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스마트폰의 사용자 경험 기반 인터페이스 트렌드 연구

        김선철(Kim, Sunchul) 한국디자인지식학회 2013 디자인지식저널 Vol.26 No.-

        최근 사용자의 경험을 기반 한 스마트 기기들의 인터페이스 트렌드 연구는 기업의 경쟁력으로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정보탐색을 통한 관련 분야 트렌드 발생 시기, 변화를 이해하는 것은 시장의 거시적 트렌드를 예측하는 중요한 기준으로 평가된다. 또한 글로벌 이슈 및 정보 탐색은 사용자와 시대적 요구사항을 이해하는데 매우 중요하다. 연구의 과정은 첫째, 학술자료, 기술연구, 정책 문헌 정보검색 조사를 실시하였다. 둘째, 이를 통하여 UX/UI 분야의 정부 지원 정책과 학교 및 기업 연구자들의 기술개발 이슈를 조사하였다. 셋째, 조사된 자료를 근거로 핵심 키워드 추출하였고, 구글 트렌드 서비스를 활용하여 2004년부터 2013년 현재까지 관련 연구의 핵심 키워드의 관심도를 URL을 통해 조사 분석하였다. 이후 조사된 정보 결과를 가시화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향후 디자인분야의 UX/UI 기술개발의 근거와 시대적 추이 및 요구사항을 이해하고 반영하는데 기준이 될 수 있는 자료로서 활용되기를 희망하며 최종결과를 도출하였다. The research of interface trend based on the user experience has recently emerged as the company"s competitiveness. Also understanding the trend occurring timeline through exploring the data and the changes will be evaluated as an important criterion to predict macroscopic trends of the market. Therefore, looking into contemporary global issues is very important in order to understand the users and the demands of the times. First step of the research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academic resources, study of technology, and policy document. Second, based on that data a research was carried out on government policy supporting the field of UX/UI and the issues investigating schools, and businesses developing technology skills. Third, the core keywords were extracted based on the researched data and by taking advantage of the Google Trends service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level of interests on core keywords of the related studies using URL from 2004 to 2013 as of present. The results of the subsequent investigations were analyzed through visualization. The final results were drawn hoping the data would serve as a standard reflecting the UX/UI development technology of the future in the field of design and also to understand and reflect the needs of the times.

      • 구도심 역사성 보존을 위한 디자인 기초 요소에 대한 연구

        김선철(kim, Sunchul),주연(Kim, Juyeon) 한국디자인지식학회 2012 디자인지식저널 Vol.21 No.-

        서울은 600년 이상의 역사를 지닌 세계적 도시로 성장하였다. 그러나 도심 중심부 즉, 종로 일대에는 역사적 흔적을 거의 찾아볼 수 없고 해마다 찾아오는 관광객의 수요 증가와 함께 볼거리 제공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특히, 피맛골(피마길)이라 불리는 종로2가 YMCA 관광호텔 골목에서 시작하여 종로2가 로터리까지 이어지는 좁은 골목은 최근 재개발로 인해 공사가 많이 진행되고 있으며 이미 여러 단계에 걸쳐 완료된 상황이다. 종로구는 피맛골 보존을 위한 지침을 만들었으나 디자인 요소는 없는 것으로 파악되며 지나치게 포괄적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구도심 역사성 보존을 위한 디자인의 기초 요소를 연구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핵심인 디자인 기초요소를 파악하기 위하여 종로구의 개발계획의 문제점을 파악하였으며, 피맛골 관련 문헌조사, Active Logs 및 현지 방문조사를 통해 자료 수집 및 분석하였다. 디자인의 기초요소를 총 5가지를 선정하여 사례와 긍정적 정책 방향을 제시하였다. Seoul has grown to be a city of longer than 600 years of history. But it is hard to find the historical trace in the center part of the city or Jong-ro area. The interest for supplying spectacles is growing as the number of tourists are growing each year. The renovation of the narrow street called Pimat-Gol which starts from YMCA Hotel for Tourists in 2nd Jong-ro Street and ends at 2nd Jong-ro roundabout has caused a number of construction which are mostly completed through several steps. Jongro-Gu created a set of guideline to preserve Pimat-Gol, However it did not seem to pertain the element of design and it is too inclusive. I tried to study the basic element of design to preserve the old town from such perspective. It troubleshooted the development plan of Jongro-Gu in order to basic element of design which is the core of this study. The data have been collected and analyzed through researching documents related to Pimat-Gol, Active Logs, and visiting the actual place. The positive policy direction has been presented by selecting five basic design factors and applying them on case studies.

      • KCI등재후보

        모바일 디바이스 사용자를 위한 감성적 컨트롤 디자인에 대한 연구 1. : 디지털컨버전스 제품의 사용자 맨탈모델을 중심으로

        김선철(Kim Sunchul),장광집(Chang Kwangchib)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08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8 No.2

        최근의 IT 산업은 MP3 플레이어 디지털카메라 모바일 폰 등과 같이 휴대성이 좋은 제품을 중심으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이러한 페러다임은 디지털컨버전스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었다. 그러나 제조사마다 각기 다른 기능 구성과 스팩은 사용자들을 혼란스럽게 하고 있다. 신제품 출시 때 마다 매번 새롭게 디자인되어지는 인터페이스는 기존 사용자들의 맨탈모델과 크게 다를 수 있다. 또한 사용자들은 항상 신제품들의 기능들을 새롭게 학습해야 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 사용자를 선별하여 사용자 맨탈모델 테스트를 실시 제품의 기능들을 비교 분석하였고 사용자 맨탈모델 테스트 결과와 비교하였다. 이를 통해 기존 사용자들의 맨탈모델과 향후 근 미래 복합제품의 기능 구성을 연구하는데 의의가 있다. Due to the development of IT technology there are rapid changes in MP3 players digital cameras and mobile phones. This leads to a new paradigm the convergence of digital products which draws many users. Yet the user requires adapting new digital convergence products by adjusting their knowledge on the use of the product to function-related new standard. Consequently when average users are comfortable for the use of the product and its functions that they used before most users have to spend time studying and practicing how to operate new and unfamiliar products. Moreover it creates the user unnecessary actions and mistakes. However companies still apply different functions and interface design on new products. In addition more complicated and multi-functional digital convergence products are expected continue to grow extraordinarily rapidly due to the new technology and design in the future. It causes inconvenience to the user and it comes along with the coming into effect of the so-called'functional standard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comparison study is to investigate how the mental-model and metaphor associates with the user behavior on the function of digital products through a card board mock-up test. The results of the study hope to provide guidance for user interface design and development in digital convergence products.

      • 다변수 히스토그램 기법을 이용한 얼굴 영역 추출

        선철(Sunchul Hwang),준영(Joonyoung Kim),우생(Woosaeng Kim) 한국정보과학회 2000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7 No.1B

        디지털 영상 처리에서 사람 얼굴 인식은 여러 응용 분야에 요구되어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본 논문에서는 얼굴이 있는 칼라 영상에서 얼굴 영역을 자동으로 추출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기술한다. 영상에 있는 얼굴 및 복잡한 배경과 다른 구성 성분들을 분류시켜 표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다변수 히스토그램 기법을 이용하여 얼굴 후보 영역과 머리 후보 영역을 추출하고, 머리와 얼굴 후보 영역들간의 상관관계를 고려하여 최종 얼굴 영역을 검출한다. 본 논문에서는 제안된 방법의 성능을 검증하기 위하여 인터넷상에 있는 128개의 영상을 입력 데이터로 실험한 결과, 인식 시간이 빠르고 영상의 배경에도 강건한(robust) 효율적인 방법임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학교 공간 개선 사업을 통한 디자인 과정 유형화에 관한 연구

        주연(Kim Juyeon),김선철(Kim Sunchul)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10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0 No.4

        본 연구는 문화체육관광부에서'공간의 변화가 인간의 변화를 가져 온다'는 취지에 2005년 8월 공간 문화팀을 창설하여 시행한'문화로 행복한 학교 만들기' 사업에서의 학교 공간 디자인과정의 사례와 사업 시행 후의 결과에 대하여 분석하고 각 사례에서 학교의 변화된 공간의 모습과 사용자가 공간 경험 후의 실태들에 따른 연구 결과를 통해 공간계획 후의 특성 및 앞으로 학교의 공공디자인 방향성에 대해 제언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이제까지의 학교의 일방적인 교육 방식 무개성 문화 형성과 집단 운영에 따른 획일적인 공간구성과 외관에 따른 문화가 없는 기능 중심적 학교 공간을 문화적인 공간으로 변모시켜 학생들이 가고 싶은 학교 즐거운 학교 머물고 싶은 학교 만들기를 목표로 시작하였다. 본 연구의 사례분석 결과는 첫째 참여 유도와 지속 가능한 공간을 위해 교육과정은 공간과 연결되어져 있다는 중요한 맥락에서 디자인 교육을 통해 문화와 공간디자인에 대한 이해와 참여가 필요하다. 둘째 공간의 변화가 학생 및 지역 주민이 참여하여 변화시키는 사례로 함께 체험과 학습을 공감할 수 있는 복합 문화공간으로 제안한다. 셋째 공간디자인 관련 전문가의 적극적인 참여의식과 역할이 필요하다. 경험하지 않고서는 이룰 수도 없고 의식 할 수도 없는 공간 문화에 우리의 학교는 낙후된 문화로 방치되고 있다. 전문가들의 지속적인 관심과 참여가 필요하다. 넷째 규모적인 비용투자나 대도시보다는 작은 소규모 학교나 지방의 낙후된 지역의 투자가 대조적으로 더 큰 지역적 파급 효과와 확산을 불러일으킨다. 결론적으로 앞에서 제언한 내용과 우리가 간과하였던 공공디자인의 학교 공간에 대한 앞으로의 사업구상과 너무나 당연히 자리잡고 있었던 문화공간에 대한 인식으로 학교를 재창조해야 할 때이다. This study will analyze the case of school spatial design process and the results after implementation in'making happy school through the culture' project which was led by the Design & Spatial Culture Division Team that has been established on August 2005 by the Korea Ministry of Culture Sports & Tourism with its prerequisite that "the change in spatial design brings the change in human" and propose the characteristics after spatial planning and the future directivity of school's public design based on the study's observation of changed spatial image of the school in each case and actual condition followed by users spatial experience. From analyzing the cases this study suggest the following four points: 1) Understanding and participation on culture and spatial design is needed through the training on design with the important veins that education process is connected with the space for participation induction and space with possibility of continuation. 2) Proposing complex cultural space where both the experience and the learning can be achieved through the case in where the change in space motivated the students and local residents to participate and transform. 3) Participation and function of spatial design experts is needed. Spatial culture cannot be achieved and cannot have awareness without experiencing it and our schools are being neglected with outdated culture. 4) Investment on small school or out-dated area compared with large-scale investment on large cities can expect greater ripple effect and spread. In conclusion it is time to recreate the school by realizing what we proposed earlier in the beginning future project plan of public design in school space that had been overlooked by us and awareness on cultural space that had been in our mind natural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