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SCOPUS
      • KCI등재

        여성위생용품 형태 및 사이즈 분석과 사용성 평가

        김연수 ( Yeon Soo Kim ),김수정 ( Sujeung Kim ),이수진 ( Sujin Lee ),김동은 ( Dong-eun Kim ) 한국의류학회 2020 한국의류학회지 Vol.44 No.3

        Sanitary pads are used with for the sanitization of menstruation bleeding. In this research, twenty medium size disposable sanitary pads were selected from domestic and international brands in order to analyze their shape and size. Additionally, 6 sanitary pads were selected among the 20, and user experience evaluations were completed. The analysis on the shape of the 20 sanitary pads showed that straight-shape pads existed more than curved-shape pads. The means of total pad length, wing length, wing width, front pad width, back pad width, front pad length, and back pad length were 24.5 cm, 8.8 cm, 3.0 cm, 10.0 cm, 10.2 cm, 11.6 cm, and 13.0 cm, respectively. All selected pads were medium size; however, detailed sizes varied between brands. Eighty-one women participated on user experience evaluation. Participants felt that brand F was the longest and brand D the shortest. The results matched with the results on actual pad length measurement. Participants evaluated the fit of brand E most positively and fit of brand A most negatively. The current study provides valuable information for developing disposable sanitary pads.

      • KCI등재

        색채감성에 대한 판단에 있어서의 일반인과 전문가의 차이

        이윤진(Younjin Lee),이나경(Nakeung Lee),김수정(Sujeung Kim) 한국색채학회 2012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26 No.4

        본 연구에서는 색채감성에 대한 판단에 있어서 색상과 톤이 미치는 영향을 일반인과 전문가 간에 비교 분석하기 위하여 43개의 감성어휘를 평가척도로 하여 35색의 단색에 대해 주관평가실험을 실시했다. 그 결과 이하의 특징이 확인되었다. 첫째, 전문가 그룹은 일반인 그룹보다 색자극 군의 차이와 그에 따른 감성의 변화에 대한 식별력이 높아서 색채에 대한 감성을 비교적 섬세하게 판단할 수 있었다. 둘째, 색상과 톤을 색채감성에 대한 판단의 기준이 되는 요인으로 설정하여 두 그룹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반복측정 분산분석을 통해 검토하였다. 그 결과 색채감성에 대한 판단은 색상 보다 톤에 의한 영향이 크다는 것을 확인했고 톤요인에 의한 두 그룹간의 차이가 있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셋째, 일반인 및 전문가 그룹이 색상과 톤을 기준으로 색채감성에 대하여 어떤 차원을 이루고 있는지 다차원척도법(MDS)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2차원 MDS 플롯으로 해석한 결과 전문가 그룹에서 톤을 기준으로 하는 차원이 색상보다 더욱 명확하게 설명되어 색채감성에 대한 판단 시 톤요인에 의한 영향이 상대적으로 우세하다는 점과 2차원 공간의 제 1축과 제 2축에 밝기와 선명도를 중심으로 톤요인의 개체들이 분포된 점으로 보아 밝고 어두움에 관한 명도와 선명하고 탁함에 관한 채도의 복합이라는 톤의 개념이 효과적으로 설명되었다. 색채에 대한 다양하고 섬세한 감성을 판단하는데 색상보다 톤에 의한 영향이 지배적이라는 점과 이런 경향은 전문가 그룹에서 보다 우위였다는 본 연구의 결론은 톤에 의한 영향이 색상보다 지배적이라는 선행연구들의 결론과도 호응되었다. In this study, we compared the contribution of hue and tone dimension to color sensibility judgment through subjective evaluation experiment using 43 sensibility adjective scales and 35 single colors, assessing both color professionals and non-professional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the color professional group displayed higher acuity for color sensibility judgment than the nonprofessional group, which is attributable to its higher discrimination capability for color stimulus differences and shift in sensibility. Secondly, hue and tone was defined as factors serving as judgment criteria for color sensibility, and their contribution was examined using repeated measures ANOVA. The results revealed that tone was more influential than hue in determining color sensibility, and the amount of its contribution differed between the subject groups. Thirdly, we applied a multidimensional scaling method (MDS) to analyze the structural dimension of color sensibility on hue and tone in both subject groups. The two-dimensional MDS plots in the color professional group revealed the tone dimension much more clearly than the hue dimension, implying a stronger contribution of tone to color sensibility judgment. In addition, the complex concept of tone, the composite of brightness and saturation, was effectively confirmed through the two-dimensional distribution of tone factors along the axis 1 of “light and dark” and the axis 2 of “clear and dull”. Concludingly, tone dimension is more dominant than hue dimension in determination of various and subtle color sensibility, and this tendency was more apparent in the professional group. These findings are consistent with previous studies that suggest stronger contribution of tone than hue.

      • KCI등재

        제품의 디자인 스타일에 따른 2색 배색의 추출과 검증

        이윤진(Younjin Lee),홍정인(Jungin Hong),김수정(Sujeung Kim) 한국색채학회 2012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26 No.3

        제품의 디자인적인 가치를 논할 때 첫인상을 좌우하는 큰 역할을 하는 것이 색채의 조합, 즉, 배색이며 제품 디자인의 감성적 측면을 표현하는데 용이하다. 선행연구에서 제품 디자인을 위해 도출된 감성언어를 실제 제품 디자인에 유용하게 활용되도록 디자인 스타일별로 분류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제품 디자인에 필요한 감성 배색을 디자인 스타일별로 추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쳐 연구를 실시하였다. 제품의 디자인 스타일을 표현하는데 어떤 배색이 적절한지 검토하기 위해 색채전문가에 의해 28개의 디자인 스타일별로 3가지 타입의 2색 배색이 제작되었다. 타입 A는 디자인 스타일에 대응되는 색을 주조색으로 한 배색이고 타입 B는 무채색이 주조색인 배색이며 타입 C는 주조색, 보조색 모두 제한 없이 각각의 디자인 스타일의 이미지를 표현한 배색이다. 제작된 배색들이 각 디자인 스타일의 이미지에 적합한지 확인하기 위해 적합성 평가를 실시하여 배색에 대한 평가의 경향과 판단기준을 중심으로 검토해 보았다. 첫째, 28개 디자인 스타일별 3가지 타입에서 추출된 모든 배색은 적합성 평가치의 평균으로 판단한 결과 전체적으로 평가치의 중성점(中性点)보다 높았으므로 각 디자인 스타일을 적합하게 표현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둘째, 적합성 평가에서 각 타입의 배색을 어느 정도 식별했느냐를 평가치의 표준편차를 기준으로 판단했을 때 각 디자인 스타일을 가장 적합하게 표현한 것은 타입 C라고 판단되었다. 셋째, 감성 배색에 대한 적합성 평가 시의 참가자의 판단기준을 중심으로 검토해 본 결과 각 디자인 스타일별 배색에 대한 식별성과 판단의 일의성(一意性)과는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식별성이 상대적으로 낮았던 타입 A는 판단의 일의성도 낮아 평가 시 복잡한 판단기준이 원인으로 작용했다는 점이 시사되었다. 디자인 스타일별로 추출된 2색 배색은 전체적으로 디자인 스타일의 이미지를 양호하게 표현하였다. 그 중에서 특히 타입 C의 주조색, 보조색 모두 특정 색의 지정 없이 제작된 배색이 가장 안정된 평가 경향을 보였으며 디자인 스타일의 이미지를 적절히 표현한 배색으로 판단되었다. In determining the design value of products, color combinations play a pivotal role in creating first impression, and can effectively reveal the sensibility aspect of product design. Sensibility words from previous studies that have been selected for product design were classified based on design style so that they can be directly applied for actual product design. This study aimed to extract sensibility color combinations demanded in product design through the following procedures. To investigate what type of color combination would effectively convey the design style of a product, 3 types of two-color combinations for 28 respective design styles were generated by color specialists. Type A is a color combination with a dominant color corresponding to a design style. Type B contains an achromatic dominant color, and Type C is an expression of one’s own style without constraints on dominant or control colors. A suitability evaluation was conducted on the color combinations to examine whether the images were appropriate for the design style. We analyzed evaluation tendencies and judgment criteria for color combinations. Firstly, it was identified that all the color combinations were properly representing each design style as suitability evaluation values of the sensibility color combinations were higher than the overall mean. Secondly, when the discrimination level in the suitability evaluation was determined using standard deviation of the evaluation values, Type C was identified as the most stable representation of design styles. Thirdly, analysis on participants’ judgment criteria in the suitability evaluation revealed a correlation between discrimination levels for color combinations in each style and unique judgments. In addition, Type A with relatively low discrimination level also showed fewer unique judgments suggesting the possible contribution of complicated judgment criteria. Two-color combinations extracted based on design styles were effective in expressing the overall design style image. Especially, Type C color combinations with no constraints on dominant or control colors exhibited the most stable evaluation tendencies, and can be identified as the most appropriate representation of a design style image.

      • 연상이미지로서 '여성'에 대한 연구

        김수정 디자인 여성학회 2007 디자인여성학연구 Vol.3 No.1

        디자인시장에서 여성의 영향력은 유례가 없을 정도로 강력해졌다. 특히 여성소비자의 기호나 정서를 반영한 디자인을 만들지 못하면 기업이 도태되는 위압감을 느낄 정도로 영향력은 변화되었다. 오늘의 산업사회에서 여성은 주요 키워드로 이다. 다양한 개성이 공존하는 포스트모던 사회에서도 여성 개개인의 차이를 가로지르며 관통하는 여성적 특성이 현실에는 분명히 존재한다. 여성들 사이에 공존하는 여성성에 대한 탐구는 다양한 연구를 탄생시켰다. 여성성(feminism)을 학술적으로 접근한 페미니즘 연구는 여성과 여성성(feminity)에 대한 해석이다,본 논문에서는 생물학적 발생론의 여성성, 문화 습득론의 여성성, 재현적 구성론의 여성성(feminity)이라는 통시적 흐름을 통해 여성성을 살펴보았다. 문화는 사회 구성원들의 가치와 신념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문화는 여성성 형성에 강력한 영향을 미친다. 페미니즘의 연구결과들은 여성성(feminity)이 생물학적 발생론보다는 사회의 학습과정이나 문화적 재현과정을 통해 많은 부분이 형성됨을 보여주고 있다. 문화적 생산자로서 디자이너는 여성성의 사회화 과정이나 문화적 재현과정에 직접 참여한다. 그러므로 디자이너의 여성성에 대한 개념은 사람들에게 영향력을 미친다 대량생산을 통해 유통되는 디자인에 담긴 여성성은 일상생활 깊숙이 파고든다 그러므로 디자이너가 되기 위해 준비하는 여대생들의 여성성 분석은 유의미한 연구이다. 향후 디자이너가 될 20대 여대생을 대상으로 실험을 통해 조사를 실시하였다. 여성성을 표현하는 대표적 언어이미지 분석을 통해 20대가 생각하는 여성성은 진 취적 여성의 개념을 포하고 있으나 고전적 여성성의 이미지가 유지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여성성을 구성하는 대표적 이미지는 차분, 예쁨, 섬세, 연약, 부드러움, 순종이 도출되었다 차분, 섬세, 부드러움, 순종은 여성의 내면적 이미지를 나타내는 개념이며 예쁨과 연약은 외형적 이미지를 나타내는 개념으로 구분할 수 있다. 도출된 이미지를 조합하면 전형적인 여성상을 나타낸다. 여성의 개념을 여성 스스로 대부분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으며, 특히 외모의 평가에서 '여성적이다'는 긍정적인 의미로 소통되고 있다. 여성적 성격을 나타내는 여러 개념 중 순종은 오늘의 여성상에 부적합한 것으로 인식된다. Women's influence in design market became tremendously powerful, In today's industry woman is a main keyword. Also in our society where various characters coexist, feminine features distinctively exist and across penetrating individual woman's difference. Through theory flow d biological evolution , culture aspiring, reappearing formation among feminism theory which scientifically approaches women's character, I studied the theory research Features judged as feminism in one society are reproduced by culture. Women student's analysis of feminism preparing to be designer as producer of culture has its meaning Through experimental survey on women students majoring design in their 20s, I analyzed feminine image. Generally, women students in their 20s have progressive ideology of women, but it showed that the image of typical feminine image were the most ca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