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농업 경영체의 CEO 리더십이 농산물 교육과정의 참여동기 및 성과에 미치는 영향

        김신애 ( Kim Shine ),권기대 ( Kwon Ki-dae ) 韓國食品流通學會 2019 한국식품유통학회 학술대회 Vol.- No.동계

        In this study, we aim to investigate empirical relationship among leadership styles, motivation of educational participation and agricultural business outcomes focused on agricultural business CEO’s in chungnam provinces. To investigate these hypotheses, we used data from survey questionnaires on CEO’s of 276 persons during 60 days from August 01 to September 31 in 2018. We used multiple regression to analysis the data in order to test the inter influences relationships between key concepts in the proposed conceptual model. First, the results showed that charisma and servant leadership are positively related with goal oriented motivation. transactional leadership did not related with goal oriented motivation. Second, leadership among Excepting for charisma, transactional and servant leadership affect significantly related with activity oriented motivation. Third, we also surprisingly found that charisma, transactional and servant leadership are not related to learning oriented motivation. Fourth, we also showed that goal oriented in motivation of educational participation positively related with agricultural business outcomes. In the addition, the results showed that charisma and servant leadership are positively related with agricultural business outcomes. The follows are the implications, First, we contributed to better understanding of relationship between leadership types, motivation of educational participation and agricultural business outcomes. Second we explored the internal mechanism of agricultural business firms how leadership types can impact motivation of educational participation and agricultural business outcomes. We look forward to contribute that this study enhance and rebuild a basis of agricultural industries.

      • KCI등재

        미용숍의 고객자산이 브랜드 카리스마 및 구전효과에 미치는 영향

        김신애 ( Kim Shine ),권기대 ( Kwon Ki-dae ) 한국미용학회 2016 한국미용학회지 Vol.22 No.5

        This study was aimed to investigate an effect of customer equity on brand charisma and WOM``s effects in beauty shop focused on mediation effects of brand charisma for beauty shop in metropolitan region. Customer equity is what is called relationship asset, value assets. perceived quality, and brand assets, A total of 387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Data were gathered from respondents who use in metropolitan region. market. For this study, Data were analyzed by SPSS 21.0 ver. After reliability and validity check using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pproach was used to test the hypotheses. As expected in the hypotheses, except of brand equity, relationship asset, value assets. perceived quality does directly influence to brand charisma. brand charisma positively impact on WOM``s effects. In additional analysis, brand charisma has mediating role between customer equity and WOM``s effects. This result strongly supports our research model. Theoretical and manageri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and the limitations and future directions are presented in the part of the end.

      • 마케터의 관계주의, 한국적 정(情), 구전효과 간의 관계연구

        김신애(Kim Shine),권송(Kwon Song),차건희(Cha Keon Hee),권기대(Kwon Ki Dae) 한국경영교육학회 2013 한국경영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13 No.12

        본 연구는 한약재마켓의 마케터(한약도매상, 한약업사, 취급약국, 한의원)를 대상으로 '관계주의(고객접촉, 고객배려, 정서적 몰입, 계산적 몰입), 한국적 정(情), 구전효과간의 관계'를 구명하는데 있다. 문헌연구를 토대로 연구가설을 설정하고 실증적으로 분석한 결과와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가설 1의 마케터의 관계주의에서 고객접촉과 정서적 몰입은 한국적 정(情)에 유의한 영향관계를 보였다. 둘째, 연구가설 2의 마케터의 고객에 대한 '한국적 정(정)은 구전효과에 정(+)의 영향관계일 것이다'는 지지되었다. 셋째, 연구가설 3의'마케터의 고객에 대한 관계주의에서 고객접촉과 계산적 몰입을 제외한 고객배려와 정서적 몰입은 구전효과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는 채택되었다. 넷째, 연구가설 3의 추가분석으로 한국적 정(情)은 마케터의 고객에 대한 관계주의에서 계산적 몰입을 제외한 고객접촉, 고객배려, 그리고 정서적 몰입이 구전효 과와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고객접촉→한국적 정(情)→구전효과, 고객배려→한국적 정(情)→구전효과, 정서적 몰입→한국적 정(情)→구전효과로의 매개효과를 보여주고 있다. 잠재력있는 글로벌 한약재마켓을 선점은 마케터가 한국적 정(情)을 이용하여 고객을 접촉하고 배려해야한다. This study is a case study investigating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marketer's relationalism(that is, customer contact, customer consideration, affective commitment, and calculative commitment) and korea's cheong and word of mouth effect to recommend or positive explain herbal medicine. It has been a key issue in the relationship marketing paradigm and has been argued to be an important asset for its substantial competitive advantage. We collected statistically usable data from 95 questionnaire respondents who engage in herbal medicine business at national provinces and analyzed them with SPSS 18.0. Analysis results founded that, first, apart from customer consideration and calculative commitment, customer contact and emotional commitment pattern of marketer's relationalism had impact on korea's cheong. Second, the survey reveal that korea' cheong effect has influence on wom's effect. Third, this study partially supported positive effect between customer consideration and affective commitment of relationalism in herbal medicine and wom's effect. Fourth, this study perfectly supported mediating effect regarding korea' cheong between customer consideration and affective commitment of relationalism in herbal medicine and wom's effect. Summary and strategy implication will be mention in conclusion.

      • KCI등재

        식자재시장의 구매자-공급자 관점에서 관계몰입, 기회주의, 관계만족, 관계학습 및 충성도 간의 관계분석

        김신애 ( Shine Kim ),권기대 ( Ki Dae Kwon ) 한국식품유통학회 2016 食品流通硏究 Vol.33 No.1

        The purpose this study is to analyzed the effects relationship among relationship commitment, opportunism,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loyalty.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B2B in buyer-supplier of food materials. Sample size of analysis were 339 questionnaires. Analysis methods made the good use of SPSS and Amos Ver. 21.0. Analysis results verified that, first, affective commitment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 had positive effects on relationship learning. and Hypothesis of second showed that relationship learning had positive effects on loyalty. Third, Hypothesis of third partially supported positive effect between opportunism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 on loyalty. Summary and strategy implication will be mention in conclusion.

      • KCI등재

        농산물 공동브랜드의 브랜드 편익, 브랜드 카리스마와 재구매의도 간의 영향 관계분석

        김신애(Kim, Shine),이점수(Lee, Jeom-Soo),권기대(Kwon, Ki-Dae) 한국산학기술학회 2013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4 No.9

        농산물 공동브랜드의 개발 배경은 글로벌 농산물 브랜드의 국내시장진입, 경쟁 열위에 있는 우리 농산물 브 랜드의 육성 및 경쟁력 촉진, 소비자의 건강 웰빙 욕구로의 구매의향 확대에 따른 대응력 제고의 요인을 들 수 있 다. 본 연구는 6년 동안 농식품 파워 브랜드로 선정된 충남의 A지역의 공동브랜드를 대상으로 브랜드의 편익(상징적, 기능적, 경험적)과 브랜드 카리스마 간의 영향관계, 브랜드 카리스마와 재구매의도 간의 영향관계, 브랜드 편익과 재 구매의도에 있어서 브랜드 카리스마의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정제된 설문 228부를 분석한 결과, 첫째, 공동브랜드의 상직적 및 기능적 편익과 재구매의도 간의 영향관계는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공동브랜드의 카리스마는 재 구매의도에 정(+)의 영향관계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반면, 공동브랜드의 편익과 재구매의도 간에 브랜드 카리스마의 조절효과는 부분적으로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향후 치열한 농산물시장에서 우리 브랜드의 경쟁력 유지는 소비 자의 욕구를 실시간으로 반영하고 끊임없이 브랜드의 신뢰를 높일 수 있는 다각적인 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으로 진단된다. This study is to examinate an empirical study how effect of co-brand benefit(symbolic, functional, experiential) and brand charisma upon repurchasing intents in co-brand of agriculture goods, that is first power brand in chungnam provinces if korea. specifically this study conceptualizes that brand charisma to co-brand influence repurchasing intents. which leads to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In these brand charisma would have the moderating role between co-brand benefit and repurchasing intents. In the empirical analysis, we found that symbolic & functional benefits of co-brand and brand charisma would have a positive affect repurchasing intents. I verified the assumption that brand charisma of agriculture would moderating role between brand benefits and brand rebuying intents in the agriculture co-brand, and the result partially supported that assumption of it. Several strategies and suggestions for increasing persuasion of agro brand charisma are inferred from the results.

      • KCI등재

        컬러마케팅, 브랜드 카리스마와 마케팅성과 간의 관계연구

        김신애(Kim, Shine),권기대(Kwon, Ki-Dae) 한국산학기술학회 2014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5 No.1

        본 연구는 고객의 감성에 의한 개성이 중요시되고 브랜드와 제품에 다양한 컬러를 반영한 지속가능한 경쟁 우위차원에서 컬러마케팅과 브랜드 카리스마 그리고 마케팅 성과 간의 영향관계를 분석하였다. 정제된 266개의 설문 을 분석한 결과 첫째, 컬러마케팅의 상징성과 연상성은 브랜드 카리스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둘째, 컬러마케팅의 상징성은 마케팅성과의 브랜드충성도와 브랜드만족에, 연상성은 마케팅성과의 브랜드충성도에, 식 별성은 마케팅성과의 브랜드만족에 유의적인 관계로 분석되었다. 셋째, 브랜드 카리스마는 전환장벽을 제외한 마케팅 성과의 브랜드충성도와 브랜드만족에 긍정적인 관계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유용성은 첫째, 기업들이 소비 자의 라이프스타일 분석에 의한 개성있는 표적고객들에게 컬러마케팅으로 고객유인전략에 활용할 수 있는 동시에 브 랜드 카리스마가 고객과의 지속적 경쟁우위 관계강화의 접착제 역할을 담당할 수 있음을 시사하며, 둘째, 브랜드컬러 는 고객들에게 기업의 이미지를 인지 및 연상시키고 브랜드 카리스마를 낳아 충성도로 연결되는 소위 고객관계관리 의 무기로 활용할 수 있다. This study analyzes effects of color marketing on brand charisma and marketing outcomes, specifically focused on agricultural goods co brand. that is color marketing refers to the extent to which people like color marketing and consists of symbolization, association and discrimination, and so called variables of marketing outcome is defined as the extent to which a color evokes meaning (loyalty, satisfaction ,and switching barrier of brand). We collected statistically usable data from 266 questionnaire respondents who live in national provinces and analyzed them with SPSS 20.0 and Amos 5.0 to achieve research's goals. Based on the past studies, a total of three hypothesis are addressed in the study. Analysis results revealed that, first, color marketing of symbolization and association had a positive impacts on brand charisma. Second, the survey found that symbolization has q positive influence on brand loyalty and satisfaction except for switching barrier, association had an effect on brand loyalty, and discrimination had an effect on brand satisfaction. Third, brand charisma had an effect on brand loyalty and satisfaction. specially switching cost had not meaning on all hypothesis by reason of do not fully understand meaning of switching barrier. Summary and strategy implication will be mention in conclusion

      • KCI등재

        컬러마케팅전략, 브랜드 카리스마 및 고객충성도 간의 관계 연구: 수도권 뷰티숍 브랜드를 중심으로

        김신애 ( Kim Shine ),권기대 ( Kwon Ki-dae ) 한국미용학회 2017 한국미용학회지 Vol.23 No.3

        This study was aimed to investigate an effect relationship of color marketing strategy on brand charisma and customer loyalty in beauty shop focused on mediation effects of brand charisma for beauty shop in metropolitan area. Color marketing strategy is so called discrimination, association, symbolization and attractiveness. A total of 387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Data were collected from respondents who use beauty shop in metropolitan region. For this study, Data were analyzed by SPSS 21.0 ver. After reliability and validity check using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pproach was used to test the hypotheses. As expected in the hypotheses, except of symbolization and attractiveness, discrimination and association does directly influence to brand charisma. Brand charisma positively impacted on customer loyalty. In additional analysis, brand charisma has mediating effects between color marketing strategy and customer loyalty. This result strongly supports our research model. Theoretical and manageri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mentioned and the limitations and future directions are presented in the part of the end.

      • KCI등재

        한약재 도매상과 한의원간의 관계특성, 만족 및 협력

        김신애(Kim, Shine),이점수(Lee, Jeom-Soo),권기대(Kwon, Ki-Dae) 한국산학기술학회 2013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4 No.3

        오늘날 웰니스 시대를 맞이하면서 한약재 시장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구기자 한약 재를 대상으로 유통경로상에서 한약재 도매상과 한의원간의 관계특성, 만족 및 협력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 구에 사용된 조사방법은 설문지를 이용한 기술조사방법에 해당되며, 119부를 통계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한약재 도매상에 대한 한의원의 관계특성(관계주의, 신뢰, 보상력, 의존)은 만족에 정(+)의 영향관계에 있음을 확인하 였다. 둘째, 한약재 도매상에 대한 한의원의 만족은 협력에 정(+)의 영향관계로 나타났다. 셋째, 만족이 관계특성과 협 력 간에 있어서 매개효과 분석 결과는 관계주의와 보상력만 지지되어 부분적으로 채택되었다. 협력연구의 차별적 의 의는 부존자원이 빈약한 우리나라에서 탐색비용, 기회주의, 불확실성의 감소 등 내부적 관리비용의 절감을 낳을 수 있는 경영관리적 가치를 지닌다. Recently there is show deep concern at the wellness of health and beauty. therefore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 empirical study on the relational characteristics and collaboration between wholesalers and oriental clinic in herb medicine supplier channel, specially focused on lycium chinense. We collected statistically usable data from 119 questionnaire respondents who live in national provinces and analyzed them with SPSS 20.0 to achieve research's goals. Analysis results revealed that, first, relational characteristics of relationalism, trust, reward power and dependence had impacts on satisfaction between wholesaler and oriental clinic in herb medicine, Second, the survey found that satisfaction has impact on collaboration. Third, this study partially supported mediating effect regarding satisfaction between relational characteristics of relationalism and reward power.

      • 팸투어의 다차원적 체험활동이 만족 및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김신애(Shine Kim),권송(Song Kwon),강장석(Jang Seok Kang),민월기(Wall Ki Min) 한국경영교육학회 2013 한국경영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13 No.6

        본 연구는 '도농간 협력, 농촌경제 활성화'맥락에서 접근한 것으로 이의 연구를 위해 팸투어 체험에 참여한 대상자 143부의 설문지를 이용하여 통계분석한 결과 첫째, 연구가설 1의 '팸투어의 다차원적 체험활동(감성체험, 관계체험)은 체험만족에 정(+)의 영향관계로 나타나 부분적으로 지지되었다. 앞으로 팸투어에 감성과 관계체험을 낳는 마케팅이 요구된다. 둘째, 연구가설 2의 '팸투어 체험만족은 재방문의도에 정(+)의 영향관계일 것이다'는 채택되었다. 현재의 프로그램을 유지하면서 지속적으로 팸투어 만족을 위한 프로그램 개선에 투자해야 할 것이다. 셋째, 연구가설 3의 '팸투어의 다차원적 체험활동인 감각체험을 제외하고 감성체험, 관계체험, 인지체험은 재방문의도에 정(+)의 영향관계로 나타남에 따라 부분적으로 지지되었다. 타인추천 및 지속적 방문의 결과를 가져왔으므로 성공적인 팸투어 프로그램이었음을 보여준다. 앞으로의 관건은 팸투어의 저변화를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지방자치단체에서 지속적인 예산 확보로 팸투어의 저변화를 촉진시켜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s to examine an exploratory study on impacts of multidimensional experience activity(sense, feel, think, act, relate) of familiarization tour upon satisfaction and revisiting intents. Questionnaire of 143 PCs were uses this study in order to analyze suggested hypothesis. First, Experience activity on fam tour is positively related to experience satisfaction is partially supported. Second, experience activity on fam tour is positively related to revisiting intents is perfectly supported. Third, Experience activity on fam tour is positively related to revisiting intents is partially supported. Various strategy and detailed implications on analysis results can found not to mention in the conclusions.

      • KCI등재

        부여군 공동브랜드 굿뜨래의 성공요인에 관한 실증연구

        김신애(Kim, Shine),이점수(Lee, Jeom-Soo),권기대(Kwon, Ki-Dae) 한국산학기술학회 2013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4 No.4

        농산물 수입과 시장개방으로 수입 농산물뿐만 아니라 국내 농산물 간에도 경쟁이 심화되면서 지방자치단체 중심으로 차별화된 농산물 공동브랜드의 개발과 마케팅이 요구되었다. 매년 발표되는 정부의 농식품 파워브랜드대전 에서 6년 연속 선정된 굿뜨래를 활용하여 농산물 공동브랜드의 성공요인이 무엇인가를 알아보고자 선행연구의 검토 하에 연구가설을 설정하고 회수된 230개의 설문을 분석하였다. 첫째, 공동브랜드의 성공요인과 구매만족 간의 정(+)의 영향관계는 소비자 요인과 임직원의 몰입을 제외한 마케팅요인, 시장요인, 상품요인, 조직간 협력, 기술능력은 구매만 족에 긍정적인 관계로 나타났다. 둘째, 공동브랜드의 구매만족은 브랜드 충성도에 유의적이었다. 셋째, 추가분석으로 공동브랜드의 성공요인과 충성도 간의 정(+)의 관계여부는 마케팅요인, 상품요인, 조직간 협력을 제외한 시장요인, 소 비자요인, 임직원의 몰입, 기술능력이 충성도에 유의적인 관계로 나타났다. 연구의 기대효과는 2011년 현재 농산물브 랜드 5,340개 보유 기관들에게 성공적인 벤치마킹으로 활용될 수 있고, 정부정책에도 일조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 case study how effect of brand success upon purchase satisfaction and brand loyalty in co-brand of agriculture goods, that is GOODTRAE in korea. specifically this study conceptualizes that brand success factors affect satisfaction which try to buy a specific brand agricultural product. and that purchase satisfaction to GOODTRAE influence brand loyalty which leads to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In these brand success factors and brand loyalty relationship, purchase satisfaction of brand would have the mediating role. In the empirical analysis, we found that marketing, market environment, product, interorganizational cooperation, technology capability of brand success factors would affect purchase satisfaction of brand. Hypothesis what is left is not supported. I verified the assumption that brand purchase satisfaction of agriculture would affect consumer's loyalty and the result supported that assumption of it. and we found that market environment, consumer's factors, employee's & CEO's commitment, interorganizational cooperation, and technology capability of brand success factors would influence brand loyal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