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開發地域의 學校設立 問題點과 學校施設 確保 方案

        김민배(Min Bae Kim) 한국토지공법학회 2007 土地公法硏究 Vol.37 No.2

        In compliance with a large scale housing site development and a city development, the necessity and demand of school founding are increasing. But the land which is necessary to school founding does not buy. It is because the educational finance which is necessary to the school land and a facility is insufficient. Recently National Assembly, the government, Office of Education, with the problem of school establishment it comprehends the core awaking. In limit of region educational finance about lower school founding which is necessary cannot become accomplished in proper time and impossibly, it became. The result it is because shows the sign which will raise its head with the social problem which is serious. Solves a problem the alternative for has two. The my method is the plan which opens a court a relation law. Different my method leads and agreement and regulations it is a plan which secures a school facility. In order for the development business owner to donate a school facility, description below hazard must use the incentive system which stands. The case school facility site expense charge problem solving which includes the school in category of public facilities and establishment of the school building see come to be easy. The problem of school establishment seriously, becoming in compliance with a Constitutional Court decision the school land charge expense receives an unconstitutionality judgement, from all. It is not competent the finance which is necessary to the school establishment which it follows in that after urban development enterprising back. The case where the development business owner donates a school facility, there is a necessity which will investigate the reflection degree of breach of the constitution possibility and residential sale in lots price. And is what kind of problem to actuality and school founding of educational finance. Is the free scope of compulsory education at constitution which degree. It will be able to include a school facility in public facilities. It investigated like this point. When considering the present condition of educational finance and school facility, that the next plan is necessity, it got off a conclusion from this dissertation. 1) artificial flower of school facility and public facilities 2) principled application of cause sleeping charge and receiver charge 3) sale in lots application of rise prevention and incentive system 4) housing site development and school facility free base plan 5) the school facility security plan in compliance with a regulations and an agreement. Actually like this plans security of school facility hazard necessity are demonstrated a point.

      • KCI등재

        오리건 주의 토지이용규제와 입법투쟁

        김민배(Kim Min Bae) 한국토지공법학회 2017 土地公法硏究 Vol.79 No.-

        Generally, the law allows owners of property to demand compensation from state and local government for statutes and rules that restrict a person’s use of real property and reduce its value. But Oregon’s land use system failed to provide citizens with an adequate level of protection from regulatory takings. The legislature and the courts went too far in developing Oregon’s land use system without providing adequate remedies for aggrieved landowners. In 2004, most Oregonians had agreed that land use restrictions were a violation of property rights. Oregon voters passed ballot initiative Measure 37. Measure 37 provided that when land use regulations enacted after purchase of the land reduced its value, the government had to either compensate the owner or waive enforcement. In fact, it fundamentally reworked governmental compensation requirements. While permanent involuntary invasions of land almost always require compensation under the Fifth Amendment’s Takings Clause, courts have rarely found the same for regulatory restrictions. It was not until 1922, in Pennsylvania Coal Co. v. Mahon, that the U.S. Supreme Court held that regulations could ever constitute a taking. Measure 37 addressed Oregon voters concern that the government had gone too far in prohibiting landowners from using their land as they saw fit. However, the dramatic substantive changes proposed by Measure 37 raise a new important question. How far did the public go in tilting the balance. Planners and politicians recognize that Oregonians value individual property rights. Measure 37 has served as a wakeup call to legislators, judges, and land use officials to clarify and streamline existing law. Even if in some respects Measure 37 was a success, it failed to create an effective system of compensation for regulatory takings. On November 6, 2007, Oregonians approved Measure 49 by sixty-two percent. Measure 49 is a proposal by the 2007 Oregon Legislature to modify Measure 37 to give landowners who have filed Measure 37 claims the right to build a limited number of homes as compensation for land use regulations imposed after they acquired their properties. The Article proceed as follows. First, I provided some brief background on land use planning in Oregon. Second, I discuss by documenting the fact that Measure 37 resulted in development and the causes of Measure 37 impact. Third, I reviewed the lessons we should derive from Oregon’s experience. This Part also examine the way these lessons have played out with respect to Oregon’s Measure 49. Finally, I have reviewed as follows. The lesson offered by Measure 37 and 49 is that designing a regulatory takings system is no simple task. On the other hand, Measure 37 and 49 also demonstrates that it is possible for an initiative to succeed in a more round about way by challenging the established system and initiative’s values. The Oregon lessons provided on the ground evidence to help future legislators, courts, and scholars move beyond abstract theory and see a radically different approach to regulatory restrictions in practice. And the constitutional approach to regulatory takings on its head and requiring compensation for all losses due to post acquisition regulation, the Oregon experiment allows us to look at property through a new lens. Through this lens, classic arguments regarding land property rights, efficiency, and fairness were upended. 미국 헌법은 재산권을 보장하면서도 일정한 한계를 설정하여 그 범위를 넘는 제한에 대해서는 위헌 선언을 하거나 보상을 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토지이용규제 등에 의해 제약을 받는 토지 소유자의 경우 재산권 제한에 대해 어떠한 요구를 할 수 있는가. 만약 정부의 규제가 일정한 범위를 넘어서 재산 소유권자에게 가혹한 부담을 가하는 경우에는 수용과 같은 효과를 인정하여 보상을 요구 할 수 있는가. 이른바 규제적 수용의 문제가 쟁점이 되고 있다. 미국에서 규제적 수용의 법리는 Pennsylvania Coal Co. v. Mahon 사건에서 찾아 볼 수 있다. 재산권은 어느 정도 규제될 수 밖에 없지만 만약 규제가 너무 과도하게 되면 이것은 수용으로 보아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규제적 수용이 인정되는 경우에도 이에 대한 구제수단은 규제적 수용의 근거가 되는 법령의 무효를 구하는 방법만이 인정되었다. 미국의 법원은 정부의 토지이용계획이나 도시계획은 물론 권력분립의 원칙을 존중하여 입법 활동에 대해 적극적으로 관여하지 않았다. 오리건 주의 토지소유자들은 토지이용규제와 보상의 공정성 문제를 제기하였다. 그리고 토지이용규제에 따라 하락한 자신들의 토지가치에 대한 보상을 요구하였다. 그런데 토지이용 규제에 의해 재산에 손실을 입었다고 주장하는 시민들은 오랜 법정투쟁의 경험을 통해 손실보상을 받을 가능성이 낮다고 인식하게 되었다. 그러한 경험을 바탕으로 토지이용규제에 의해 가치가 하락한 재산권에 대한 보상을 입법에 의해 구제받고자 하였다. 법원의 판단에 의한 권리구제보다는 토지소유자들을 적극적으로 보호하는 법률들을 제정하는 방향으로 전환하였던 것이다. 오리건 주의 주민투표에 의한 법안 37이 제정되게 되는 직접적인 동기였다. 법안 37은 규제적 수용에 대한 일종의 입법투쟁의 결과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그것은 오리건 주의 도시 관리정책의 기초인 토지이용계획 제도를 근본적으로 뒤흔드는 계기가 되었고, 논쟁도 본격화하였다. 법안 37은 토지이용규제에 의한 권리구제를 위해 보상과 해제를 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하지만 보상재원에 대한 미비 등으로 인해 규제를 해제하는 방식을 선택하였고, 과잉개발과 난개발 등의 문제가 제기되었다. 그 결과 법안 37을 수정하기 위해 제안된 것이 주민투표 법안 49이다. 법안 37과 49는 토지이용규제와 규제받은 토지소유자들의 권리구제를 위한 방안이 무엇인가를 놓고 제기되었던 많은 경험들이 내재되어 있다. 특히 법안 37의 경험은 토지소유권과 토지이용규제가 도시계획과 성장관리정책의 핵심이며, 일정한 규제의 틀 안에서 상호조화를 이루지 못하면 도시의 발전은 지속가능하지 않다는 것을 실증한 사례이었다. 결과적으로 주민투표 법안 37과 49는 오리건 주의 토지이용계획과 규제 시스템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그리고 토지이용규제와 공정성이라는 과제를 해결하게 위해 입법적 보완을 주민투표 등을 통해 실현하는 계기가 되었다. 오리건 주의 주민투표 법안 37과 49는 규제적 수용에 대해 사법적 해결방식이 아니라 입법적 내지 주민발안의 형식으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던 사례라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가 있다.

      • 영업비밀로서의 직무발명

        김민배(Min-Bae Kim),신재호(Jae-Ho Shin) 세창출판사 2007 창작과 권리 Vol.- No.46

        To be protected as a trade secret on Unfair Competition Prevention and Trade Secret Protection Law, a trade secret should be useful information, which is not known to the public, has an independent economic value, and has been maintained in secret by considerable effort. On the other hand, Employee Invention System has some problems in using employee invention as a Trade Secret, because the system balances employee's interests and employer's assuming application for a patent required to disclosure to the public. This paper examines these problems from the viewpoint of an employer who uses the employee invention as a Trade Secret.

      • KCI등재

        국기에 대한 충성의 맹세와 헌법적 쟁점 - 미연방대법원의 Gobitis 판례와 Barnette 판례를 중심으로 -

        김민배(Kim, Min Bae) 한국토지공법학회 2015 土地公法硏究 Vol.69 No.-

        미국에서 국기에 대한 충성의 맹세(Pledge of Allegiance to the flag)는 공식의례 등에서 국기를 향해 사용되는 일종의 선서 문구이다. 현재 사용되는 충성의 맹세는 다음과 같다. ‘나는 미합중국의 국기와 그것이 표상하는 공화국에 대해, 모든 사람을 위한 자유와 정의가 함께하고, 하느님 아래 불가분한 하나의 국가인 공화국에 대해, 충성을 맹세합니다.’ 국기에 대한 충성의 맹세는 침례교 목사이자 기독교 사회주의자였던 Francis Bellamy등에 의해 1892년에 그 기초가 마련되었다. 그런데 미국의 헌정사를 보면 1936년부터 1944년에 걸쳐 국기에 대한 충성의 맹세와 그 의식을 둘러싼 사건들이 집중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이 시기는 제 1 차 세계 대전 이후 유럽에서 많은 이주민들이 유입되면서 미국의 민족주의가 활발하게 대두되었던 때였다. 당시에는 과연 다민족으로 구성된 미국이 국가로서 얼마나 통일을 도모할 수 있을 것인가 하는 점이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었다. 그 때문에 국기에 대한 경례 의식이 국가에 대한 충성을 나타내고, 통일된 국가 공동체를 유지하기 위한 애국심 교육의 일환으로 자주 선호되었다. 문제는 국기에 대한 충성의 맹세가 국교 수립을 금지하는 미국 수정 헌법 제 1조와 종교의 자유에 관한 수정 헌법 제 14 조를 위반하는지 여부였다. 특히 ‘여호와의 증인’ 신자들은 국기라는 우상을 숭배하는 것이야말로 자신들의 종교 교리에서 금지된 것이라고 주장하면서, 국기에 대한 충성맹세 의식을 거부하였다. 그런데 문제는 국기에 대한 충성의 맹세 의식에 대해 참가를 거부하면 자녀가 퇴학을 당하고, 충성맹세 선서에 응하지 않을 경우 복학을 할 수 없었다. 결국 공립학교에서 국기에 대한 충성의 맹세와 그 의식의 강제성이 문제가 되었다. 쟁점은 첫째, 국기에 대한 충성의 맹세 의식이 종교적 행사인가 여부 둘째, 그 의식에 대한 참여 강제가 헌법에 보장된 개인의 권리를 박탈하는가 여부였다. 연방 대법원은 1940년 Gobitis 사건 판결에서는 국기에 대한 충성의 맹세가 합헌이라고 판시하였다. 그러나 1943년 Barnette 사건 판결에서는 Gobitis 사건 판결을 변경하여, 국기에 대한 맹세가 헌법 수정 제 1 조에 비추어 볼 때 위헌이라고 판단하였다.본 연구에서는 국기에 대한 충성의 맹세 의식에 대해 상반된 판결을 내린 Gobitis 사건 판결과 Barnette 사건 판결을 집중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수정헌법 제 14조와 Gobitis 사건, 수정 제 1조와 Barnette 사건, 국기경례거부와 종교적 이유, 위헌법률심사권 등의 차원에서 두 판결을 비교 연구하였다. 이를 통해 국기에 대한 충성의 맹세와 그 의식을 둘러싼 애국심 논쟁, 종교의 자유, 그리고 표현의 자유 등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그를 바탕으로 미국과 같이 다문화, 다종교, 결혼이주여성, 외국인 노동자의 시대를 맞이하고 있는 우리나라에 어떤 시사점을 주고 있는지 연구하고자 하였다. Pledge of Allegiance to the flag of the United States is a kind of sworn statements to be used toward the flag, etc. Currently, used in the United States, Pledge of Allegiance is as follows: “I pledge allegiance to the flag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nd to the Republic for which it stands, one Nation under God invisible, with liberty and justice for all”.The original Pledge of Allegiance was written by Francis Bellamy. It was first given wide publicity through the official program of the National Public Schools Celebration of Columbus Day, which was printed in The Youth's Companion of September 8, 1892. Then, reviewing to the history of the United States Constitution, between 1936 and 1944, it was intensively generated for the cases surrounding the ceremony and Pledge of Allegiance to the flag. After the first World War, the United States welcomed the immigrants received in Europe. But, how will it be able to promote the unification as a nation, consisting of a truly multi-ethnic America, it had been key issues. Pledge of Allegiance to the flag was often prefer to patriotic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Does the Pledge of Allegiance to the flag violated to the Fourteenth Amendment and the First Amendment, it was just a problem.The major issue was the two kinds. First, is it the religious event to the Pledge of Allegiance to the flag. Secondly, whether or not to deprive of constitutional rights to the compulsory participation for the ceremony. In the Gobitis case for the Pledge of Allegiance to the flag, 1940, the Supreme Court was ruled constitutionality. In the Barnette case, 1943, on the basis of reason the First Amendment violations, the Supreme Court was ruled unconstitutional Act.In this paper, I study on the compare to Gobitis and Barnette case, about the issues : the First Amendment, the Fourteenth Amendment, Freedom of religion, Freedom of expression, judicial review, the Establishment and Free Exercise Clause, etc.

      • KCI등재후보

        韓国の人事聴聞会制度と法意識

        김민배(Kim Min Bae) 인하대학교 법학연구소 2010 法學硏究 Vol.13 No.1

        한국인의 법의식을 무엇으로 판단해야 하는가. 한국에서도 법의식에 대한 각종 여론조사들이 행하여진다. 사형제도, 낙태, 존엄사 등 한국사회에서 현안 혹은 쟁점이 된 사항들이다. 이들 사항들은 한국사회의 역사적 배경, 문제가 사안의 상황, 국민들의 신념 등에 의해 그 의견이 다양하게 나타난다. 즉 시대의 흐름, 경제적 수준, 정치적 이유, 양심과 신념에 따라 그 때 그 때 다르게 나타나지만 한국사회의 도덕이나 법의식 수준을 보여주는 지표 중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그 가운데 한국사회의 도덕이나 법의식 수준을 적나라하게 보여주는 지표가 인사청문회제도라고 할 수 있다. 2000년 처음 도입된 한국의 인사청문회제도는 한국의 공직자상은 물론 한국사회의 도덕과 법의식을 대변하는 상징적 지표가 되고 있다. 인사청문회제도의 바탕이 되고 있는 재산공개제도는 권위주의 정권하에서 가려져 있었던 권력과 명예, 재산과 지위라는 철의 4각지대를 적나라하게 드러내는 폭발력을 보여주었다. 동시에 그것은 한국사회의 개혁과 혁신을 넘어서, 국민들이 새로운 차원의 민주화와 투명성, 그리고 공정성을 요구하는 기준이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의 인사청문회제도를 통해 한국인의 법의식과 도덕적 기준을 살펴보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공직자들에게 어떠한 도덕과 법적 기준을 요구하고 있는가, 엄격한 도덕적 내지 법적 기준이 초래하는 문제는 없는가, 같은 위법사항내지 부도덕한 기준을 놓고도, 국민과 공직자간에 서로 달리 적용하는 현실을 어떻게 볼 것인가, 정권에 따라 다른 공직자 임명의 기준이 국민들에게 미칠 영향은 무엇인가 하는 점 등이다. 본 논문에서는 인사청문회제도의 배경과 법적 근거, 인사청문회법의 주요 내용을 검토하였다. 또한 인사청문회에서 논란이 되고 있는 병역기피, 이중국적, 위장전입, 가족간 증여, 다운계약서, 논문 중복과 표절 등에 대해서도 검토하였다. 특히 공직자 임용기준에 대한 국민 여론과 관련하여 2005년 여론과 공직자 기준, 2009년 여론과 도덕적 판단기준에는 일정한 차이가 드러나고 있다는 점을 밝히고 있다. 그리고 인사청문회제도의 과제와 관련하여 제도적 차원의 개선 사항과 법적 내지 도덕적 기준의 변화에 따른 개선방안에 대해 의견을 제시하였다. 한국의 인사청문회 제도가 당면한 과제를 통해 한국인의 도덕과 법적 판단기준의 올바른 방향을 생각해 보고자 하였다.

      • KCI등재

        생명의 신성함에 대한 논쟁과 법적 과제 : 헬가 쿠세의 이론을 중심으로

        김민배(Kim, Min-Bae) 한국토지공법학회 2020 土地公法硏究 Vol.91 No.-

        생명의학이 발전하면서 인간의 생명을 둘러싸고 과거에 경험하지 못했던 여러 가지 문제들이 나타나고 있다. 인간의 탄생과 생존 그리고 죽음에 이르기까지 종교적 원리와 현실의 이해관계가 대립하고 있다. 즉, 배아, 임신중절, 장기이식, 뇌사 등을 둘러싸고 생명의 신성함이나 인간의 존엄과 가치가 충돌하고 있다. 미국에서는 생명의 신성함(Sanctity of Life)이 낙태와 안락사에 대한 격렬한 논쟁과정에서 이념적 역할을 했다. 생명의 신성함이 죄 없는 인간을 죽이는 것에 대한 금지의 논거로 제시되었다. 이에 반해 생명의 신성함을 비판하면서 생명의 질과 공리주의를 주장하는 논거들이 등장하였다. 돌이켜 보면 종교적 차원에서 볼 때 생명의 신성함이나 인간의 존엄은 오랜 역사적 전통을 지닌 개념이다. 그러나 생명의학이 발전하면서 생명의 신성함과 인간의 존엄에 대한 개념과 관계들을 재정립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생명의 신성함과 인간의 존엄 그리고 생명의 질 등을 어떻게 설정할 것인가 하는 점이 쟁점이 되고 있다. 인간의 생명을 직접적으로 결정해야 하는 의료현장에서 어떤 판단기준에 기초하여 환자를 치료해야 하는가. 혹은 치료를 중지해야 하는가. 일정한 상황에서 선택적 결정을 내릴 때 종교적 차원에서 인간생명의 신성함을 우선할 것인가. 아니면 생명의 질을 고려하여 생명의 신성함에 반하는 결정을 할 것인가. 현실적 문제해결을 위한 해법을 요구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독교의 전통적인 생명 문제와 윤리의 기반인 생명의 신성함에 대해 검토하고자 한다. 성경에서는 생명의 신성함의 기원을 어떻게 설명하는가. 기독교의 생명에 대한 이해를 통해 인간존엄의 바탕을 이루고 있는 생명의 신성함을 살펴보고자 한다. 한편 기독교적인 생명윤리 원칙을 무의미하다거나 부인하면서 새로운 윤리 원칙을 제창한 쿠세(Kuhse, H.)의 주장을 검토하고자 한다. 쿠세는 인간의 생명의 가치를 뒷받침하는 종교와 결별하고, 의식능력의 유무에 따라 결정해야 한다는 새로운 생명윤리를 주장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쿠세의 주장을 분석함과 동시에 전통적인 생명의 신성함의 의미를 재검토하고자 한다. 그렇다면 최근 급속히 진보하는 생명의학의 발전에 따라 기독교의 전통적 생명윤리 내지 생명의 신성함은 더 이상 존재할 가치가 없는가. 쿠세나 싱어(Singer, P.)가 주장하는 생명의 질이나 공리주의와의 공존은 가능한가. 서로 다른 이해에 기초한 주장들이 생명의 신성함과 관련하여 어떠한 법적 문제를 야기 시키고 있는가. 인간의 존엄의 기반이 되는 생명의 신성함은 침해당하거나 포기할 수 없다. 생명의 신성함의 절대성을 주장하는 입장에서는 악용을 우려하고 있다. 그러나 생명에 대한 가치관의 변화와 의학의 발전은 신성함의 예외를 요구하고 있다. 그것을 어떻게 설정할 것인가. 그 출발은 생명의 신성함과 생명의 질이 제기하는 논거들에서 시작해야 한다. 그리고 인간의 생명에 대한 판단 기준은 법률로 정립될 수 밖에 없다. 중요한 것은 모두가 받아들일 수 있는 법률의 정당화의 논거와 기준을 어떻게 마련할 것인가 하는 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향후 그러한 대안의 마련을 위한 기초적 논거와 이론 등을 제시하는데 연구의 주된 목적이 있다. With the recent development of biomedical science, various problems have emerged surrounding human life. From the birth, survival and death of man, religious principles and human interests are sharply divided. In other words, the sanctity of life or human dignity is in conflict over embryos, abortions, organ transplants and brain death. The sanctity of life also played an ideological role in the debate over abortion and euthanasia in the United States. The sanctity of life was presented as the rationale for the prohibition against killing innocent humans. On the other hand, Kuhse H. and Singer P. criticized the sanctity of life and advocated the quality of life and utilitarianism. On the religious level, the sanctity of life or human dignity is a concept with a long historical tradition. However, with the development of biomedical science, it is necessary to redefine the sanctity of life and human dignity. The need to redefine the concepts and relationships is being raised. That is, how to reset the interrelationships of the sanctity of life, human dignity, quality of life, etc. Doctors directly determine human life in the medical field. Based on what criteria of judgment should the patient be treated? Should we stop? When making an optional decision under certain circumstances, will we prioritize the sanctity of human life on a religious level? Or will you make a decision against the sanctity of life in consideration of the quality of life? Realistically, a solution is needed to solve the problem solving the problem. In this study, I’d like to examine the sanctity of life, the basis of the traditional life ethics of Christianity. How does the Bible explain the origin of the sanctity of life? Through an understanding of Christian on the sanctity of human life, I’d like to examine the sanctity of life which is the basis of human dignity. And criticizing Christian bioethics principles, I’d like to review Kuhse s claim to advocate quality of life and utilitarianism. Kuhse insists on a new life ethic that must be determined by the presence or absence of human consciousness. In this study, I’d like to analyze Kuhse s arguments in more detail, while at the same time reviewing the meaning of the traditional sanctity of life. Then, as Kuhse claims, with the recent rapid development of biomedical science, is the traditional bioethics of Christianity and the sanctity of life no longer worthy of existence? Is the quality of life, utilitarianism and the sanctity of life possible for harmony cooperation? What legal problems do arguments based on different interests cause with respect to the sanctity of life? Under any circumstances, we cannot give up human dignity based on the sanctity of life. But how to set an exception to the sanctity of life.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quality of life and the arguments raised by utilitarianism. After all, the standard of judgment on human life must be established by law. What s important is how to come up with justification and standards that everyone can accept. In this study, I have the main purpose of the study in presenting basic arguments and theories for the preparation of such alternatives in the future.

      • KCI등재

        인간의 존엄과 그 개념에 대한 재검토

        김민배(Kim, Min-Bae) 한국토지공법학회 2020 土地公法硏究 Vol.89 No.-

        The concept of human dignity ha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various areas. In particular, the historical lessons learned from totalitarianism have had a great influenc on the Constitution and other countries since the end of World War II. It has greatly contributed to the prevention of cruel acts such as torture of humans and human experiments. Human dignity is also a historical concept in Germany that has been confirmed by historical experiences. It was emphasized that there was no need for further evidence in itself. However, the concept is ambiguous compared to the wide-ranging and often used human dignity. The ambiguity of the concept of human dignity is a target of criticism. It also takes a religious view of the divine nature, which is the basis of human dignity. Recently, advances in science and technology and biomedical science have been developing. It is leading to criticism of human dignity. At the bioethics level, there are also arguments that human dignity is useless. Then, why does traditional interpretations of human dignity conflict in modern society? Human dignity is also linked to birth, life and death. However, the concept of human dignity is ambiguous. The reason is that the human concept is ambiguous. A new interpretation of the concept of dignity emphasizes the individual ego and personality of the inority or the elderly. A new interpretation of human dignity presupposes specific differences and diversity between people. Therefore, they interpret problems that cannot be covered by traditional sense as individual dignity rather than human dignity. New interpretations of the concept of human dignity are emphasized in bioethics or biomedical science. Biomedical is a region of interest in which individual desires, choices and actions are greater than human beings or the whole. It is also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biomedical science to enable embryos, abortions, gene editing and human cloning through new concepts of dignity. Kant s Categorical Imperative does not prevent this situation from being promoted by biotechnology and biomedical scienc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view various factors, such as uncertainty and imperfections, nature and chance, to complement the dignity of human beings suited to the new times. In this study, I would like to examine the concept and use of human dignity, the futility and usefulness of human dignity, and the necessity of rebuilding human dignity. I want to consider interpreting the human dignity raised in the bioethics. I would also like to explore ways of interpreting human dignity in a traditional way to maintain consistency in the field of biomedical science. 인간 존엄의 개념은 다양한 영역에서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특히 전체주의를 경험한 역사적 교훈이 제2차 세계대전이후 각 국가에 헌법 등에 미친 영향은 매우 크다. 인간에 대한 고문이나 인간실험 등 잔혹한 행위를 저지하는 데 크게 기여를 했다. 인간의 존엄성은 역사적 체험으로 뒷받침된 독일의 역사적인 개념이기도 하다. 따라서 인간존엄 그 자체에 또 다른 근거를 필요로 하지 않는 다는 것이 강조되었다. 그러나 인간의 존엄이 광범위하고 자주 사용되는 것에 비해 그 개념이 모호하다. 그 점 때문에 인간의 존엄에 대한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인간존엄의 근거로 주장되는 천부설을 기독교적 내지는 종교적 시각으로 판단하는 주장도 마찬가지이다. 최근에는 과학기술의 진보와 생명의학이 발전하면서 기존의 인간존엄에 비판과 다른 차원의 문제들이 제기되었다. 일부이지만 생명윤리나 생명의학 차원에서 주장되는 인간존엄의 무용론이 그것이다. 그렇다면 인간존엄에 대한 전통적인 해석이 현대사회에서 충돌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그것은 인간 존엄의 개념이 다의적이고 광범위하기 때문이다. 특히 인간의 개념과 삶의 복잡성과 연계되어 있다. 인간의 존엄은 탄생과 생존 그리고 죽음과도 모두 관련된다. 존엄개념에 대한 새로운 해석은 여러 차원에서 전개되고 있다. 우선 인간의 특정한 차이나 다양성을 전제로 소수자나 노인들의 개별적인 자아내지 인격을 강조하는 것이다. 따라서 전통적인 감각으로 커버할 수 없었던 문제들을 인간의 존엄보다는 개인의 존엄으로 해석하려는 시도이다. 인간존엄의 개념에 대한 새로운 해석은 생명윤리 또는 생명의학에서도 강조되고 있다. 역사적 경험과 관련된 인류보다는 개인 자신의 욕망, 선택, 행동이 보다 현대의 인간들에게는 더 큰 관심의 대상이다. 생명의학이 새로운 존엄개념을 통해 배아, 낙태, 유전자 편집, 복제인간을 가능하게 하려는 움직임과도 관련되어 있다. 현재의 흐름은 칸트의 정언명법으로도 생명의학이나 과학기술이 추진하는 이러한 상황을 막을 수 없다. 그러므로 원점에서부터 인간에 대한 불확실성과 불완전성, 자연성과 우연성 등의 여러 요소들을 재검토하여 새로운 시대에 맞는 인간의 존엄을 보완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인간 존엄의 개념과 용법, 인간존엄을 둘러싼 무용론과 유용론, 그리고 인간 존엄의 재구축의 필요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인간의 존엄이 지닌 역사적 경험, 종교적 위상 그리고 현대사회에서의 중요성을 강조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