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듀이의 자연주의적 형이상학에 대한 비판론 검토

        김무길 ( Moo Gil Kim ) 한국교육철학학회(구 교육철학회) 2013 교육철학연구 Vol.35 No.4

        이 글은 듀이의 자연주의적 형이상학에 대한 로티와 산타야나의 비판을 듀이의 입장에서 비판적으로 재검토하고 그의 형이상학이 주는 교육적 시사점을 모색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로티는 듀이의 형이상학이 전통적체계 철학과 명확히 차별화되지 않는다는 점을 비판하고 있다. 그것은 듀이가 말하는 ‘존재의 일반적 특징’이 종래 형이상학에서 추구하는 ‘존재의 궁극적 특징’과 차별화되지 않는다는 의문에서 야기된 것이다. 이러한 비판은 듀이의 입장에서 보면, 가변적 세계를 특징짓는 원리적 준거의 탐구를 보편적 실재에 대한 탐구로 오해한데서 비롯된 것이다. 한편, 산타야나는 듀이의 ‘전경의 우위’로서의 자연주의가 포괄적 자연을 담지 못한다는 점을 지적함은 물론, 자연주의와 형이상학이 양립 불가능하다는 비판적 견해를 피력한다. 이에 대해 듀이는 ‘자연의 전경’이 자연의 여타 부분과 연속성을 띠어 경험을 무한히 확대시킬 수 있다는 점, 그리고 자연주의적 형이상학은 종래 이원론적 개념이 아닌, 자연과 경험의 연속성 하에서 규정되어야 한다는 점을 주장한다. 한 마디로 말해 듀이의 자연주의적 형이상학은 경험적이고 과학적인 방식으로 우리를 둘러싼 세계의 일반적 특징을 탐구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듀이의 자연주의적 형이상학은 교육적 맥락에서는 교과를 배우는 일이 자연과의 교호작용 속에서 일어나는 것이며, 따라서 학습자의 단위 경험이 끊임없이 자신을 둘러싼 세계에 대한 의미의 확장으로 연계될 수있도록 조력해야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re-examine Rorty and Santayana`s criticisms of Dewey`s naturalistic metaphysics, and to search the implications of Dewey`s naturalistic metaphysics for modern education. Rorty`s criticism is that Dewey`s metaphysics is not clearly distinguished from the traditional ``systematic philosophy``. Rorty`s criticism arises from the question that general traits of existences in Dewey, is not clearly distinguished from the ultimate traits of existences that traditional philosophers have pursued. Dewey`s answer to this critical question is that the inquiry of general traits of existences does not mean the inquiry of ultimate traits of existences, but the inquiry of main features of this changeable world that surrounds us. Santayana`s criticism is that Dewey`s naturalism as the dominance of the foreground does not involve the comprehensive concept of nature, and also that Dewey`s naturalism and metaphysics are incompatible. Dewey`s answer to this criticism is that the foreground of nature relates to the other part of nature, and this continuity can grow experience itself infinitely. And Dewey insists that his naturalistic metaphysics has to be defined from the viewpoint of continuity between nature and experience. In a word, Dewey`s metaphysics is to inquiry the empirical world by using scientific method. In this context, this study is to make clear the intent of Dewey`s metaphysics related to this controversy, and to search its implications for modern education.

      • KCI등재

        로티의 언어관에 담긴 듀이 사상의 수용과 변용

        김무길 ( Moo Gil Kim ) 한국교육철학학회 2012 교육철학연구 Vol.34 No.3

        R. Rorty is well known as a representative thinker of Neo-pragmatism who succeeds to the pragmatic thought of J. Dewey. Rorty accepts Dewey`s participant theory of knowledge that rejects the traditional dualism and the ultimate foundation of truth. In Rorty`s view, all objects of knowledge is the result of human participation and interpretation in the temporal and spacial situation of life. Therefore, the extension of genuine self and development of knowledge do not come from the fixed knowledges, but the reconstruction of the previous cognition and belief by means of open conversations. Underlying Rorty`s such viewpoint is Dewey`s viewpoint of language. In Dewey`s view, language is not the third medium that connects speaker and object. Language is the behavioral means to adapt for the situation of life, and the symbolistic tool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And all beliefs and knowledges that base on language are not fixed, but are changeable by open conversation and reflective inquiry. However, accepting Dewey`s view in general, Rorty alters Dewey`s viewpoint of language in three aspects: view of language as metaphor, view of democratic language, and view of ubiquitous language. In this context,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extent and limit of the influences of Dewey on Rorty`s viewpoint of language.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is to elucidate the relation between Dewey and Rorty, and is helpful to search for the educative implications of Rorty`s view. 로티는 듀이의 프래그머티즘을 계승, 발전시킨 네오프래그머티즘의 사상가로 알려져 있다. 로티는 전통적 이원론의 관점을 부정하는 듀이의 참여자적 지식론을 수용하여 그의 반정초주의적 인식론으로 발전시켰다. 즉, 전통적 이원론에서 말하는 지식의 궁극적 토대란 존재하지 않으며 이제까지 인류가 발전시킨 일체의 지식은 시공간적 상황에 따른 인간적 참여와 해석의 산물일 뿐이라는 것이다. 따라서 자아의 확대와 지식의 발전은 기존의 진리를 수용하는 데 있는 것이 아니라 지속적 대화를 통해 끊임없이 자신의 신념과 지식을 재구성해감으로써 가능하다. 이러한 로티의 관점 밑바탕에는 일체의 지식과 신념이 개방적 의사소통과 참여를 통해 변화 가능하다는 듀이의 교호작용적 언어관이 깔려있다. 듀이가 보기에 언어는 화자와 대상을 연결하는 제3의 매개도구가 아니라 삶의 상황에 적응하기 위한 행위적 수단이며, 동시에 공동의 삶의 질을 개선하는 공유된 의미체계이다. 그런데 로티는 이러한 듀이의 언어관을 수용하면서도, 특정한 측면에서 듀이의 관점을 변용, 발전시키고 있다. 그것은 메타포적 언어관, 민주적 언어관, 그리고 편재적 언어관이라는 세 가지 측면에서 조망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로티의 언어관에 담긴 듀이 사상의 영향이 정확히 어디까지이고, 또한 어디서부터 로티의 독자적인 변용이 일어 났는지를 이해하고자 한다. 이러한 작업은 듀이의 관점에서 로티의 언어관을 비판적으로 재음미하는 일이 될 뿐만 아니라, 네오프래그머티즘의 언어관이 현대 교육에 주는 시사를 탐색하는 데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일반논문 : 『논어』에 나타난 학습자존중의 의미-앤트윗슬(Entwistle)의 관점과 관련하여-

        김무길 ( Moo Gil Kim )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성균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5 人文科學 Vol.0 No.57

        현대 교육적 논의에서 흔히 학습자존중교육 혹은 아동중심교육이라는슬로건이 회자된다. 그런데 그 슬로건을 면밀히 분석하지 않고 쓰게 되면교육현장에서 불필요한 혼란을 초래할 수 있다. 왜냐하면, 학습자의 무엇을 존중하고 아동의 무엇을 중심으로 가르치라는 것인지가 불분명하기때문이다. 이와 관련하여 학습자존중에 관한 앤트윗슬(H. Entwistle)의분석은 우리에게 유용한 시사점을 제시해준다. 앤트윗슬에 의하면, 학습자존중은 규범적 의미와 전문적 의미의 존중으로 구분된다. 규범적 의미의 존중이 아동을 성인과 같은 하나의 인격체로 대우하라는 것이라면, 전문적 의미의 존중은 아동의 발달특성과 이해수준을 고려하여 성인과 다르게 대우하라는 것을 의미한다. 그런데 이 두 가지 학습자존중은 동양의고전인 『논어』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논어』에 나타난 공자는 가르침의대상을 차별하지 않고 대화를 통해 제자들의 성장을 유도했다는 점에서규범적 의미의 학습자존중을 실천했으며, 제자들의 개별적 특성을 고려하여 동일한 질문에 대해 상이하게 답변했다는 점에서 전문적 의미의 학습자존중을 실천했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논어』에 나타난 공자와 제자들 간의 대화 방식에 주목하여 거기에 담긴 학습자존중의 지혜를 재음미하고 현대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모색하였다. These days, educational slogans such as learner-respect education or child-centered education in modern educative discourses are discussed every now and then. Using the slogan without closely analyzing its meaning, however, will create an unnecessary confusion of thinking in schooling because it is unclear what it means to hold learners in reverence and what it means to center on children. With regard to this issue, H. Entwistle`s analysis provides us with useful implications. According to Entwistle, we can distinguish normative meaning from technical meaning in the respect for learners. Normative meaning means that teachers have to treat a child as a ‘person.’ In this aspect, holding a child in reverence means to pay attention to the sameness between child and adult. In contrast, technical meaning means that teachers have to make allowance for the difference between child and adult, considering child`s developmental trait and cognitive level. We can find the respect of the two for learners in the Analects of Confucius. Confucius did not discriminate among the objects of teaching, and tried to guide learners` growth. And Confucius answered differently to the same question by his disciples, according to their traits. In this aspect, it can be said that he practiced the two`s principles of respect for learners. Therefore, we can say that the relations between traditional education and modern education are not separated, but are interconnected with each other. In this context, this paper aims to focus on the way of conversation between Confucius and his disciples, and to re-examine Confucius`s idea of the respect for learners, and to illuminate its implications for contemporary education.

      • KCI등재

        자동차용 안전부품의 기계적 성질에 미치는 복탄처리의 영향

        김무길 ( M. G. Kim ),정병호 ( B. H. Jung ),정상훈 ( S. H. Jung ),이병찬 ( B. C. Lee ),김상수 ( S. S. Kim ) 한국열처리공학회 2003 熱處理工學會誌 Vol.16 No.1

        N/A Decarburized zone of metal tongue which is sued in seat belt for automobiles was carbon-restoration quenched and tempered using nitrogen-methanol gaseous atmosphere. The effects of microstructure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metal tongue on the effectiveness of carbon-restoration during tempering was studied. Metal tongue showed 20~30㎛ decarburized zone. However, after carbon-restoration, it has uniform microstructure and thus hardness without decarburized zone. Carbon-restoration quenching and tempering process resulted in better wear and corrosion resistances than quenching and tempering process.

      • KCI등재

        듀이의 교육목적관에 대한 일 고찰: 발현과 성장의 관계를 중심으로

        김무길 ( Kim Moo-gil ) 한국교육철학학회 2016 교육철학연구 Vol.38 No.3

        본고는 듀이의 교육목적관에 나타난 발현과 성장의 관계를 명료화함으로써, 그의 성장 개념의 교육적 함의를 밝히는 데에 목적이 있다. 듀이는 루소나 프뢰벨과 유사하게 전통적 교육에서 드러난 아동의 마음 밖으로부터의 주입에 반대하고, 마음 안으로부터의 발현이 중요함을 인정하였다. 그러나 듀이와 발현설 간에 유사성이 있다고 해서 양자를 동일시해서는 안 된다. 발현설은 모종의 숨겨진 총체가 기성의 상태로 주어져 있다고 가정하고 그것의 완전한 발현을 교육의 이상으로 삼고 있다. 발현설의 근본 문제는 성장의 존재론적 조건이 되는 인간과 환경 간의 교호작용을 간과하고 선험적 이상을 상정하여 교육을 고정된 방향으로 이끌어가려고 하는 데에 있다. 외부 환경과의 교호작용을 무시한 채 성인이 의도한 목적에만 초점을 둘 경우, 그만큼 다양하고 풍부한 성장의 기회는 희석되고 만다. 왜냐하면, 완전성의 이상에 도달하는 것이 강조될 뿐, 그것을 벗어난 경험의 성장의 여지는 원천적으로 봉쇄되기 때문이다. 물론 발현설이 이런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고 해서 교육적 원리로서의 ``발현``의 중요성마저 부정될 수 없다. 즉, 환경과의 교호작용으로 인해 일어난 아동의 흥미나 자기표현은 교육의 출발점에서 교사가 고려해야 할 주요 요소가 되는 것이다. 아무 일도 없는 평탄한 상황 속에서 경험의 성장이 일어나기 어렵다. 성장을 위한 교육을 위해서는 아동의 경험과 흥미의 수준을 고려하되, 그 수준이 지속적으로 향상되고 확대될 수 있도록 적합한 탐구적 활동 여건을 조성해야 한다. 듀이의 성장 개념에 비추어 보면, 현재 한국의 진로교육정책인 ``꿈과 끼를 키우는 교육``은 학생에게 숨어있는 고정적 능력의 발현이 아니라 교호작용을 통한 경험의 전체적 성장에 그 초점을 두어야 하며, 교사는 소위 ``식물의 성장``을 돌보는 정원사의 역할보다는, 아동의 경험 상황을 통제, 조절하는 적극적 지도자의 역할을 할 필요가 있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make clear the relation of unfolding and growth in J. Dewey`s view of educational aim, and to illuminate its implications for modern education. Dewey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unfolding from within of mind, objecting to the traditional teaching method - that is, cramming from without of mind. This shows that there are some similarity between the viewpoints of Dewey and Rousseau or Froebel. However, it must be pointed out that even though the two views are similar, Dewey`s view is not identical with the theory of unfolding. According to unfolding theory, some implicit whole is regarded as given ready-made, and its perfect unfolding is regarded as an ideal of education. One of the most serious problems of unfolding theory is that it overlooks the transactions between the organism and the environment as an ontological condition of growth of the organism. Besides, the unfolding theory supposes a transcendental ideal, and leads educational activities only toward a fixed direction. Neglecting the transaction between child and environment, and only focusing on the aim of adult, results in dilution of opportunity for child to grow richly and diversely. Because unfolding theory only emphasizes an arrival to the ideal of perfection, there is no place for growth of experience primarily. Although theory of unfolding has this problem, the importance of ``unfolding`` as an educative principle can not be denied. In other words, the interest and self-expression of children caused by transaction with environment become major factor which has to be considered by teacher at the starting point of education. It is difficult to increase ability of growth of experience in easy circumstances where nothing happens. In order to educate for growth, we have not only to consider the level of children`s experience and interest, but also to provide them with some kind of appropriate conditions of inquiry activities for continuous improvement and expansion of the level. In view of Dewey`s conception of growth, ``education cultivating student`s dream and talent`` as the present policy of career education in Korea should not be focused on the unfolding of student`s potential capacities, but on the general growth of student`s experience by transaction. And teacher should pay attention to the role of positive leader to control and regulate experiential situations of the child rather than a role of gardener to take care of the growth of plants.

      • KCI등재
      • KCI등재

        좋은 수업의 조건들에 대한 비판적 검토: 듀이의 성장 개념을 중심으로

        김무길 ( Moo Gil Kim ) 한국교육철학학회(구 교육철학회) 2011 교육철학연구 Vol.33 No.3

        좋은 수업이 무엇인가 하는 것은 일률적으로 규정짓기 어렵지만, 좋은 수업의 추구는 교육자라면 누구나 희구하는 당면 과제이다. 현행 좋은 수업에 대한 관점은 주로 수업의 형태나 기술적 측면에 초점을 두는 경향이 있다. 가령, 학교현장에서 실시되는 연구수업의 평가 관점에서는, 학습목표의 제시가 분명했는지, 동기유발이 잘 이루어졌는지, 아동의 흥미와 참여도가 높은 수업이었는지, 활용한 수업모형은 어떤 것이었는지, 혹은 수업자료가 다양하고 풍부했는지 등등의 항목이 나타나 있다. 확실히 이러한 항목들은 좋은 수업을 위한 평가 준거를 마련하고 좋은 수업을 향한 최소한의 가이드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유용한 것이다. 그러나 우리가 이와 같은 평가 척도의 유용성을 받아들인다고 하더라도, 그 평가의 관점 이면에 숨어있는 교육적 의미들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왜냐하면, 좋은 수업은 단지 표면적으로 드러나는 ``학습자중심``의 활동 형태만으로 충분한 것이 아니라, 다소간 장기적인 안목에서 그 수업이 어떤 교육적 의미를 실현하고 어떤 교육적 가치를 추구하느냐에 의해서 규정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와 관련하여, 듀이의 교육철학은 이제까지 좋은 수업의 연구에 대한 반성의 계기를 마련해준다. 듀이의 성장 개념이 시사해주는 바에 의하면, 좋은 수업에 관한 일반적 아이디어들이 반드시 좋은 수업을 위한 충분조건은 아니며, 오히려 전체적인 면에서 학습자의 경험의 성장을 추구하는 것일 때에만 진정으로 좋은 수업에 접근하는 것이 된다. 그리하여 이 글의 목적은 좋은 수업에 관한 기존의 여러 관점들을 종합적으로 정리하는 데 있는 것이 아니라, 좋은 수업에 관한 기존의 일반적 아이디어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해보고 듀이의 성장 개념에 입각하여 좋은 수업을 위한 조건을 탐색하는 데에 있다. 이러한 작업은 좋은 수업을 보는 현행의 일반적 관점에 보완적 시사점을 제시해줄 것으로 기대된다. It is difficult to define good instruction in a word. However, to pursue good instruction is a common task for all educators. At the present time, viewpoints of good instruction, for the most part, tend to focus on the visible process or procedure of instruction. This tendency can be found in the measure of instruction assessment in school. For example, items that we can find in the measure are as follows. Is the presentation of instruction objective clear? Does a teacher bring about learners` learning motive? How high is the degree of interest and participation of learners? What is the instruction model that a teacher applies in the present instruction? How richly equipped are the aids or object-materials of instruction? It cannot be denied that those items are a useful guide for the teachers to put good instruction in practice. However, it is a mistake to accept the measure of instruction assessment itself as the only criterion of good instruction. Because good instruction cannot be stipulated not only by a superficial scene of instruction or by a instruction form of learner-centered education, but also have to be searched in view of realization of the educative value that the instruction intends in the long view. Related to this problem, Dewey`s educational philosophy provides a momentum of reflection about the study of good instruction. According to the implications of Dewey`s concept of growth, it can be said that the prevailing ideas of good instruction are not sufficient condition of good instruction, and that only instruction toward continuous growth of experience of learners in general, approaches to the good instruction. In this context, this study is to examine prevailing ideas of good instruction and to elucidate the conditions for good instruction.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 of this study will give us new complementary implications to the current views of good instru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