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산후 응급 자궁적출술의 임상적 고찰

        김송이 ( Song E Kim ),홍서유 ( Seo Yoo Hong ),김주오 ( Joo Oh Kim ),신정환 ( Jung Whan Shin ),김대운 ( Dae Woon Kim ),신영진 ( Young Jin Shin ) 대한주산의학회 2002 Perinatology Vol.13 No.1

        목적:을지 의과대학 산부인과 교실에서 시행된 산후 응급 자궁적출술의 증례들을 관찰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방법:1996년 5월부터 2000년 12월까지 산후 자궁적출술을 시행받은 37례를 대상으로 빈도, 연령별 및 분만횟수별 분포, 적응증, 위험인자, 수술방법, 수혈량, 합병증 그리고 태아의 예후를 후향적 연구로 분석하였다. 결과:산후 자궁적출술의 총 빈도는 1,000분만당 2.3례였고 분만방법에 따른 빈도는 질식분만후 0.03%, 제왕절개술 분만후 0.52%로 제왕절개 분만후 산후 자궁적출술의 빈도가 더 높았다. 또한 연령이 증가할수록 그리고 분만횟수가 많을수록 산후 자궁적출술의 빈도는 높았다. 수술의 적응증은 전치태반과 유착태반을 포함한 태반요인(54.1%), 자궁무력증(37.8%), 자궁근종(5.4%), 자궁파열(2.7%)의 순서로 나타났다. 위험인자에 대한 산후 자궁적출술의 비교 위험도는 태반요인에 대해 97.6(95% 신뢰구간 52.17~184.06), 제왕절개술에 대해 16.3(95% 신뢰구간 4.94~52.31), 그리고 기왕제왕절개술에 대해 2.4(95% 신뢰구간 1.21~4.76)로 태반 요인이 높은 비교위험도를 나타내었으며 95% 신뢰구간에서 볼 때 의의가 있었다. 수술방법은 대부분 전자궁적출술(92%)로 이루어졌고 평균 수혈량은 17.1pints 였다. 합병증은 전체의 43.2%로 나타났는데 주로 폐부종, 무기폐, 기흉등의 호흡기계 합병증, 범발성 혈관내 응고장애, 감염 및 비뇨기계 합병증이었으며 산모사망의 예는 없었다. 태아사망은 2례(5.3%)에서 있었고 신생아 이환율은 26.3%로 10례에서 발견되었다. 결론:산후 자궁적출술의 주된 원인은 전치태반 또는 유착태반 등의 태반요인이다. 산후 자궁적출술은 산모의 생명이 위협을 받는 상황 아래서 시행될 수 있는 최선의 방법이나 산모의 이환율이 높으므로 산전관 리부터 위험요인에 대한 세심한 관리와 처치가 필요하다. Objective:To analyze incidence, indications, risk factors, complications, and neonatal outcomes of emergency postpartum hysterectomies performed at EulJi University Medical Center. Methods:A retrospective study of all cases of postpartum hysterectomies between May. 1996 and Dec. 2000. was carried out. Results:37 cases of postpartum hysterectomies during this period were performed, for overall incidence of 2.3 per 1000 deliveries. Incidence after vaginal delivery and cesarean section was 0.03% and 0.52% respectively. The rate of postpartum hysterectomy increased with increasing age and parity. The main indications were placental disorders(54.1%) including placenta previa and adherent placenta, uterine atony(37.8%), uterine myoma(5.4%) and uterine rupture(2.7%) in order. The relative risk of postpartum hysterectomy according to the risk factors was 97.6(95% confidence interval 52.17-184.06) for placental disorders, 16.3(95% confidence interval 4.94-52.31) for cesarean section and 2.4(95% confidence interval 1.21-4.76) for previous cesarean section. The mean amount of transfusion was 17.1 pints. Although no maternal mortality had occurred, 16 patients(43.2%) had complicaions including respiratory complication(13.5%), hemorrhagic complication(10.8%), infection(8.1%) and urologic injury(8.1%). Regarding fetal outcome, 2 of 38 infants(1 case, twin) were stillborn (5.3%) and 10 infants(26.3%) were suffered from various illness including prematurity, sepsis, meningitis, and brain hemorrhage. Conclusion:The data identifies placental disorders are the leading cause of postpartum hysterectomy. Although postpartum hysterectomy is a necessary life-saving operation, maternal morbidity remained high.

      • KCI등재후보

        폴리아크릴아마이드를 함유한 에멀젼의 유변학적 거동

        조완구(Wan Goo Cho),김송이(Song E Kim) 한국유화학회 2009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Vol.27 No.2

        We have investigated the rheological behaviours of emulsions containing polymers. The polymers used in this study were polyacrylamide and carboxy vinyl polymer. The emulsion with polyacrylamide shows better prior preference than that with carboxy vinyl polymer on the skin texture. In the toxicity test, such as, LLNA cell toxicity, skin organ culture and human patch test, polyacrylamide was the appropriate materials for the cosmetics. The viscosity of polyacrylamide shows maximum value in neutral pH and good stability against temperature. The decreasing effect of viscosity against salt was not good enough but showed a better result than that of carboxy vinyl polymer. Two times the amount of polyacrylamide should be used for the formation of a similar viscosity of carboxy vinyl polymer. Yield value of polyacrylamide was low and the effect for the stabilizing emulsions was also low.

      • KCI등재

        유화제로서 실리카를 이용한 유중수형 에멀젼의 안정성에 미치는 수상부 조성의 영향

        김진황 ( Jin-hwang Kim ),김송이 ( Song-e Kim ),경기열 ( Kee-yeol Kyong ),이은주 ( Eun-joo Lee ),윤명석 ( Moung-seok Yoon ) 대한화장품학회 2004 대한화장품학회지 Vol.30 No.3

        실리카 입자의 표면이 실란올(silanol, SiOH)그룹과 트리메틸실록실(trimethylsiloxyl, -OSi(CH<sub>3</sub>)<sub>3</sub>)그룹으로 이루어진 양친 매성 고체입자를 이용하여 유중수형(water-in-oil, W/O)의 에멀젼을 제조하는데 있어서, 안정한 에멀젼을 제조하기 위해서 수상에서의 pH, 전해질 화합물, 고분자의 영향을 연구하였다. 에멀젼의 안정성은 실리카의 응집(flocculation)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향상시킬 수 있었으며 수상의 pH 조절 및 전해질 화합물 첨가를 통해 에멀젼의 안정성을 증진시킬 수 있었다. 70%의 내상을 가지는 W/O 에멀젼을 제조하였을 때, 실리카 입자의 함량이 1%까지 증가함에 따라 에멀젼 입자의 크기는 감소하였으나, 너무 높은 농도의 실리카는 오히려 유상의 점도를 상승시켜 작은 유화입자의 형성을 방해하였다. 제조된 에멀젼의 입자 크기를 이용하여 이론적으로 계산해 볼 때, 많은 양의 실리카 입자가 외상인 유상에 존재함을 알 수 있으며, 에멀젼의 안정성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실리카 입자를 계면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보다 중요함을 알 수 있다. 내상인 수상부에 전해질 화합물을 첨가하지 않은 상태에서 내상의 pH가 증가할수록 실리카 입자의 (-)전하가 증가하여 입자간 응집 촉진에 의해 에멀젼의 안정성이 증가하였다. 산성 및 중성 pH에서 전해질 화합물(0.083 mol dm<sup>-3</sup> MgSO<sub>4</sub>)의 첨가는 에멀전의 안정성을 증가시킨 반면, 알칼리성 pH에서 전해질 화합물의 첨가는 에멀젼의 안정성을 저하시켰다. 레오미터를 이용하여 에멀젼의 물성 변화를 관찰한 결과, 전해질 화합물 첨가시 내상인 수상의 pH에 관계없이 산성 및 알칼리성에서 모두 에멀젼의 탄성이 급격히 증가하였다. 이는 수상의 pH가 알칼리성인 경우 더욱 현저하였음을 볼 때, 알칼리에 의해 더욱 음전하를 띄게 된 실리카 입자와 전해질 화합물의 양이온간의 전기적 결합에 의한 것으로 사료된다. 수용성 고분자인 잔탄검의 첨가에 의해 에멀젼 입자의 평균 입자 크기가 약 2.8 μm인 안정한 에멀전을 제조할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를 통하여 계면활성제를 함유하지 않는 고내상의 안정한 W/O 에멀젼을 제조하여 보다 피부에 안전한 유화물의 제조가 가능하였다. The extent of silica flocculation can be modified by varying the silica concentration, aqueous phase pH, salt and polvmer concentration. High volume fraction W/O emulsion stabilized by hydrophobic silica was established with various aqueous phase conditions for cosmetic application. By increasing the silica concentration up to 1.0 wt%, the size of droplet decreased. A high silica concentration increased the viscosity of continuous oil phase by network formation, which resulted in target size of droplet. The stability of W/O emulsion is improved as increasing the aqueous phase pH. At low and intermediate pH, the emulsions became more stable by adding salt (0.083 mol dm<sup>-3</sup> MgSO<sub>4</sub>). At high PH, the presence of salt caused significant destabilization. The gelation behavior of the emulsion indicates that the effect of salt on silica-stabilized emulsion is derived from an electrostatic attraction. The addition of xanthan gum in aqueous phase increased the mono-dispersity of the W/O emulsion by making water more hydrophobic and hindering the recombination of droplets. In conclus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very stable emulsifier-free, finely dispersed W/O emulsion can be achieved for cosmetic application by changing the aqueous phase composition.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