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대학생들의 여가활동 현황에 관한 연구

        김덕주 ( Deok Ju Kim ),조미림 ( Mi Rim Cho ),용미현 ( Mi Hyun Yong ),김민연 ( Min Yeon Kim ),양영애 ( Yeong Ae Yang )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2014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Vol.6 No.1

        연구목적 본 연구는 학생들의 여가활동에 관한 실태를 조사하고 현황을 파악하여, 향후 대학생들에게 다양한 여가참여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방법 조사연구를 위하여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연구기간은 2013년 5월 2일부터 2013년 7월 3일 까지 였으며, 우편과 이메일을 통해 배포된 310부의 설문지 중 회수된 240부(77.4%)를 t-test와 ANOVA를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시간 소일적 여가활동은 여성들이 더 자주 하였으며, 놀이 및 오락적 여가 활동은 남성들이 더 자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이 높아질수록 시간 소일적 여가활동으로 보내는 시간이 많았다. 대상자의 학년이 낮아질수록 시간 소일적 여가활동으로 보내는 시간이 많았으며, 고학년으로 갈수록 그 수치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종교에 따라서는 신체적 여가활동과 사교적 여가활동에서 매우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특히, 기독교의 경우 신체적 여가활동과 사교적 여가활동 모두 자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용돈의 액수가 적을수록 자기 개발적 여가활동에 보내는 시간이 줄어 듦을 알 수 있었다. 결론 여가 활동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국가의 적극적인 정책을 바탕으로 대학생들이 이용할 수 있는 여가 시설을 확충하고,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 및 보급하는 것이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대학생들의 여가에 대한 인식 재고와 여가활용에 대한 대학생들의 관심과 이해가 선행 되어야 할 것이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students` leisure activities, the future for college students to participate in a variety of leisure aimed to provide information. Methods : The questionnaire was to survey. The study period from May 2, 2013 to July 3, 2013, distributed 310 questionnaires collected in 240(77.4%) over the t-test and ANOVA analysis. Results : The higher the age of the time spend time there were many activities. Depending on the subject of religious activities in the physical and social activities and there was a very significant difference.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Christian social activities and activities in both physical and showed that often. The smaller the amount of pocket money self-development are reduced time spent on leisure activities ever could see. Conclusion : Requires the activation of leisure activities on the basis of the country`s active policy of leisure facilities available to students in this expanding, and the development and dissemination of a variety of programs that will be done first. To do this, students` awareness of leisure and recreational interests and understanding of the students should be preceded.

      • KCI등재

        노년층의 여가활동 참여실태 및 만족도에 대한 조사연구

        김덕주(Kim, Deok-Ju)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 2020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Vol.12 No.2

        연구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노년층의 여가활동의 참여실태와 만족도, 그리고 여가공간의 이용 실태 및 여가공간의 인식과 만족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2019 국민여가활동조사」원시자료를 이용하여 진행하였다. 표본 총 10,060명 중 60세 이상의 노년층 응답자 2526명을 대상자로 선정하였으며, 대상자들의 여가활동 참여실태, 여가활동의 만족도, 여가공간 이용실태, 여가공간 인식 및 만족도를 알아보았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6.0을 이용하였으며, 기술통계, 독립표본 t 검정 및 일원배치분산분석(ANOVA)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통계적인 유의수준은 p<0.05로 하였다. 연구결과 : 지난 1년간(2018년 8월 1일~2019년 7월 31일)을 기준으로 하여 결과를 제시하였다. 가장 많이 참여한 여가활동은 휴식활동 이었으며, 휴식활동 중에서도 TV 시청이 가장 많았다. 정규 근무를 하지않는 경우, 가구소득이 높은 경우, 대도시에 거주하는 대상자의 여가활동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집 이외 가장 많이 이용한 여가 공간은 아파트 내(집 주변) 공터와 재래시장이 가장 많았고, 학력이 높고 동거 가구원 수가 2인 이상인 경우, 가구소득이 높은 경우 여가 공간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 및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결론 : 노년층의 여가 참여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지역별 특성을 고려한 공공 여가시설의 확충이 필수적이다. 또한, 가족들과 함께 참여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 구성, 접근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온⋅오프라인을 통한 적극적인 홍보 등을 제공해야 할 것이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actual status and satisfaction of leisure activities and the actual status and satisfaction of used leisure space among the elderly in Korea. Methods : This study was conducted using raw data of the 「2019 National Leisure Activity Survey」. Of the total 10,060 samples, 2526 respondents aged 60 years or older were selected as subjects. The subjects satisfaction of leisure activities, use of leisure space, recognition and satisfaction of leisure space were investigated. SPSS 26.0 was used for the collected data, and it was analyzed by performing technical statistics, independent t test, and ANOVA. The significance level of the statistics were p<0.05 Results : Results were presented based on the past year(August 1, 2018 to July 31, 2019). The most involved leisure activities were relaxation activities, and TV was the most frequent among relaxation activities. In the case of non-regular work, high income, people living in large cities, the satisfaction of leisure activities was high. The most frequently used leisure spaces were apartments(around the house) and traditional markets. When the educational level was high and the number of household members living together was two or more, the overall perception and satisfaction of leisure space were high. Conclusion : In order to increase the participation of older people in leisure, it is essential to expand public leisure facilities considering regional characteristic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provide various programs to participate with the family and to actively promote them through on-offline to ensure accessibility.

      • 부산지역 작업치료사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관한 연구

        김덕주(Kim, Deok Ju),조미림(Cho, Mi Rim),양영애(Yang, Yeong Ae) 한양대학교 고령사회연구원 2013 한양고령사회논집 Vol.4 No.1

        This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llect basic date in quality of life related to health in occupational therapist. Data from 72 occupational therapist was collected from February to April 2013 using a questionnaire located in Busan. A total of 72 respondents’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for Windows 18.0.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lower than the average of the items showed health status change, body pain, general health, vitality, mental health. Overall, mental health was lower than physical health. The health of the subjects according to gender level was higher in men than in women, irregular, depending on the type of employment than full-time degree lower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The longer working hours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showed lowered levels, the presence of a break at work also a lot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had an important effect. Occupational therapists, physical and mental stress caused a lot of jobs, so rehabilitation therapists working in related fields in order to develop their business due to the stress they feel by minimizing the number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can increase the level of effort that is needed. 본 연구의 목적은 보건의료 전문직의 하나인 작업치료사들의 건강관련 삶의 질을 파악하고자하는데 있다. 2013년 2월 25일부터 4월 2일까지 부산지역에서 근무하고 있는 작업치료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72명이 응답한 설문지 자료를 SPSS for Windows 18.0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건강관련 삶의 질 항목 중 평균보다 낮은 수치를 보인 항목은 건강상태변화, 신체통증, 일반적 건강, 활력, 정신건강 항목 이었으며, 전반적으로 정신적 건강이 신체적 건강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연구대상자의 건강수준은 남자가 여자보다 높았으며, 고용 형태에 따라서는 비정규직이 정규직보다 건강관련 삶의 질 정도가 낮았다. 근무시간과 직업종사기간이 길어질수록 건강관련 삶의 질 수준은 낮아짐을 보였으며, 근무 중 휴식시간의 유무 또한 건강관련 삶의 질에 많은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작업치료사는 신체적, 정신적으로 스트레스가 많이 발생하는 직종이므로 재활관련 분야의 발전을 위해서는 작업치료사들이 업무로 인하여 받는 스트레스를 최소화함으로써 그들이 느끼는 건강관련 삶의 질 수준을 높여줄 수 있는 노력이 필요하다.

      • KCI등재

        코로나19 이후 치매안심센터 작업치료사의 비대면 프로그램 참여 경험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김덕주(Kim, Deok-Ju)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 2021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Vol.15 No.2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치매안심센터에서 근무하는 작업치료사들을 대상으로 코로나19 이후에 시행한 비대면 프로그램의 참여 경험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 치매안심센터에서 근무하는 작업치료사 5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Yin이 제시한 원칙에 근거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비대면 프로그램의 참여 경험에 대한 자료 분석은 Creswell이 제시한 질적 연구의 분석을 토대로 하였다. 연구결과 : 분석 결과 32개의 의미단위, 13개의 하위범주와 4개의 핵심주제로 분류되었다. 핵심 주제는 ‘업무의 변화로 인한 어려움’, ‘현실 상황에 대한 수용 및 비대면 프로그램 개발’, ‘예상치 못한 상황에 대한 대처능력의 향상’, ‘코로나19가 종식된 이후의 상황예측’ 이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코로나19로 인해 대면 업무의 제한이 시작된 이후, 변화되는 상황에 대한 예측이 어려워 비대면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것에 시행착오를 겪기도 하였으나, 업무가 가중되는 부담에도 불구하고 성공사례분석 및 끊임없는 노력을 통하여 현실적으로 시행할 수 있는 비대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예상치 못한 상황에 대한 대처능력이 향상되었고, 작업치료사로서 역량이 강화됨을 경험하였다. 결론 :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비대면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치매안심센터 및 관련 종사자들에게 유용한 자료를 제공하고, 추후 코로나19가 종식된 이후의 상황을 예측하여 효율적으로 업무를 수행해 나가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Objective :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xperiences of participating in the non-face-to-face program after COVID-19 for occupational therapists working at Dementia care centers, and a qualitative case study was used as the design of the study. Methods : Five occupational therapists working at the Dementia care center were selected as study participants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and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the non-face-to-face program was analyzed based on the analysis in the qualitative study presented by Creswell. Results : As a result of the analysis, 32 meaning units, 13 subcategories, and 4 core subjects were classified. The key topics were ‘difficulty due to change in work’, ‘acceptance to real situations and development of non-face-to-face programs’, ‘improvement of ability to cope with unexpected situations’, and ‘prediction of situations after the end of COVID-19’. Occupational therapists experienced trial and error in constructing a non-face-to-face program because it was difficult to predict the changing situation after face-to-face work restrictions began due to COVID-19. A non-face-to-face program that can be implemented realistically was developed and applied through an unprecedented effort. Conclusion :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useful data will be provided to the Dementia care center and related workers who run non-face-to-face programs, and it will help them to work efficiently by predicting the post-COVID-19 situation in the future.

      • KCI등재
      • KCI등재

        성인 신체장애인의 일상생활활동능력이 배우자의 부양스트레스와 우울에 미치는 영향

        김덕주(Deok Ju Kim) 한국산학기술학회 2016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7 No.12

        본 연구의 목적은 성인 신체장애인을 부양하는 배우자의 부양스트레스, 우울, 장애인의 일상생활활동능력을 살펴보고, 각 영역들의 상관관계 및 장애인의 일상생활활동능력이 배우자의 부양스트레스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2016년 7월부터 8월까지 S시와 K도에 소재한 2개의 병원에서 재활치료를 받고 있는 장애인들의 배우자 86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부양스트레스 총점은 71.43±17.78점 이었으며, 부양스트레스 하위항목 중 경제적 스트레스와 심리적 스트레스가 다른 항목보다 높았다. 우울총점은 50.34±26.41점으로, 일반 정상 성인들의 평균점수보다 다소 높았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부양스트레스와 우울을 살펴본 결과, 연령이 많은 여성의 경우, 부양비에 대한 지출이 많고 부양시간이 많은 경우, 장애인의 연령이 젊고, 병명이 뇌졸중인 경우 부양스트레스와 우울지수가 높았다. 부양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장애인의 연령, 장애기간으로 나타났으며, 장애인의 일상생활활동능력은 부양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우울에는 장애인의 연령, 장애유형 및 등급, 장애인의 일상생활활동능력 모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양가족들의 스트레스 및 우울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경제적, 신체적 혹은 심리적으로 도움을 줄 수 있는 실질적인 정책적 지원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aregiving stress and depression of spouses who support adul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calculate the activity of daily living (ADL) of the disabled and determine the correlation of each area and the influence of their ADL on the caregiving stress and depression of spouses. This study was performed on 86 spouses of the disabled who were receiving rehabilitation treatment in two hospitals located in S and K cities from July to August 2016.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total caregiving stress scores were 71.43±17.78 and the economic and psychological stresses among low items were higher than the other items. The total depression score was 50.34±26.41, which was slightly higher than the average of normal adults. The caregiving stress and depression were high for aged women, for cases of high caregiving expense and time, for young disabled and for stroke disease. Factors that affected the caregiving stress were the age of the disabled and the duration of their disability; their ADL had no influence on the caregiving stress. The result showed that the depression affected their age, disabled type and grade, and ADL. Actual policy support capable of giving economic, physical, and psychological assistance should be prepared to reduce caregiving stress and depression.

      • KCI등재

        장애인보조기구 수리서비스 현황 및 만족도에 관한 연구

        김덕주(Deok-Ju Kim),양영애(Yeong-Ae Yang) 한국콘텐츠학회 2016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6 No.6

        본 연구는 국내 장애인보조기구 수리서비스에 대한 현황 및 만족도를 파악하여 수리서비스에 대한 문제점을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하여, 효과적인 발전방안을 알아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설문조사는 2015년 7월부터 2015년 10월까지 전국에 있는 장애인 750명을 대상으로 시행하였고, 최종 회수된 280부를 분석하였다. 수리의뢰가 많았던 품목은 대부분 이동보조기구였으며 수리 의뢰는 대부분 구입업체와 장애인보조기구 전문 수리기관에서 시행되었다. 만족도 조사에서 일부 불만족의 사유로는 수리기간이 길고 수리접수 및 절차의 복잡성으로 나타났다. 장애인보조기구 수리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중앙정부의 역할로는 수리지원사업에 대한 홍보 확대, 수리지원 대상품목 및 지원금액 기준마련, 장애인보조기구 수리를 위한 법적체계 마련이 매우 필요하다는 의견이 많았다. 보다 효과적이고 체계적인 장애인보조기구 수리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수리서비스 절차의 체계 확립, 시장가격을 반영한 부품별 수리단가 제시 등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atisfaction with repair service of assistive technology devices for the disabled and the current state of the service, find the problems of the repair service, and to seek an effective development plan. This study had been conducted from July to October, 2015, with 750 disabled, and 280 completed questionnaires were returned and analyzed. Among assistive technology devices, the devices that required repair most were mobility devices. Repair was made mostly in purchase agencies and the repair institute. In the satisfaction survey, the causes for somewhat dissatisfaction were long repair time and complicated repair application and procedure. With regard to the central government’s roles to active repair service for assistive technology devices, it was found that it was very necessary to expand the promotion of repair support business, come up with the criteria about repair support items and support amount, and establish the legal system to repair assistive technology devices. Therefore, in order to provide more effective and systematic repair service for assistive technology devices, it will be necessary to establish repairing process of assistive technology devices and standardization of costs that repair assistive technology devices.

      • 한국 노인보건의료체계의 현황과 발전방향에 대한 연구

        김덕주 ( Deok Ju Kim ),양영애 ( Young Ae Yang )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2012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Vol.4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보건의료체계의 전반적인 현황에 대한 고찰, 문제점의 도출, 일본의 노인보건의료체계에 대한 검토 등을 기반으로 하여 우리나라의 현실에 적합한 노인보건의료체계의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는 것이다. 문헌 연구를 통해 한국의 노인보건의료체계의 현황, 문제점, 일본의 사례를 검토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하여 발전방향을 제시하였다. 현재 시행되고 있는 보건의료정책에는 노인보건의료서비스, 노인건강지원사업, 노인재가의료복지, 인장 기 요양보험 등이 있으며, 노인들을 대상으로 다양한 복지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이들은 급성기중심의 의료체계, 건강검진의 부정기적인 실시,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노인과 저소득층 에게만 제공되고 있는 노인재가의료복지 등 다양한 문제점들을 노출하고 있다. 일본의 사례를 통해 알 수 있듯이 정기적이고 꾸준한 플랜을 세워 노인보건의료정책을 수립해 나가고, 건강증진, 질병예방, 조기진단·조기치료 등과 같은 예방의료를 중요시 하며, 질환의 종류와 기능장애의 정도에 따라 분리 수용할 수 있는 의료체계를 마련한다면 의료비 절감과 더불어 전문화된 노인보건의료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recognizes about the present situations of elderly health care system, and to recognize a direction of elderly health care system actuality of our country. We reviewed that elderly health care system, problem, case of Japan through a study of literature, which is a basis that offers vitalization of elderly health care system. In health medical treatment policy that is enforced present is elderly health support business, elderly home medical welfare, elderly long term care insurance ect. However, this policies are displaying problem in a lot of places. Therefore, finding solution about these problems, establish policy laying on-time and constant plan, prevention medical care such as health promotion, disease prevention, early diagnosis, early treatment, may offer elderly health care system that is specialized with medical expense curtailment.

      • KCI등재

        노인 운전자에게 적용한 컴퓨터 기반 운전중재 프로그램에 관한 체계적 고찰

        김덕주(Deok Ju Kim) 한국산학기술학회 2019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0 No.4

        본 연구는 노인 운전자를 대상으로 한 컴퓨터 기반 운전중재 프로그램에 대해 체계적으로 분석함으로써, 노인을 위한 운전중재에 대한 근거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 분석을 위해 2009년 1월부터 2018년 10월까지 출판된 문헌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국외 문헌은 ‘Pubmed, Goggle Scholar, Science Direct’에서 검색하였고, 국내 문헌은 ‘RISS, Keris, KISS’를 통하여 검색하였다. 총 359편의 논문이 검색되었고, 포함기준과 배제기준을 바탕으로 분석하여 최종 10편의 논문이 분석에 사용되었으며, 근거수준 Ⅰ이 8편(80%), Ⅲ가 2편(20%)이었다. 분석결과 노인에게 적용한 컴퓨터 기반 중재 방법에는 운전시뮬레이터가 7편(70%)으로 가장 많았으며, 비디오 영상훈련 2편(20%), 닌텐도 Wii 프로그램이 1편(10%)을 차지하였다. 대부분의 연구에서 운전 시뮬레이터는 노인들의 인지영역과 시지각 능력을 훈련하고, 다양한 모의 상황에서 위험 상황에 대처하는 능력을 향상시켜 주었으며, 다른 중재방법들도 노인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노인 운전자를 평가한 평가 항목에서는 운전 시뮬레이터를 사용한 운전수행능력 평가가 가장 많았으며, 그 외 주의력, 시공간 능력, 인지기능, 위험인지 평가, 우울 및 불안평가 등이 시행되었다. 노인 운전자를 대상으로 한 컴퓨터 기반 운전중재 프로그램은 다양한 영역들을 훈련하고 평가하기에 적절하며, 안전운전을 위한 중재도구로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systematically analyzed computer-based driving intervention programs for seniors, to provide the academic background for driving intervention for seniors. Articles published from January 2009 till December 2018 were researched and analyzed. "PubMed, Google Scholar, and Science Direct" were used to search articles published overseas, and "RISS, KERIS, and KISS" searched for articles published in Korea. Based on the inclusion and exclusion criteria, totally 359 papers were retrieved, and 10 articles were finally analyzed; 8 articles (80%) were evidence level I, and 2 articles (20%) were evidence level III. Amongst the computer-based interventions, driving simulators (70%) were the most common, followed by two video image training (20%) and one Nintendo Wii program (10%). In most studies, driving simulators trained the cognitive and visual abilities of seniors and enhanced their abilities to cope with risk situations under various simulated circumstances. Other interventions were also reported to have a positive effect. For evaluating elderly drivers, the driving performance evaluation using a driving simulator was the most common; in addition, evaluations of attention, space-time ability, cognitive function, risk perception, depression and anxiety were also commonly used. We believe that it is appropriate to employ computer-based driving intervention programs for seniors to train and evaluate various domains. We expect that these interventions can be used as an effective tool for safe driv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