol.38 No.4

        연구목적 : 본 연구는 순환교대근무 간호사와 주간고정근무 간호사의 수면양상, 직무만족 및 삶의 질을 비교해 보고, 직무만족과 삶의 질에 미치는 요인으로서 개인적 요인(일주기 리듬, 성격)과 제도적 요인(근무제도)이 기여하는 정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순환교대근무 간호사 85명(이하 순환군)과 주간고정근무 간호사 70명(이하 주간군)을 대상으로 수면설문지, 한국어판 조합척도(Korean translation of Composite Scale : KtCS), 직무만족 지수(Job Satisfaction Index), 일반건강설문지(General Health Questionnaire), Eysenck의 성격차원검사 (Eysenck's Personality Questionnaire)를 실시하였다. 자료는 근무형태(순환교대근무와 주간고정근무)에 따른 주중 수면양상, 최근 한달 간의 수면장애 빈도, 일주기 리듬 양상, 직무만족 및 삶의 질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비교분석되었다. 또한 근무형태, 일주기 리듬, 외향성 및 신경증적 경향성 성격차원을 예측변인으로 하고 직무만족과 삶의 질을 각각 준거변인으로 하여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하였다. 결 과 : 순환군은 주간군과 야간 수면양상(기상시각, 총 수면시간, 수면잠재기), 수면의 규칙성 및 낮잠의 빈도와 지속시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순환군은 주간군에 비해 수면장애(입면과 수면유지의 어려움, 야간의 불면, 악몽)가 더 많았으며, 직무만족과 삶의 질이 더 낮았다. 또한 순환교대근무 형태이고, 신경증적 경향이 높을수록 직무만족과 삶의 질이 좋지 않았고, 주간고정근무이고, 외향적일수록 직무만족과 삶의 질이 더 높았다. 그러나 교대근무의 적응력에서 보다 근본적인 개인차 요인으로 보고된 일주기 리듬은 직무만족이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결 론 : 순환군은 주간군에 비해 수면문제가 더 많았다. 또한 일주기 리듬이 근무의 적응도를 반영하는 직무만족과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는 유의하지 않았으나 근무형태(순환교대와 주간고정근무)와 성격차원(외향성, 신경증적 경향성)은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는 교대근무에 의해 일주기 리듬이 변화되었을 가능성이 있으며, 교대근무의 적응과 관련하여 성격특성이 중요한 요인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1) the differences in the sleep pattern, job satisfaction, the quality of life between the rotating shift work nurses and the nurses on a fixed day schedule and (2) the effects of the individual (circadian rhythm and personality) and the work system factors on the job satisfaction and the quality of life. Methods : Sleep Questionnaire, Korean translation of Composite Scale (KtCS), Job Satis-faction Index, General Health Questionnaire, Eysenck's Personality Questionnaire were ad-ministered to 85 rotating shift work nurses (the rotating group) and 70 nurses on a fixed day schedule (the daytime group). We compared the weekday sleep pattern, the frequency of sleep disorders during the last month, circadian rhythm patterns, job satisfaction, and the quality of life between the two groups. Also, we conducted the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here the independent variables were circadian rhythm, work schedule, extroversion, and neurotism and the dependent variables were the dependent variables were the job satisfaction and the quality of life. Results : Between the two group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leep pattern including the regularity of sleep and the frequency and duration of naps. The rotating group had more frequent sleep problems, poorer job satisfaction and quality of life as compared with the daytime group. The job satisfaction and quality of life were poorer in the nurses who were on a rotating shift work schedule and who had higher neurotic trend. On contrary, The job satisfaction and the quality of life were better in those who were on a fixed daytime shift work schedule and who had more an extroversive trend. However, the circadian rhythm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the job satisfaction and quality of life. Conclusions : The sleep pattern, job satisfaction, and the quality of life were significantly poorer in the rotating group than in the daytime group, as expected. In terms of individual factors which determine the job satisfaction and quality of life, the personality dimensions had a significant effect, whereas the circadian rhythm did not.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circadian rhythms of shift workers may be realigned and that personality characteristics may be an important factor in coping with shift work.

      • KCI등재

        가족레질리언스가 가족 건강성에 미치는 영향

        김안자 ( An Ja Kim )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009 한국가족복지학 Vol.27 No.-

        본 연구는 `가족의 건강성을 향상시키기는 데 가족레질리언스의 구성요소들이 주요한 영향을 미친다`라는 가정 하에 가족신념체계, 가족조직유형, 의사소통과정이 가족건강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조모형(이론모형)분석방법을 통해 파악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측정모형의 적합도가 적절한 것으로 나타나, 가족레질리언스의 3가지 구성요인들이 본 연구에 사용된 척도에 의해 충실하게 설명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이루어진 구조모형 분석결과, 가족레질리언스의 3가지 구성요인들이 모두 가족건강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시 말하면, 가족레질리언스의 구성요인들이 가족건강성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가정을 지지하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는 가족레질리언스 접근을 통하여 가족건강성을 강화시키는 실천이 가능하고, 가족에 대한 실천적 개입에서 가족레질리언스와 같은 강점관점이 효과적일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at "the components in family resilience have crucially important influence on family health" through analysis of structural model based on Walsh`s `family resilience model`, which is consisted of three factors: 1) Belief system, 2) Organization patterns, and 3) Communication Processes. The analysis result demonstrates that since the measurement model is appropriate for this examination, it ensures that the three factors in family resilience are met by used measure. The result of the structural model illustrates that three components of family resilience has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family health. That is, the result supports the hypothesis mentioned above. From the result in the paper, there are two important implications remained. Firstly, it can be evidence which family resilience approaches could enable to strengthen family health in practice. Secondly, when the family is intervened, strength based approaches such as family resilience can be effective.

      • 노인학대 실태와 대처방안에 관한 연구

        박완규,김안자 21세기사회복지학회 2011 21세기사회복지연구 Vol.8 No.2

        본 연구는 노인학대의 실태를 규명하고 이를 토대로 노인학대에 대한 대처방안을 제시하여 궁극적으로 노인의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결과, 노인학대의 6가지 유형 중 언어․정서적 학대가 가장 많았으며, 신체적 학대II(직접상해)를 제외한 5가지 유형에서 공통적으로 학력, 경제상태, 건강상태, 가족관계가 낮거나 좋지 않을수록 학대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방임과 자기방임 간에는 매우 강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 으로 나타났다, 노인학대에 대한 대처방안은 법적․제도적 지원체계 마련 등의 제도적 및 정책적 측면과 사회복지서비스 확충 등의 사회사업적 측면, 그리고 노부모와 자녀와의 관계증진 등의 개인․가족적 측면에서 제시하였다.

      • 그룹코칭 프로그램이 사회복지사의 감성지능과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신광현,김안자 21세기사회복지학회 2011 21세기사회복지연구 Vol.8 No.1

        본 연구는 그룹코칭 프로그램이 사회복지사의 감성지능과 심리적 안녕감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규명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현직 사회복지사다. 자료는 비확률 임의표집(Purposive Sampling)을 통해 표본을 구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 구의 결과 그룹코칭 프로그램이 사회복지사의 감성지능 향상( t=-12.25, p<.001)과 심리적 안녕감 향상( t=-18.63, p<.001)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그룹코칭 프로그램이 사회복지사의 감성지능과 심리적 안녕감에 매우 효과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입증된 것이다. 따라서 사회복지사들이 사회복지서비스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그룹코칭 프로그램이 다양하게 활용되고 지속적인 실천이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자원봉사활동이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최혜강,김안자 21세기사회복지학회 2010 21세기사회복지연구 Vol.7 No.1

        본 연구는 자원봉사활동이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를 검증하고 이를 통해 노인에 대한 자원봉사활동의 중요성과 사회적 관심 을 고취시키고자 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 자료의 분석결과, 조사 대상자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은 노인의 생 활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자원봉사활동 참여형태는 노인의 생활 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아 영향을 주지 않는 것 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자원봉사활동 참여여부에 따른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서는 자원봉사 참여노인들이 비 참여노인들에 비해 과거차원, 현재차원, 미 래차원의 생활만족도에서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냄으로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는 자원봉사활동에 참여하느냐 하지 않느냐에 따라 노인의 생활만족도가 달라질 수 있음을 시사해 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