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생분신호 처리용 마이크로컴퓨터에 관한 연구

        김덕진,김낙빈,김영천,Kim, Deok-Jin,Kim, Nak-Bin,Kim, Yeong-Cheon 대한전자공학회 1982 전자공학회지 Vol.19 No.4

        A microcomputerized biomedical signal processing system has been designed and fabricated. Softwares for this system have also been developed to record and analyze ECG and EEG waveforms. In this systenm, the vectorcardiogram of ECG waveforms is formed automatically and displayed on CRT with of her usefull cardiac information. The frequency components of EEG waveform can also be analyzed in this system and the analyzed spectrum is displayed on CRT. 여러 가지 생체신묵를 측정하여 마이크로침퓨터 안에 기억시켜 두고 생체 내부 기관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적절한 프로그램을 선택하여 그 신묵를 처리할 수 있는 신묵 처리 시스템을 구성하였다. 이 시스템의 특징은 EEG, ECG 등 여러 가지 생체 신묵를 하나의 시스템으로 처리할 수 있게 한 점이다. ECG 파형은 3개 채널로 동시 측정 기록한 후 심전 벡터위를 작성하여 심박수, 심실흥분시간, 심전 백터의 절대치와 각등과 함께 CRT 함면상에 나타나게 하였다. EEG 파형은 CRT상에 주파수 성분별로 빈도와 상대진폭을 나타나게 하였다.

      • KCI등재

        연구논문 : 해광(海狂) 송제민(宋齊民)의 학문성향과 의병활동

        김덕진 ( Deok Jin Kim ) 호남사학회(구-전남사학회) 2011 역사학연구 Vol.44 No.-

        송제민은 어려운 경제난을 타개하기 위해 간척지 공사와 해산물 판매에 손을 댔다. 그 계기는 정개청 문하 수학과 백부 임지 방문을 위한 무안 왕래에있었다. 무안은 영산강과 서해를 양면에 끼고 있는 곳이다. 그는 배를 타고 나가 무인도를 직접 답사하였으며 그 과정에서 바다의 경제성을 간파했다. 그것을 실천에 옮겨 영광에 간척지 공사를 시도했지만, 관권의 개입과 주위의 만류로 중단되고 말았다. 그러나 해초와 소금을 매입하여 기아자를 구휼했고 의병들에게 제공하기까지 하였다. 이러한 경험을 토대로 선비란 모름지기 학문을 경세치용(經世致用)에 두어야 한다는 확신에 이르게 되었다. 이미 검증된 경험을 지닌 이지함을 스승으로 모시면서 의국(醫局)을 개설하여 병자를 돌보는 일까지 행했다. 그는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의병을 일으켜 김천일 휘하에 들어갔다. 상경하다가 수원에서 전라도를 방어하고 고경명을 후원하기 위해 충청도로 내려와 활약했고, 김덕령의 거의를 독려했다. 정유재란이 일어나자 남원에 들어가 방어책을 건의하기도 했다. 그런데 전란으로 가족들은 뿔뿔이 흩어지고 말았다. 첫째 아들, 둘째 아들, 넷째 아들이 피란 중에 일본군에게 붙잡혔다. 그 가운데 첫째와 넷째는 목숨을 잃었고, 둘째는 일본으로 납치되었다가 10년만에 귀국했다. 이후 그는 일본을 기어이 복수하겠다는 「와신기」를 지었고, 화의를 추진하고 있는 정부 정책을 비판하는 「만언소」를 올렸다. 이러한 의병과 집필활동은 그의 의리론(義理論)의 발로였다. Song Je-min worked on reclaimed land and sold marine products to resolve the difficult economic situation, inspired by his study under Jeong Gae-cheong and his move to Muan located between River Yeongsan and the Yellow Sea to visit his post. He personally explored desert islands on a boat and realized the economic potential of the sea in the process. Then he tried to implement what he realized and reclaim land, only to fail due to the government intervention and the people that checked his attempt. However, he succeeded in purchasing seaweeds and salt, saving the starved and providing them to loyal troops. Those experiences made him firmly convinced of the idea that scholars should use study for people. Having Lee Ji-ham whose experiences had been already tested as his mentor, Song even set up a clinic and helped the patients. Once Japanese invasion broke out in 1592, he raised loyal troops and went under the command of Kim Cheon-il. On his way to Seoul, he defended Jeolla Province in Suwon, went down Chungcheong Province to support Ko Gyeong-myeong, and encouraged Kim Deok-ryeong`s operation. When Jeongyujaeran broke out, he went to Namwon and discussed the defense line. Due to the war, however, his family members scattered with his first, second and fourth son captured by the Japanese soldiers during the war. His first and fourth son were killed, and his second son was abducted to Japan and returned to Joseon after ten years. After that, Song wrote Washingi, vowing his vengeance on Japan no matter what. He also submitted Maneonso, criticizing the government policy of promoting reconciliation. His activities with the loyal troops and writing projects were the manifestation of his Uiriron.

      • 발전 플랜트의 엑서지 해석으로부터 발전량 및 발전효율 최적화

        김덕진,이재병,강수환,Kim, Deok-Jin,Lee, Jae-Byoung,Kang, Su-Hwan 한국플랜트학회 2013 플랜트 저널 Vol.9 No.3

        발전 플랜트의 발전량 최적화 및 발전효율 최적화는 에너지공학을 전공한 전문가일지라도 이해하기 힘든 개념이다. 본 연구에서는 엑서지 및 엑서지율이라는 열역학적 상태값을 적용하여 에너지 공학을 전공하지 않은 일반인일지라도 발전량 및 발전효율 최적화 개념을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차트가 개발되었다. 발전소의 성능을 파악할 수 있는 대표적인 물성치는 주증기의 온도 및 압력이다. 개발된 차트에서는 주증기의 온도 및 압력에 따른 최대 발전량 곡선과 최대 효율 곡선이 도시되어 있으므로, 해석하고자 하는 발전소의 온도 및 압력을 차트에 적용하여 그 발전소가 얼마만큼 최대 발전량과 최대 효율에 접근해 있는지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Even if an expert who has majored energy engineering, it is a difficult concept to understand power output optimization and power efficiency optimization. In this study a diagram applying thermodynamic state value as specific exergy and exergy ratio was developed. Although general peoples who did not major energy engineering can be easily understand the concept of power output optimization and power efficiency through the developed diagram. A represented property that can identify the performance of power plant is the main steam temperature and pressure. At the developed diagram the maximum power output line and maximum power efficiency line are shown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and pressure of main steam. Therefore we can identify how much a power plant approach to maximum power output and maximum power efficiency.

      • KCI등재

        자이로 도플러 센서와 USBL을 통한 수중체 위치추적 알고리즘개발

        김덕진,박동원,박연식,Kim, Deok-Jin,Park, Dong-Won,Park, Yeon-Sic 한국정보통신학회 2006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10 No.11

        This paper reports the absolute position tracking algorithm of underwater vehicles such as ROV, AUV in global region by fusing sensor informations of IMU, DVL, USBL, DGPS etc. This algorithm is to be used in the position tracking of the 6,000m class deep-sea unmanned underwater vehicle, HEMIRE for scientific exploration. 본 논문에서는 IMU(Inertial Motion Unit), DVL(Doppler Velocity Log), USBL(Ultra Short Base Line) DGPS(Differential Global Positioning System) 등의 센서로부터 취득된 데이터를'융합하여 ROV(Remotely Operated Vehicle)와 AUV(Autonomous Underwater Vehicle)와 같은 수중체의 위치를 지구 전체영역에서 추정하기 위한 기본적인 알고리즘을 다루고 있다. 본 논문에 소개된 알고리즘은 6,000m급 과학 조사용 심해무인잠수정인 해미래[1]의 수중 위치추적에 사용될 예정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