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논문 : 패턴분류를 통한 산지사면의 위험도 평가 기법

        김민섭 ( Min Seub Kim ),김진영 ( Jin Young Kim ) 대한지질공학회 2015 지질공학 Vol.25 No.2

        우리나라의 화강풍화토 지반의 사면붕괴 형태는 대부분 절토사면에서 발생하는 경우가 많고 풍화작용의 영향을 받는 표층 부 지반 안정성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표층부에서 채취한 시료를 이용하여 기본 물성시험 및 점착력과 내부마찰각 시험을 수행하였고, 현장조사 결과를 토대로 자연사면의 안정성 검토를 수행여 형태별 패턴(쐐기형, 무한사면형, 유한사면형)을 분류 하였다. 또한 분류된 패턴별로 수치해석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토대로 최소안전율과 사면경사각의 관계를 개괄적인 안정도 추정에 기초 자료로서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산정된 강도정수들은 몇 개의 특정사면의 경우에 대한 것으로서 모든 사면의 안정해석에 그대로 적용 가능한 것은 아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모든 경사면과 강도정수에 대해서 실험을 실시하는 것은 어려울 뿐만 아니라 비용면에서도 불가능한 실정이다. 따라서 사면안정에 영향을 미치는 단위중량, 점착력, 내부마찰각의 변화와 사면 경사각의 변화에 따른 위험도 평가를 정립하기 위해서는 수치모델링과 같은 방법을 사용하여 현장조건의 다양한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패턴별 위험도 평가기준이 작성된다면 대단히 유용할 것이다. 따라서 대표적인 사면형태(TYPE-I~IV)와 사면경사각에 강도정수를 적용하여 최소 안전율을 제시한다면 자연사면의 간이 안정해석이 가능 할 것으로 사료된다. Our country`s leading granite weathered soil of the ground slope failures that occur in cutting slope most cases, it does not require in-depth to the shear strength most of the surface layer is affected by weathering (1~2 m) at a shallow depth close to the ground, it is important to identify the reliability. Based on the result obtained in actual field investigation, the field slope type was classified by each type of wedge slope, Infinite slope, finite slope -I and finite slope -II, and the slope stability was examined respectively. In addition, using the numerical analysis result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lope inclination angle and safety factor was analyzed and it tried to offer basic data to which the stability in the field slope was able to be estimated by analyzing the safety factor change of the slope according to the slope type. In this study, classified into four types of natural slope, safety factor estimation method by slope types is proposed through the numerical analysis. However, some limit exists in generalizing in this research because it does not test various case studies. Therefore, the case study of a wide range of various sypes to assess the safety of various types slope can be made, accommodate a wide range of field conditions reasonable risk evaluation criteria may be derived.

      • KCI등재

        대형 공진주시험기의 개발 및 검증

        김남룡(Kim, Nam-Ryong),하익수(Ha, Ik-Soo),신동훈(Shin, Dong-Hoon),김민섭(Kim, Min-Seub) 대한토목학회 2012 대한토목학회논문집 C Vol.32 No.6

        본 연구에서는 대형 지반구조물의 축조재료로 이용되는 대입경 조립재료의 동적 변형특성을 평가하기 위한 목적으로 국내 최대 규모의 대형 공진주시험시스템을 구축하였으며 그 성능 및 적용성을 검증하였다. 신규 시험기는 하단 고정, 상부 자유단에 코일-자석 시스템에 의한 가진 하중을 제어하는 전형적인 Stokoe 식 공진주시험 장치이며, 지름 200 ㎜, 높이 400 ㎜의 원주형 공시체에 대한 시험이 가능다. 시험기의 구동 및 계측 시스템은 굵은 자갈 이상의 조립재료에 대한 활용에 적합하도록 출력 및 정밀도를 확보하였으며, 고정밀의 제어 계측이 기능한 자동화 시스템으로 구성되었다. 공진주시험기의 동적응답특성 및 사용성을 검증하기 위한 방안으로 금속시편과 다수의 폴리우레탄 검증 시편을 이용하여 시험을 수행하였으며 타 시험기 또는 시험기법과의 비교를 통하여 정밀도를 평가하였다. 대형 시험기의 지반재료의 동적 변형특성 평가에 대한 신뢰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동일한 사질토 시료에 대한 시험을 일반 공진주시험과 병행한 결과 공시체의 크기에 따른 효과가 일부 나타나지만 전반적으로 동일한 결괴를 획득하였다. 최종적으로 댐 축조용 사력재료 시료에 대한 대형 공진주시험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의 실효성을 확인하였다. In this study, a resonant column testing system which is the largest in Korea has been developed to evaluate the dynamic deformation characteristics of coarse granular geomaterials, and the performance and the applicability of the testing system have been verified. The system has been developed as a typical Stokoe type device whose boundary conditions are fixed bottom and free top with additional mass, and can adopt a large specimen with 200 ㎜ in diameter and 400 ㎜ in height. The driving and measurement instruments are configured as high performance and precision systems, hence the automated testing system is appropriate to drive enough stress and to measure the behavior precisely for the test in practical manner. The dynamic response of the mechanical components and the applicability of the system have been evaluated using metal specimens as well as polyurethane specimens, and its precision was verified by comparing its results with those from other equipment and/or methods. To confirm the applicability of the large system for coarse geomaterials, the resonant column test results from both large and normal scale apparatus for the same material were compared and it was found that the result can be partially affected by scale. Finally, the dynamic deformation characteristics of coarse geomaterial which is used for construction of large dam was evaluated using the large system and its practicality could be confirmed.

      • 입자크기가 공진주시험결과에 미치는 영향 검토

        신동훈 ( Shin Dong Hoon ),하익수 ( Ha Ik Soo ),김민섭 ( Kim Min Seub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10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14 No.1

        For development of large scale resonant column apparatus to obtain dynamic properties of coarse geomaterials, three types of specimen with different maximum grain sizes such as 2.0, 4.75 and 9.5mm were tested using conventional resonant column device incorporating a specimen of 50mm in diameter, so that performance and reliability of the new resonant can be secured. The results of resonant column test reveal that the specimen less than one-tenth of grain size-diameter ratio has sufficient reliability in determining shear modulus, but one higher than that ratio does not so.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