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워즈워스의 ‘1837년 대륙여행 시편’에 대한 연구

        김문수 ( Kim Moonsoo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통합인문학연구소 2019 통합인문학연구 Vol.11 No.2

        윌리엄 워즈워스의 후기 시는 시 형식상으로 소네트를 주로 이용하고, 주제적인 면에서 ‘여행’을 많이 다룬다. 그의 여행시편은 『1820년 대륙여행의 기록들』이 실질적인 시작이며, 두 편의 스코틀랜드 여행시편을 거쳐, 『1837년 이탈리아 여행의 기록들』로 종결된다. 이 마지막 여행시편은 처음에는 로마에 대한 기대와 더 큰 실망이 교차되지만, 최종적으로 로마의 미래에 대한 이 시인의 간절한 기원으로 마무리된다. 폐허화된 로마는 자신의 노년을 상기시키면서, 평온한 위엄, 온화한 아름다움과 같은 노년의 가치를 소중하게 인식하게 만든다. 이러한 폐허와 노년에 대한 인식은 자연스럽게 종교적 가치에 대한 인식으로 이어지는데, 종교의 내밀한 신비성, 신앙적 성취의 어려움 등에 대한 논의를 거쳐 성 프란체스코를 통한 올바른 종교의 모습을 제시하는 방향으로 이어진다. ‘시인’ 워즈워스는 이 모든 가치들을 시(예술)에 대한 믿음과 결합시키고, 대시인의 반열에 서려는 내밀한 소망도 비춘다. 폐허화된 로마에 대한 인식에서 시작된 1837년 여행시편은 노년과 종교에 대한 인식, 시인으로서의 소명이 종합되면서 끝난다. 이 작품의 교훈성에 대해서는 종래에 비판도 있었지만, 워즈워스 문학의 본령이 도덕, 윤리, 철학이었다는 사실이 재인식되면서 이 여행시편의 도덕적 메시지 또한 다시금 주목에 값하게 될 것이다. Many of William Wordsworth’s later poems are composed in ‘sonnets’ and thematically deal with ‘tour.’ His tour poem series begins with Memorials of a Tour on the Continent, 1820, and with 2 series on the Scotland tours ends with Memorials of a Tour in Italy, 1837. The last tour poem series at first fluctuates with the expectations of and later disappointments at Rome, but finally ends with the poet’s earnest prayer for the Rome’s future. Ruined Rome reminds Wordsworth of his own old age, and makes him recognize the remaining virtues of old age, such as peaceful majesty and genial beauty. His recognition of ruin and old age naturally leads to that of religion, and he discusses the mysteries of religion, the difficulty of attaining religious solemnity and the true ideal of religion through the examples of St. Francis. The ‘poet’ Wordsworth combines all these worths with the belief in poetry (art), and he even dreams of becoming a historically great poet. 1837 tour poem series begins with the recognition of ruined Rome, and concludes with Wordsworth’s recognitions of old age, religion and poet’s vocation. Some past scholars criticized the moral lessons of these poems. However, in the present days the fact that the main subjects of Wordsworth’s literature are morality, ethics and philosophy is being rediscovered, and the moral values of the 1837 tour poems will also be reappraised.

      • KCI등재

        청소년안전사고 판례를 통해 본 청소년지도자의 법적 책임

        김문수(Kim, Moonsoo),지영섭(Ji, Youngseob)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21 한국청소년연구 Vol.32 No.2

        본 연구는 청소년 현장에서 안전사고 발생 시 부여되는 청소년지도자의 사고 책임 전가와 인권침해에서 그들을 보호하고, 적절한 안전의식의 지식을 제공해주고자 필요한 법적 판단기준을 알아보기 위해, 판례분석을 실시하여 청소년지도자에게 부여되는 안전사고의 책임 범위와 그 판단기준을 도출하였다. 이에 대한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청소년 현장에서 안전사고 발생 시 청소년지도자에게 부여되는 법적 판단기준은 안전사고의 결과와 청소년지도자의 부주의 및 과실과의 인과관계, 사고에 대한 예측 가능성, 안전배려의무, 대리감독자로서의 의무 등이 추출되었다. 그 외 활동유형별로 살펴보면, 기본형 활동은 다양한 활동이 이루어지는 만큼 활동별로 요구되는 전문성, 안전수칙, 안전배려의무가 적용되었고, 이동형 활동은 이동수단별 상시적인 주의의무와 안전수칙 및 구호 및 구조 물품에 대한 사용법 교육 등의 숙지 및 공유가 되어야 하며, 숙박형 활동은 교육활동뿐만 아니라 생활시간, 취침시간 등 활동 전반에 대한 주의의무가 지속되었고 합리적인 생활수칙과 기준에 따른 생활지도가 필요함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청소년안전사고의 법적 쟁송에서 요구되는 청소년지도자의 법적 책임의 주요 판단기준, 지도자의 관리·감독 책임, 전문적인 교육능력 및 인식개선 사항을 지적함과 동시에 청소년활동별 세부적인 안전교육 매뉴얼 개발 및 교육기회 확산, 그리고 부당한 사고 책임 전가와 인권침해를 구제하기 위한 법률적 보호 장치 및 관련 기구 설치에 관한 지속적인 연구의 필요성을 제언으로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legal criteria required to protect youth workers from the shifting of responsibility for accidents and human rights abuse in safety accidents, and to provide appropriate knowledge of safety consciousness. It further sought to carry out analysis of legal or situational precedents in order to devise a scope of liability and standards of judgement for youth workers. Our main research findings were as follows. Legal criteria applied to youth workers in the case of safety accidents in youth work is associated with the results of safety accidents, causation between negligence and fault by youth workers, predictability of accidents, consideration of safety obligations, and the obligations of supervisors. In addition, we examined how different relevant laws have been applied depending on the type of youth activities with special duties of care. Thus, this study shows that major standards of judgement in youth workers’ legal liability is required in legal disputes in the case of youth safety accidents, supervisory responsibility of employers and organizational leaders, It also reveals how professional teaching ability of safety instructors and recognition of safety training needs to be improved and also reveals the necessity of continuous study regarding legal protection. Relevant organizations clearly need to develop detailed safety manuals suitable for youth activities, expand opportunities to educate, and to protect young workers from the shifting of responsibility for unsafe, unfair work practices and human right abuses as well.

      • 워즈워스의 ‘대륙여행 소네트’의 특성

        김문수 ( Kim Moonsoo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통합인문학연구소 2018 통합인문학연구 Vol.10 No.1

        워즈워스는 후기에 소네트 연작 형식을 즐겨 썼는데 여기에는 『더든강』 연작처럼 ‘자연’을 다룬 부류, 『교회 스케치』처럼 ‘사상’을 다룬 부류가 있다. 곧 이어 등장하는 ‘여행 소네트’는 이 두 요소를 합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본고에서 다루는 『1820년 대륙여행의 기록들』은 본격적인 ‘여행 소네트’의 첫 연작인데, 소네트 외의 시편들도 포함되므로 ‘여행시편’으로 부르는 것이 더 나을 것이다. 이 여행시편은 풍경과 장소의 묘사만이 아니라, 도덕적 성찰을 더 많이 담고 있는데, 후자의 대상으로서 ‘자연’과 ‘인간 삶’이 핵심적이다. ‘자연’과 관련해서는, 자연이 지닌 양면성의 인식, 인간세계의 허위와 대조되면서 인간의 파괴를 회복시키는 자연, 궁극적으로 신성을 인식하는 매개자와 조력자로서의 자연이 주로 논해진다. ‘인간 삶’과 관련해서는, 인간 삶의 무상함, 특히 권력자의 삶의 무상함, 평범한 삶에 대한 찬미와 더불어 궁극적인 비극성의 인식, 고통스러운 삶을 초월하기 위한 종교적 인식, 계율적이지 않고 ‘자비’를 강조하는 현실적인 종교관이 주로 논해진다. 이 여행시편은 도덕적, 종교적 가치관의 발현으로서의 시라는 워즈워스의 시적 목표를 잘 보여주고 있다. Later Wordsworth preferred sonnet cycles, which include 'nature' type like The River Duddon and 'thought' type like Ecclesiastical Sketch. 'Tour sonnets' which soon appeared combine these two types. Memorials of a Tour on the Continent, 1820 is regarded as the first of the tour sonnets; however, this cycle, containing many non-sonnet poems, may be better termed as 'tour poems.' This tour poem cycle shows, in addition to descriptions on landscape and places, much more moral reflections whose main categories are 'nature' and 'humanity.' As for the 'nature' category, the main themes are: the recognition of nature's double-sidedness, the entity of nature as against the human falsehood and human destruction, and finally the nature as the medium and helper of the religious faith. As for the 'humanity' category, the main discussions are on: the vanities of life (especially of powerful man's life), the praise on the humble life and its ultimate tragedy, the religious faith in order to transcend the torment of life, and the practical faith which are not rigorous but emphasizing 'mercy.' This tour poem cycle clearly shows Wordsworth's poetic objective to reveal his moral and religious viewpoints by means of poetry.

      • KCI등재

        워즈워스의 「다양한 소네트」 에 관한 연구

        김문수(Moonsoo Kim) 한국영미문학교육학회 2015 영미문학교육 Vol.19 No.2

        Later Wordsworth’s principal form of utterance was ‘sonnet.’ His sonnets can be divided between ‘nature’ group and ‘philosophy’ group; the representative of the first is The River Duddon and that of the second is Ecclesiastical Sonnets. However, there is a third group, Miscellaneous Sonnets, which is not a ‘sequence’ in its strict sense but a ‘collection’ of separate poems of various themes. The overall significance of the Miscellaneous Sonnets can be more easily comprehended when we regroup and approach the poems with their separate inner themes—those of ‘nature,’ ‘literature,’ and ‘religion.’ First, Wordsworth’s views on nature are summarized as opposition to city (artificiality), search for integration with nature, praise on nature, and the ultimate sense of latent fear in nature. Second, his views on literature are summed up as the initial belief in imagination and freedom, the next self-restraint with humbleness and modesty, and the final solution through fusing literature and divinity. Third, the poet’s views on life and religion are outlined as the sense of fear and limitation in life, the need of integration and permanence, and the ultimate conviction in future life and divine communion.Miscellaneous Sonnets, with its diverse and profound ‘moral’ utterances whose literary values are recognized anew, can be labelled as an ‘epitome of Wordsworth’s literature.’

      • 워즈워스 후기시의 도덕론적 문학관

        김문수 ( Kim Moonsoo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통합인문학연구소 2020 통합인문학연구 Vol.12 No.2

        윌리엄 워즈워스에 대한 종래의 연구는 주로 이 시인 전반기의 정치적 ‘혁명성‘과 ‘상상력’ 위주의 시론만 거론하였다. 하지만, 이 시인은 처음부터 온건한 보수주의를 견지하였고, 문학적인 면에서도 상상력보다는 도덕성을 강조한 것으로 새롭게 인식되고 있다. 본고는 이 시인의 덜 연구된 후기시를 통해서 도덕론적 문학관의 여러 양상을 살펴보려 한다. 후기의 주요 장르인 소네트 연작 중에서 대표적인 4편을 분석대상으로 삼는다. 『더든강』은 자연을 다루는 소네트이지만 강물을 삶과 역사의 과정으로 보는 교훈성과, 종교적 인식이 두드러진 작품이다. 『교회 소네트』는 철학적, 교리적 내용을 다룬 작품이지만 강물의 비유를 전체 틀로 삼고 있으며, 종교적인 측면에서 교리적 요소보다는 실행을 중시하고, 온건성과 중요성을 강조한 작품이다. 여행시는 후기시의 또 다른 특색이다. 스코틀랜드 여행을 다룬 『다시 찾은 야로우와 기타 시편들』은 노년에 접어든 워즈워스가 자연과 인간 삶에 대한 사색을 거쳐 궁극적 가치로서 종교를 역설한 작품이다. 마지막 여행시 연작인 『1837년 이탈리아 여행의 기록들』은 로마의 폐허에서 자신의 노년을 떠올리며 최종 귀의처로서 종교의 가치를 강조하는 작품으로 이상적인 신앙인 성 프란체스코를 통해 신앙 전달자로서의 시인의 소명을 역설한다. 후기시에 확연히 드러난 도덕론적 요소들은 이미 이 시인의 전기에 발아된 것으로서, 이 시인의 중요한 문학적 특성의 하나로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Former studies on William Wordsworth usually discussed the poet’s earlier political ‘revolutionism’ and poetic theory mainly of ‘imagination.’ However, it is newly recognized that the poet held a moderate conservatism from the first and emphasized in literature the morality rather than the imagination. This article seeks to find out, through Ids later poems which were less studied, the poet’s moralistic views on literature. Among his sonnet sequences which were the principal forms of his later poetry, the following four works are chosen as main targets of analysis. Though The River Duddon deals with nature, it is remarkable for its didacticism treating the river as a metaphor of life and history, and for its emphasis on the religious recognition. Ecclesiastical Sonnets discusses philosophical and doctrinal elements, but it stresses on the religious practice rather than doctrines, 班id on the moderation and golden mean in religious matters. Tour poem is another characteristic in the poet’s later poetry. Yarrow Revisited and Other Poems about the Scotland tour is a work expressing the old Wordsworth’s views on nature, human life and religion as an ultimate value. The last tour series, Memorials of a Tour in Italy, 1837, puts emphasis on the religious values starting from thoughts on the fallen Rome and the senile poet himself, and it also presents, through St. Francesco as an ideal religious man, the vocation of a poet as a transmitter of piety. The moralistic elements strongly expressed in later poems are, however, sown in the poet’s earlier times, and should be regarded as a main characteristic of his literature.

      • 스케일러블 비디오 부호화를 이용한 IPTV 시스템

        김문수 ( Kim Moonsoo ),윤희용 ( Hee Yong Youn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8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5 No.2

        SVC(Scalable Video Coding)는 다양한 장치와 변화하기 쉬운 대역폭을 가지는 네트워크 환경에서 만족할 수 있는 스트리밍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서 디자인되었지만, 본 논문에서는 SVC 를 간단하면서도 효율적으로 채널 변경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IPTV 시스템에 응용하였다. 제안하는 시스템에서는 IPTV 헤드엔드와 LHR(Last Hop Router)사이의 네트워크 대역폭 일부분에 SVC 기본 계층으로 압축된 채널들을 정적 채널에 할당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정적 채널에 속하는 채널을 선택하면 짧은 네트워크 지연 시간 이내에 기본 계층을 전송 받아 동영상을 볼 수 있으며, 곧바로 향상 계층을 전송 받아 사용자는 정상 품질의 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

      • KCI등재

        대리모가 출산한 자의 친생자관계 ― 가족법에서의 경로의존성 비판 ―

        김문수 ( Kim Moonsoo ) 연세대학교 법학연구원 2018 法學硏究 Vol.28 No.4

        서울가정법원은 최근에 출산 대리모를 통하여 출생한 자의 친모가 누구인지에 관한 결정을 내렸다. 법원은 난자를 제공하여 아기와 혈연관계가 있는 의뢰모가 아닌 임신과 출산을 한 대리모가 친생모가 된다고 판시하였다. 결정 이유에서 법원은 임신과 출산을 모성의 결정적 인자로 보는 전통적 태도를 고수하면서 몇 가지 새로운 이유를 들어 출산 대리모의 경우에도 그것이 정당함을 설시하였다. 첫째로 출산은 그 확인이 용이하고 명확하다는 점, 둘째로 임신기간 중 대리모와 아기 사이에 형성된 정서적 유대 또한 법적으로 보호되어야 할 모성의 요소라는 점, 셋째로 그러한 출산 모성이 무시된다는 것은 국민적 정서와 가치에 반한다는 점이다. 이 논문은 위의 이유들을 법률해석, 역사적 사실, 그리고 대리모에 관한 실증적 연구에 기초하여 재검토하고 법원의 태도를 현대 가족법에서의 ‘경로의존성’의 예로서 비판한다. 첫째, 민법상 친생자관계는 문언적으로 생물학적 친자관계를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둘째, 임신과 출산은 보조생식기술이 없던 시대에 생물학적 모성을 확인하기 위한 사실적 증거로 취급된 것이지 친생모자관계를 결정하는 규범적 기준이었던 것이 아니다. 따라서 출산 대리모 상황에서는 더 이상 적용될 수 없다. 셋째, 새롭게 인식된 소위 출산 모성이라는 것은 주로 추측된 주관적 감정에 기초한 것으로 대리모와 아기에 관하여 확인된 객관적 사실에 근거한 것이 아니다. 따라서 법적 보호 가치를 인정하기 어렵다. 이처럼 모성 결정에서뿐만 아니라 부성 결정(혼인에 의한 친생추정)에서도 볼 수 있는 기존의 태도를 고수하려는 경향은 세계적으로 나타나는데, 이는 현대 과학기술에 의하여 극적으로 변화된 사정을 고려하지 아니하는 것으로서 경로의존성으로 설명될 수밖에 없을 것이다. 이 논문은 이러한 경로의존성이 폐기되어야 하며 출산 대리모가 낳은 아이의 친모는 의뢰모가 되어야 함을 주장한다. 또한 이렇게 하는 것이 현행법 하에서 새로운 입법 없이도 다양한 대리모 사례와 관련된 법률문제를 당사자의 의사와 자녀의 복리에 부합하게 무리 없이 해결할 수 있도록 한다는 것을 보인다. 마지막으로 서울가정법원에까지 이르게 된 법적 분쟁의 원인이 된 가족관계등록과 관련한 실무적 문제에 대한 해법도 상세히 제시한다. The Seoul Family Court passed judgment of late on the issue of who is the legal mother of a child born through a gestational surrogate. The Court decided that the surrogate mother who carried and gave birth to the child was the natural and legal mother as opposed to the intended mother who provided the egg and had the genetic tie with it. In its opinion, the Court sticked to the traditional way of determining the mother which sees pregnancy and birth as the decisive factor of maternity, and justified it even in the surrogacy case with several new reasons: i) it is an easy and clear way to determine the mother to the newly born; ii) the emotional tie formed during pregnancy between the surrogate and the baby is also an important element of maternity that should be legally recognized; iii) and it does not go along with the national sentiment and value that such gestational maternity is ignored. This Article reviews those rationales based on legal interpretation, historical facts and positive researches about surrogacy and criticizes the Court’s attitude as an example of path dependence in modern family law. First, the ‘natural parentage’ in the Civil Act is interpreted to mean biological parentage in literal sense. Second, pregnancy and birth was treated as a factual evidence of not as a normative element of natural maternity in a world without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y. It should not be therefore decisive any longer in the gestational surrogacy situations. Third, the newly recognized value of “gestational maternity” is mainly based on supposed subjective feelings not on observed objective facts concerning the surrogate and the baby. So it does not pass muster to get legal recognition. All the tendency in determining not only maternity but also paternity (marital presumption) in which the courts around the world ever try to adhere to the traditional rules regardless of the situations dramatically changed by modern technology exemplifies the path dependence in family law. This Article maintains this path dependence should be forsaken and that the intended mother should be the legal natural mother of the surrogate-born child. And it is shown that this position would also smooth the legal processes related with various surrogacy cases according to involved parties’ intents and the best interest of the child under the existing regulations without any new legislation. Lastly, a solution to one sticking point that had caused the litigation brought before the Seoul Family Court is presented in detai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