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어디서 오는 지식이 혁신성과로 연결 되는가

        김봉선(Bongsun Kim),김나미(Nami Kim),김언수(Eonsoo Kim) 한국경영학회 2016 經營學硏究 Vol.45 No.6

        The interest in patents belonging to a patent pool - the coalition formation for a consortium standard – is on the rise. There is lack of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where the knowledge for patents in a patent pool comes from and the innovation performance. Thus, the current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fferent types of knowledge search to create a patent and innovation performance. We analyze 662 patents belonging to rival DVD 3C and 6C patent pools. In particular, we classify the types of knowledge search considering both an organizational boundary and a new network boundary generated by belonging to a patent pool, a form of multipartner alliance. The empirical results show that knowledge search in a same organization and in a same patent pool leads to higher innovation performance. And, knowledge search in a different organization belonging to a different patent pool also leads to higher innovation performance. On the other hand, knowledge search in a different organization and in a same patent pool leads to lower innovation performance. The current study suggests the importance of technology as a new characteristic of knowledge which enables the exploitation of internal knowledge to bring about higher innovation performance. Further, we highlight that knowledge search in a same patent pool characterized by cooperative relationship is negatively related with innovation performance, while knowledge search in different patent pool characterized by competitive relationship is positively related.

      • The Transfer of Corporate Social (Ir)Responsibility Profile through Executive Migration

        BONGSUN KIM(김봉선),JON JUNGBIEN MOON(문정빈),EONSOO KIM(김언수) 한국경영학회 2017 한국경영학회 통합학술발표논문집 Vol.2017 No.08

        Decreasing heterogeneity in firms’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profiles has been primarily attributed to external factors, while internal factors are thought to increase heterogeneity. By integrating the stakeholder and upper echelon theories, we propose that executive migration can be an internal factor that decreases heterogeneity. An empirical analysis, using 119 executive migrations over a 14-year period, suggests that a newly migrated executive’s origin firm’s CSR profile as well as CSiR profile is transferred to the focal firm, narrowing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firms’ CS(i)R profiles.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executive’s migration and the transfer of CSiR profile is found to be stronger when a migrating executive’s managerial ability is higher.

      • KCI등재

        지식 탐색, 흡수능력과 혁신의 속도

        김봉선(Bongsun Kim),김언수(Eonsoo Kim) 한국전략경영학회 2009 전략경영연구 Vol.12 No.1

        환경의 불확실성이 높아질수록 기업의 경쟁력을 위한 성장동력으로서 기술혁신의 중요성은 더욱 강조되고 있다. 기술혁신의 성과를 향상하기 위하여 조직의 지식을 관리하고 조직학습 과정을 이해하는 것은 전략경영에 있어서 중요한 주제로 다루어지고 있다. 그렇다면, 기술혁신을 위한 새로운 지식은 어디서 오는 것인가? 조직의 내부에서 오는가, 아니면 외부에서 오는가? 내부와 외부의 지식을 탐색하고 활용하는 기업은 어떤 조직역량을 보유하고 있어야 하며, 이러한 탐색활동이 기술혁신에는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본 논문에서는 기술혁신과 가장 중요한 연관성을 갖는 조직역량으로 흡수능력을 제시하고, 기술혁신과 흡수능력의 교호적인 관계를 조명함으로써, 기존 연구에서 다루고 있지 않는 인과관계를 제안한다. 즉, 탐색활동이 흡수능력의 향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개념적인 모델을 제시하는데, 흡수능력을 매개변수로 하여 탐색활동이 기술혁신 결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 과정을 대상으로 하는 모델을 구축하였다. 본 연구가 제안하는 개념적인 모델에 의하면 기술혁신을 위한 기업의 탐색 활동 중 내부경계 탐색(internal boundary-spanning)은 흡수능력 유형 중 잠재 흡수능력(potential absorptive capacity)을 향상하게 되고 이것은 연구개발 과정에서 연구(research) 단계의 속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대조적으로, 외부경계 탐색(external boundary-spanning)은 실현 흡수능력(realized absorptive capacity)을 향상시키고 이것은 개발(development) 단계의 속도를 향상시킨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In response to ever increasing environmental uncertainty, technological innovation becomes an important subject of strategic management field. Where does new knowledge for innovation come from? Does it come from inside or outside an organization? What kind of organizational capability is required in order to search for and leverage internal and/or external knowledge? How do different search activities influence the performance of technological innovation? This study suggests a conceptual model establishing the recursive relationship between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absorptive capacity. More specifically, the model investigates the process of the knowledge search behavior getting translated into the technological innovation performance in terms of R&D speed, with absorptive capacity as a mediating variable. We argue that internal boundary-spanning activity promotes the potential absorptive capacity which, in turn, enhances the speed of research stage of an R&D process. External boundary-spanning, on the other hand, accelerates the speed of development stage of an R&D process, through the realized absorptive capacity. Furthermore, we suggest that both types of absorptive capacity co-evolve with the other having a positive influence on the innovation performance.

      • KCI등재

        사베인-옥슬리 법(Sarbanes-Oxley Act)이 기업지배구조와 기업경영에 미치는 파급효과와 학문적, 실무적 시사점

        김봉선(Bongsun Kim),김언수(Eonsoo Kim) 한국전략경영학회 2008 전략경영연구 Vol.11 No.1

        기업 지배구조는 기업의 주요 이해관계자인 주주와 경영자와 그 둘 사이에서 주주의 이익을 대변하기 위해 경영자를 감시하는 이사회의 역학관계를 총체적으로 일컫는 말이다. 2000년대 초반 미국의 엔론사태를 필두로 유럽 각국에서의 회계부정 문제, 한국을 포함한 아시아에서도 지배구조 개선에 대한 논의가 활발히 시작되었다. 회계부정 등 다양한 기업의 문제들이 결국 지배구조의 문제에서 기인한다고 판단하고 기업의 이사회 기능을 보강해 투명성을 높이고 경영진의 과다한 보수를 통제하는 등의 조치가 필요하다는 공감대가 형성되었다. 이러한 지배구조 변화의 한 가운데 가장 큰 파급 효과를 발휘하고 있는 것이 미국의 사베인-옥슬리 법(Sarbanes-Oxley Act)이다. 이 논문의 목적은 시행 2년이 지나고 있는 미국의 사베인-옥슬리 법이 기업지배구조와 기업경영에 미치는 파급효과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률 위하여 이 논문에서는 사베인-옥슬리 법의 제정 배경과 구성 및 핵심조항을 살펴보고, 이 법안이 기업지배구조와 기업경영에 미치는 파급효과를 종합적으로 검토한다. 또한, 시행 전 예상하지 못했던 사베인-옥슬리 법의 효과에 대해서 논하며, 사베인-옥슬리 법이 촉발한 변화에 대응하는 국내외 기업들의 향후과제와 함께 지배구조 관련 학문적 연구방향에 대하여 논의한다. 사베인-옥슬리 법은 기업 정보공개와 내부 통제에 대환 경영자와 경영진의 책임 강화, 이사회와 산하 위원회의 독립성과 책임 강화, 감사인의 감독과 독립성 강화를 골자로 한다. 그러나, 동시에 지배 구조의 강화와 함께 외부자들의 지나친 경영간섭으로 인하여 CEO의 권한과 기업경영 능력이 지나치게 제한되는 측면이 있다는 점, 기업이 이 법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막대한 시간과 비용이 요구된다는 것과 이것이 기업경영에 있어서 비효율성율 촉진시키는 결과를 가져온다는 부정적인 측면도 있다. 마지막으로, 시사적이고 실무적인 측면 외에, 가능한 향후 관련연구 영역으로 사베인-옥슬리 법 자체의 효과에 대한 연구, 사베인-옥슬리 이후의 지배구조와 성과의 관계, 대리인 이론(agency, theory)과 청지기 이론(stewardship theory)의 대립, CEO와 이사회 간의 갈등과 역학관계에서의 CEO 리더십, 그리고 지배구조-전략-성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 등을 제시한다. Corporate governance is about the relationship among three major stakeholders: stockholders as owners, management as the agent of owners, and board of directors as supervisors of management on behalf of the owners. At the beginning of the twenty first century, discussion on the ways to improve corporate governance began in Europe and Asia including Korea, which was triggered by Enron debacle in the U.S. and other corporate scandals in several European countries. It was commonly believed that at the root of various corporate scandals and accounting frauds is weak corporate governance. There was consensus that certain control mechanism was needed to enhance the function of the boards for increasing the transparency and controlling the excessive incentives of management. Among all those changes in corporate governance, Sarbanes-Oxley Act has the strongest impact with its consequences reaching beyond the U.S. This study assesses the consequences of the two-year old Sarbanes-Oxley. We first review the background and the major contents of the law. We also discuss the impact of the law on the corporate governance and operations, along with the unintended negative consequences and reactions of corporations. Finally, directions to cope with the new environment caused by Sarbanes-Oxley are suggested. And, in addition to the discussion of practical implications, we also discuss the possible future research areas and topics related to Sarbanes-Oxley: studies on the effect of the new system itself, relationship between corporate governance and performance after Sarbanes-Oxley, relationship between agency theory and steward¬ship theory, tension between CEO and board, CEO leadership in such a strenuous CEO-board relationship, and finally, triangular relationship among corporate governance, strategy, and performance.

      • KCI등재

        특허기술의 특성과 가치의 관계

        김봉선(Bongsun Kim),김언수(Eonsoo Kim) 한국전략경영학회 2014 전략경영연구 Vol.17 No.3

        특허 등 지적 재산의 확보와 활용은 경쟁우위를 위한 기업의 경영 전략 및 기술혁신 전략과 깊은 관련을 가지고 있다. 기존 연구에서 특허는 ‘가치 확보(value capture)’ 또는 ‘가치 점유(value appropriation)’를 위하여 모방을 방어하는 기제(isolating mechanism)로만 언급되고 있으며, 특허를 통한 재무적인 수익을 극대화 시키는 특허전략에 대한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특허풀을 통하여 실현되는 기술 가치를 극대화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러한 요인들 중 특허기술의 특성에 초점을 맞추어 특허기술의 특성이 특허풀에서의 로열티 증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는 특허기술이 기존기술을 토대로 점진적인 발전을 이룬 경우이거나, 특허기술이 적용되는 시장의 범위가 넓을수록 높은 로열티 성과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과학지식과의 연계와 기술수명주기는 로열티 성과와 유의한 관계를 나타내지 않았다. 본 연구는 학문적인 차원에서 혁신의 초기단계에 있는 특허 특성과 상품화 이후 혁신의 사후적인 가치와의 관계를 실증 분석함으로써 혁신의 가치평가와 관련된 기존 연구의 영역을 확장하고 발전을 도모하였다. 또한, 전략경영 연구에서 특허풀을 조명하고, 특허풀을 통한 가치확보를 극대화 하는 특허전략에 초점을 두어 연구하였다. 실무적 시사점으로는 첫째, 특허 개발 단계에서 선행특허에 대한 탐색과 관련 기술을 발전시키는데 연구자의 관심을 유발하도록 해야 하며, 특허 기술 관리에 있어서 시장의 범위를 파악하고 확장하는데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둘째, 치열한 경쟁 상황 하에서 기업들은 특허 출원에 대한 양적인 접근 보다는 질적인 접근의 중요성을 반영한 특허 전략을 펼쳐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한 한 가지 방안으로 본 연구에서와 같이 특허풀에 대하여 더 많은 관심을 기울일 필요성이 존재 하고 이를 통한 수익 증대 방안에 더 많은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Acquisition and utilization of intellectual properties such as patents are an important element of firm strategy and technology strategy. In extant research, patents are considered mostly as an isolating mechanism which leads to value capture or value appropriation. However, there is lack of research on patent strategies to increase the financial performance of patents. The current study investigates the factors leading to patent value maximization through a patent pool. In particular, we focus on the characteristics of patents and their influence on the royalty income in a patent pool. The empirical results show that higher royalty is related with patents which offer incremental progress from the existing technology and patents with broader scope of application. On the other hand, linkage to scientific knowledge and technology life cycle are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royalty performance. In an academic sense, the current study contributes to expand the current research on measuring the value of innovation by empirically tes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atent characteristics and its commercial value. Further, we highlight the patent pool as an important phenomenon in strategic management and the value maximizing patent strategies. We also suggest several practical implications. Firms should induce the scientists" attention to the search of prior patents, so that they can advance related technologies and expand the market scope. In addition, under fierce competition, firms need to manage patent strategies focusing on qualitative rather than quantitative approach. Patent pools may provide a context where firms can increase the financial performance of patents.

      • ICBM 기술을 활용한 에너지 최적 운영 시스템

        김봉선(Bongsun Kim),유성민(SungMin Rue) 한국정보기술학회 2014 한국정보기술학회지 Vol.12 No.2

        ICBM 기술은 IoT, 클라우드, 빅데이터 그리고 모바일 기술을 하나로 융합한 새로운 패러다임의 기술이다. 네트워크 기술의 발달을 시점으로 하여 모바일 기술발달, 클라우드 기술 그리고 상호간의 통신이 맞아짐에 EK라 비정형화된 데이터의 증가는 빅데이터 기술을 등장하게 하였다. 이 모든 기술은 유기체처럼 상호 유기적이라 할 수 있기 때문에 서로 분리되어 기술을 간주 할 수 없다. ICBM 기술은 제 4의 혁명인 인터넷 패러다임에 중요 기술로서 산업전반에 적용될 수 있다. 에너지, 의료, 교통, 설비, 보안, 기업, 마케팅 등 모든 분야에 ICBM 기술이 적용 될 수 있다. 그중 ICBM 기술을 활용하여 에너지 분야에 적용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그 이유는 인류가 직면한 큰 이슈인 기후변화, 에너지사용량 증가 그리고 자원고갈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여 주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고에서는 인류에게 가장 위협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ICBM 기술을 적용하여 어떻게 에너지 분야에 적용한 에너지최적운영시스템을 소개하고자 한다. 에너지최적운영시스템은 IoT, 클라우드, 빅데이터 그리고 모바일 기술 모두가 결합된 기술로서 ICBM의 대표적 사례라 할 수 있다. 이미 세계 곳곳에서 ICBM을 활용한 에너지최적운영연구가 진행 중에 있으며 실질적으로 운영되어 적용되고 있다.

      • KCI등재

        특허풀 관여도와 글로벌 시장에 대한 주의도가 기술성과에 미치는 영향

        김봉선(Bongsun Kim),김나미(Nami Kim),김언수(Eonsoo Kim) 한국전략경영학회 2015 전략경영연구 Vol.18 No.3

        기술표준화를 위한 전략적 제휴의 형태인 표준화 컨소시엄(consortium standard) 형성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는 가운데 이러한 표준화 컨소시엄의 독특한 형태로 특허풀(patent pool)이 있다. 기업들이 공동의 목표를 위해 협력할 때, 추후 창출되는 공동의 이익과 개별 이익이 일치하지 않으며 이러한 차이는 기업의 관여 정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주의기반 관점(attention-based view)을 바탕으로 특허풀 결성 및 운영에 대한 기업의 관여도와 글로벌 시장에 대한 주의도가 표준특허의 기술적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연구한다. 이를 위해 DVD 특허풀에 속한 680개의 표준특허들을 분석하였다. 이와 더불어 글로벌 시장에 대한 주의도와 특허풀에 대한 관여도가 어떤 상호작용을 통해 기술적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지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 분석 결과, 특허풀결성 및 운영에 대한 기업의 관여도가 높을수록 그리고 글로벌 시장에 대한 주의도가 높을수록 기술적 성과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글로벌 시장에 대한 주의도가 높은 경우, 특허풀 결성 및 운영에 대한 기업의 관여도가 기술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이 약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제휴에 있어 관여도의 효과는 기업의 특허전략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Strategic alliance is one of the avenues for standard-setting strategies. The interest in the coalition formation for a consortium standard is on the rise. Patent pool is a special type of these standardsetting consortia. Even when firms cooperate for a common goal, the participants" common benefit and private benefit do not always coincide. And, such discrepancy can vary depending upon the involvement of individual firms. The current paper investigates the impact of firms" involvement in the formation and operation of a patent pool as well as the attention to global market on the innovation performance of patents. We analyze 680 patents belonging to DVD 3C and 6C patent pools. We also test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the involvement and the market scope on the performance. The empirical results show that higher level of involvement and the attention to global market lead to higher innovative performance. We also find that the higher attention to global market of a patent mitigates the impact of involvement on the performanc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positive influence of higher involvement in a patent pool can be offset by the costs incurred to increase the attention to global market of a patent.

      • BYOD 확산으로 인한 저작권 유출방지 기술동향 소개

        박유경,김봉선(Bongsun Kim),유성민(SungMin Rue) 한국정보기술학회 2015 한국정보기술학회지 Vol.13 No.1

        스마트기기의 발전으로 PC에서만 가능한 업무처리를 스마트폰으로도 가능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기업에서는 개인의 스마트기기를 회사에 가져와서 업무를 처리할 수 있는 BYOD (Bring Own Your Device)문화가 확산되고 있다. 참고로 모바일로 업무를 처리하는 문화를 또다른 용어로 ‘모바일오피스’라 한다. 모바일오피스 (혹은 BYOD) 문화 확산으로 기업에서 뿐만 아니라 언제 어디서든지 업무처리가 가능하게 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편리성은 기업의 임직원들에게 편리함은 물론 업무의 생산성을 올려줄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기업의 공용 단말기가 아닌 개인단말기로 업무를 처리하기 때문에 ‘보안’ 이슈가 생기게 되었다. 그래서 모바일오피스의 보안문제를 해결하고자 모바일오피스 기술들이 개발되도 적용되어 운용 중에 있다.

      • KCI등재

        아이디스(IDIS)

        안혜성(He Soung Ahn),김봉선(Bongsun Kim),김희천(Hicheon Kim) 한국경영학회 2016 Korea Business Review Vol.20 No.1

        1997년에 창업된 아이디스는 범죄예방 및 감시 목적으로 설치된 보안용 영상감시 시스템에서 촬영되는 영상을 저장하는 Digital Video Recorder(DVR) 전문회사로 세계시장에서 명실상부한 ‘히든 챔피언’으로 인정받고 있는 국내의 강소기업이다. 본 사례는 영상저장장치 시장이 아날로그에서 디지털로 기술이 개편되는 시기에 아이디스가 DVR 시장에 성공적으로 진출하여 성장하는 과정을 제품개발과 시장개척 전략으로 나누어 살펴봄으로써, 신규 벤처기업이 기존에 존재하던 산업에서 특화된 경쟁력을 기반으로 이뤄낸 성공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더 나아가 최근 들어 일어나고 있는 Internet Protocol(IP) 기반으로 기술변화에 직면한 아이디스가 통합보안솔루션 전문업체로 도약하기 위해 취하는 전략적 변화를 소개하며 벤처기업이 성장하면서 직면하는 과제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Founded in 1997, IDIS specializes in the Digital Video Recorder (DVR) which is a device for storing recordings that CCTV cameras capture for surveillance purposes. Since its inception, IDIS has grown to become the world’s leading developer of DVRs and earning the reputation of a‘hidden champion.’ This case examines how IDIS successfully entered and competed in the DVR market when a window of opportunity opened as the recording technology evolved from analog to digital. Based on a detailed analysis of the product development and market penetration strategies of IDIS, implications for how a startup firm can compete effectively in an existing industry are drawn. Furthermore, as the video surveillance industry is recently facing another wave of technological change based on Internet Protocol(IP), the strategic responses of IDIS to transform itself into a total security solution provider are described. The implications for the set of challenges that startups face as they push for growth to new heights are discussed.

      • KCI등재

        민군겸용 기술개발이 방산기업의 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

        장용진(Yongjin Jang),김봉선(Bongsun Kim),김언수(Eonsoo Kim) 대한경영학회 2021 大韓經營學會誌 Vol.34 No.10

        민군겸용 기술은 방위산업과 일반산업 모두에서 활용될 수 있는 기술이다. 최근 방산시장에서 민군겸용 기술의 역할이 중요해지고 있으나, 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실증연구는 찾아보기 힘들다. 민군겸용 기술개발은 기업의 지식의 폭을 넓힐 수 있으므로, 혁신성과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2014년에서 2018년 간 군사 관련 기술을 개발한 184개의 한국 방산기업을 대상으로 민군겸용 기술이 기업의 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민군겸용 기술은 혁신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같은 지역에 방산기업이 많이 위치한 경우 다른 산업의 지식을 내면화하는 것을 방해하므로 민군겸용 기술개발이 미치는 영향이 약화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아울러, 군사기술 네트워크 중심성이 강할수록 방산기업의 영향성이 커져 민군겸용 기술이 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이 약화된다. 따라서, 방산기업에 있어서 혁신성과가 중요한 역할을 하는 만큼, 이번 연구 결과는 방산기업의 민군겸용 기술개발에 관심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국내 방위산업에 부흥에도 도움일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방산기업이 밀집한 곳에 위치하거나 군사기술 네트워크에서 영향력인 강한 기업은 지식이 군사기술로 편향될 수 있다. 민군겸용 기술의 핵심은 지식의 폭을 넓히는 것에 있으므로, 군사기술로 지식이 편향되는 것은 긍정적인 영향을 감소시킨다. 본 연구의 결과는 민군겸용 기술개발이 방산기업의 혁신성과에 주는 긍정적인 영향을 실증분석을 통하여 확인하였다는 점에 의미가 있다. 아울러, 군사기술 네트워크와 방산기업 밀집도가 민군겸용 기술개발이 주는 영향을 약화시킨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민군겸용 기술이 미치는 영향을 높이기 위해서는 방산기업과의 관계를 강화시키기 보다는 다양한 분야의 기업들과 관계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말할 수 있다. 4차 산업혁명기술이 방위산업에서 활용도가 증가하는 만큼, 민군겸용 기술의 중요성은 증가할 전망이다. 본 연구를 통하여 방산기업이 민군겸용 기술개발에 관심을 더 두기를 기대한다. 그동안 정부가 민군겸용 기술에 대한 정책을 펴오고 있지만 이에 대한 평가는 부정적이다. 네트워크와 위치한 지역에 산업구성을 고려한다면 보다 좋은 결과를 맺을 수 있을 것이다. Dual-use technology is defined as a technology that can be used in both defense and civil industries. Recently, the role of dual-use technology in the defense industry has become especially important. It is still difficult, however, to find studies examining how this technology affects innovation performance. Dual-use technology development can expand the scope of knowledge of company, so it have a positive effect on innovation performance. Therefore, this study focuses on the effects of dual-use technology on innovation performance.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dual-use technology on innovation performance of firms focused on 184 Korean companies in defense industry. In light of this, the study’s results indicate that dual-use technology can have a positive effect on innovation performance. The regional density of defense firms and the network centrality weaken the positive effects of dual-use technology. Because innovation performance plays an important role in defense compan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increase interest in the development of dual-use technology for defense companies and revive the domestic defense industry. Knowledge of a company can be biased toward military technology if a company is located in places where defense companies are concentrated or influential in military technology networks. The knowledge bias hinders the understanding of technologies among other industries, weakening the positive impact of dual-use technology development. Through empirical analysis, this study confirmed the positive effect of dual-use technology development on the innovation performance of defense companies. In addition, the military technology network and the density of defense companies weaken the impact of dual-use technology development. To increase the effects of dual-use technology, then, we can say that relationships with companies in various fields play a more important role than strengthening relations with defense companies. As the use of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y increases in the defense industry, the importance of dual-use technology is likely to increase. Through this study, we expect that defense companies will pay more attention to the development of civil and military technologies. Although the government has been implementing policies on dual-use technology, the overall evaluation is that this is insufficient. Consideration of the industrial composition of the network and the region in which it is located will yield better resul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