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지역기록화의 방향과 전략

        김덕묵(Kim, Duk-Muk) 안동대학교 민속학연구소 2017 民俗硏究 Vol.0 No.35

        지역기록화는 수집과 기록의 생산이라는 두 가지 측면에서 접근할 수 있다. 기록학계에서는 지역기록화에 지대한 관심을 가지고 있었으나 논의의 중심은 수집에 있었다. 반면 민속학계에서는 민속을 기록해야 한다는 인식은 있었으나 지역공동체에서 구체적으로 어떻게 기록을 해야 하는지에 대한 방법을 검토할 정도로 논의가 확장되지는 못했다. 본고에서는 양 학문의 한계를 극복하고 장점을 살린 민속기록학적 입장에서 지역에서의 기록화 방안에 대해 검토하였다. 지자체에서는 지역기록화와 관련하여 그동안 향토지 발간, 재개발지역 기록화, 디지털콘텐츠 구축과 같은 사업이 펼쳐졌으나 이를 위한 전문기관이나 전문인력과 같은 제반조건이 구축되지 않았기 때문에 전문성을 갖추지 못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총체적인 입장에서 지역기록화를 위한 방법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Regional documentation can be approached from two perspectives: collection and production of records. Archival studies has had a great interest in Regional documentation, but the focus of the discussion was on the collection. On the other hand, there was a recognition that minsokhak(folklife study: The author defines minsokhak as a study of folklife and its applications) should record folklife, but the discussions did not expand enough to examine how to record them specifically in local community. In this paper, we examined the ways of recording in folklife archival science which overcame the limits of both studies and utilized the merits. Local governments have been engaged in projects such as publishing local area study material, recording of redevelopment area and construction of digital contents. However, it did not have the expertise because it did not have professional institutions or professional manpower for it. Therefore, in this paper, we tried to find a method for regional documentation from a general standpoint.

      • KCI등재

        경기지역 종가제례음식 연구 -불천위제 음식의 유형과 재료를 중심으로

        김덕묵(Kim, Duk-muk) 한국국학진흥원 2020 국학연구 Vol.0 No.42

        일반 가정의 기제사에 비해 불천위제 음식은 가풍으로 내려오는 전통성과 형식을 보다 잘 유지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고는 한국국학진흥원에서 종가제례음식 자료집성 및 DB화 사업에서 실시한 자료를 기초로 하여 경기지역의 불천위제 음식의 종가별 현황을 적, 편, 탕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어떤 육류와 어류가 제례음식에 사용되고 어떤 음식의 재료로 쓰이고 있는지 종가별 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또한 이러한 경기지역 23개 종가에서 나타나는 제례음식의 다양성은 어디에서 오는 것인지 의문을 가지고 생태환경, 가풍, 조리주체의 변화, 조상을 위한 정성과 음복을 위한 사람들의 기호 간 역학관계에서 그 동인을 찾아보았다. Compared to ordinary household ancestral ritual, the food of Bulcheon-wi ancestral ritual maintains the tradition and form of descending into the family style. This paper is based on the data conducted by the Korean studies institute in the data collection and DB project of the Jong-ga ancestral ritual food. In particular, we looked at grilled meat(jeok), rice cakes(pyeon) and soup(tang) in the food of Bulcheon-wi ancestral ritual. It also analyzed which meats and fish were used in Bulcheon-wi ancestral ritual foods and what foods were used as ingredients. In addition, we examined where the diversity of Jong-ga ancestral ritual foods comes from in Gyeonggi-do.

      • KCI등재

        황해도 진오귀굿 연구

        김덕묵(Kim Deok-muk) 한국무속학회 2000 한국무속학 Vol.0 No.2

        이 논문에서는 황해도 만신들의 진오귀굿을 참여관찰과 대담을 중심으로 자료를 수집한 후, 그것을 토대로 각 무당들의 진오귀굿의 차이점이 어떠한지를 살펴보았다. 또한 그러한 차이점이 나타나는 원인을 분석하였다. 특히 이 과정을 통해서 한 지역의 굿도 여러 무당들에 따라서 다양한 양태로 나타나고 있는 점을 굿의 절차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굿의 절차를 살펴보면 만신들마다 그 차이점이 확연하게 드러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첫째, 주당물림 다음에 하는 거리를 ‘안등신좌정거리’, ‘영실감흥거리’라고 하는 만신이 있는 반면에 ‘초부정’, ‘초감흥’이라고 하는 만신이 있다. 둘째, 시왕제석을 모시는가? 안모시는가? 정학봉, 이선비, 왕희엄마의 경우에는 시왕제석거리가 없다. 셋째, 대감을 모시는가? 안 모시는가? 넷째, 조상을 모시는가? 안 모시는가? 이러한 차이점을 나타내는 원인으로는 황해도 내에서의 다양한 지역적인 차이점, 신어머니가 달라서 배워온 방식이 다른 점, 같은 신어머니에게서 굿을 배웠다고 해도 巫 자신이 어떻게 이해하고 배웠는지에 따라서도 달라질 수 있는 점, 굿의 내적요인에 따른 차이점, 즉 단골집의 사정 등에 따라서도 달라질 수 있는 점을 들 수 있겠다. This thesis has the purpose to examine Jinokwi-gut(진오귀굿) of Hwanghae-do Mudang(황해도 무당) focusing on research of Mudangs and the differences on practicing the gut(굿) and its causes. And through the examination, focusing on gut procedures, it is found that even in a single region, the guts can differ each other according to each Mudang's practice. Taking the gut procedures into the consideration, for this comparative study, it mainly relied on participant observation and interview method. The differences of each Mudang on gut practice can be understood by analyzing the gut procedures. Firstly, some Mudangs call a geori(거리) after judangmulrim(주당물림) as 'andeungshinjwajeong-geori'(안등신좌정거리) or 'youngshilgamheung-geori'(영실감흥거리). But, other Mudangs call it as 'chobujeong'(초부정) or 'chogamheung'(초감흥). The georis with similar contents could be called differently, of course. But, it's not a simple matter of naming. Among Mudangs insisting on 'chobujeong' or 'chogamheung', during 'chogamheung' practice, Chung Hakbong(정학봉), Yi Sunbi(이선비) and Wanghi mother (왕희엄마) entertain all of Mandangshin(만등신). But, Kim Hwangryong(김황룡) and Kim Keumhwa(김금화) make the Mandeungshin seated and only entertain shin(神) related to Youngshil(영실). This difference is the most important in that the character of a gut itself can be changed completely. Kim Hwangryong and Kim Keumhwa's view and gut practices seem to be the same as the Mudangs who use the terms such as 'andeungshinjwajeong' or 'youngshilgamheung' except using different terms. Secondly, it is the point of issue that whether Shiwangjeseok(시왕제석) is entertained or not. Chung Hakbong, Yi Sunbi and Wanghi mother don't include in their gut practice the Shiwangjeseok -geori. Shingwang is important god of korean Musok, who is entertained for sareonggut(사령굿) all around the country. So, if Shiwang is not entertained, what's the problem? Was it wrongly succeeded or omitted? Otherwise was there such forms of jinokwigut in some regions? It should be under more consideration. Thirdly, it is also the point of issue that whether Daegam(대감) is entertained or not. As a principle, in jinokwi, Mandeungshin is placed and only Youngshil related gods are entertained and other gods including Daegam and Janggun(장군) are not entertained. Moreover, jinokwi is a kind of gut for the purpose of recently dead man's regretless departure from this world by guiding road to Jeoseung(저승) and jarigeoti(자리걷이) meaning arrangement of the dead man's lying place. So, such performances entertaining other gods including Daegam by dancing and music is not acceptable with jinokwigut itself. Fourthly, it should be carefully researched that whether ancestors are entertained or not, because it is treated somehow differently by Mudangs respectively. In a general gut, ancestor-geori(조상거리) is separately practiced so that ancestor may come inside and is entertained. But, in jinokwi, instead of ancestor-geori, it is only practiced through cutting suwang-bae(수왕베) and saja-bae(사자베). Naturally, if ancestor clothes are prepared, it is also treated like bae. The reasons of the differences mentioned above are as follows. Various regional differences in Hwanghae-do, difference of learned style from Mudang's Shin mother(신어머니), each Mudang's different understanding though learned from same Shin mother, differences caused by internal matter of gut itself(conditions of dangol-jip(단골집)).

      • KCI등재

        연극적 측면에서 분석해 본 황해도굿

        김덕묵(Kim Duk-Muk) 한국무속학회 2010 한국무속학 Vol.0 No.21

        이 논문은 황해도굿에 대한 참여관찰을 한 후 그것을 연극적 측면에서 분석해 보았다. 다만 예술적 입장에서의 소재주의를 넘어 무당이나 단골과 같은 종교의례에 참여하는 종교인의 입장에도 주목하였다. 따라서 연극에 내포되는 풀롯에 견주어보며 황해도굿의 일반적 절차와 그 속에 추가되는 단골의 이야기를 이중적 구성으로 나누어 분석해 보았다. 그 결과 굿거리의 외형적 틀(기본적 구성틀)뿐만 아니라 그것에 투영되는 단골의 실제 이야기와 의례행위의 변수로 작용하고 분절화된 각 굿거리를 통합적으로 이끄는 ‘가리’의 원인(추가적 구성틀)에 주목할 수 있었다. 또한 단골의 입장에서 등강신격을 고려하였다. 이 글은 이러한 점에서 연극적 측면뿐만 아니라 종교적 측면에도 주지하여 황해도굿의 움직이는 실제를 보고자 하였다. 즉, 황해도굿의 짜여진 틀이나 행위 방식의 실체에 주목하였으며 이 연구를 통해 연극적 측면에서의 굿 읽기가 단순히 연극학적 측면뿐만 아니라 일반적으로 무속을 이해하고 해석하는데도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In this thesis I have analysed the theatrical aspects of Hwanhaedogut(shamanistic rituals of Hwanghae Province) on its participants. The analysis is has been spent not only from the point of view of art value, but also from a point of the religious person, such as the shaman or the client, participating in religious ceremonies. I tried to compare and connect the plot during the process of Hwanhaedogut and the client's story added to it, having dual structure that they share with each other. Thus it will be possible to concentrate not only on external structure of gut but also on reflections of client's real stories and "kari (the causes of problems that client have)", combining gut's each part in the entire ritual behavioral variables as well. moreover I have considered spirits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client. This thesis considers not only the theatrical aspects but also the practical movement of Hwanhaedogut that focuses on the religious aspects.

      • KCI등재

        한국민속학의 위상과 전문성 강화를 위한 개론서 집필 방향

        김덕묵(Kim, Duk-Muk) 비교민속학회 2016 비교민속학 Vol.0 No.59

        근대적 환경에서의 민속연구는 민간전승(folklore)에 대한 연구로 독립과학으로서의 위상보다는 ‘민속’이라는 접두어가 들어가는 연구대상을 다루면 민속학으로 인식되는 ‘소재주의식" 연구이다. 이러한 분위기는 당연히 독립과학으로서의 발전을 저해하고 민속학이 성숙하는 데 한계로 작용하여 시간이 지나도 제자리 맴돌기라는 방황을 되풀이하게 하였다. 현재 민속학은 미래지향적인 방향성과 독자적인 색깔이 약하다. 또한 사회 및 한국학에 충분히 기여해야 함에도 학문적 역할을 제대로 하지 못하고 있다. 소재주의식 민속학이 아니라 고유의 방법론과 전문성을 바탕으로 한 독립학문으로서 민속학 구축은 더 이상 연기될 수 없다. 21세기 현대사회에서 민속학이 도태되지 않으려면 전략을 갖추고 새로운 민속학으로서 능동적으로 대응해야 한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21세기 현대 한국사회에 대응하고 독립과학으로서 위상을 갖춘 새로운 민속학을 제안하며 그것에 입각한 개론서 집필 방향을 모색해 보았다. Researches on minsok(民俗) in modern terms examined folklore. Minsokhak was recognized as a generic term covering broad research subjects with ‘minsok’ as a prefix, not as an independent science. That hindered minsokhak to develop and mature as an independent discipline. Thus minsokhak needs futuristic reorientation and independent standpoint to contribute to Korean society and Korean studies currently. It is urgent to steer minsokhak to a new direction of independent discipline with characteristic methodology and specialty. To survive in contemporary society minsokhak requires a new strategy to become neo-minsokhak. Considering the current situation of minsokhak, the author suggests a new direction in writing an introductory book of minsokhak as an independent discipline to cope with contemporary Korean society in the 21st century.

      • KCI등재

        현대도시사회에서 무속용품의 유통에 대한 현지연구

        김덕묵(Kim Duk-Muk) 비교민속학회 2010 비교민속학 Vol.0 No.41

        현대도시사회에서 무당이 사용하고 있는 물질을 논할 때 우리는 만물상을 빼놓을 수 없다. 만물상에서 유통되고 있는 물품을 통해 우리는 그것의 최종목적지인 무당의 신당에 채워지는 물질의 실태를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오늘날 무속의 물질을 논할 때 만물상에 대한 논의는 반드시 검토되어야 할 분야이다. 이 논문에서는 성남지역의 만물상에 대한 현지조사를 실시하여 만물상의 현황과 그 속에 진열된 물품을 알아보았다. 또한 만물상이 지역 무속계에서 어떠한 기능을 하며 만물상을 왕래하는 소비자, 유통업자, 생산자와의 상거래 관행 등을 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현대 도시사회에서 무속용품의 변화상과 그 속에 함축된 사회ㆍ문화적 의미를 알아보았다. When commenting on the items used by a shaman in modem urban society, we cannot leave out the manmulsang(a store selling shamanic items). This is because through the items distributed by the manmulsang, we can understand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items in their final destination, the shamanic shrine. Therefore when discussing shamanic items in the present day, discussion of the manmulsang is an area that must be investigated. In this paper an on-site study was conducted on the manmulsang of the Seungnam area and the present state of the manmulsang and the items displayed within was looked into. Also what function a manmulsang has in the shamanic community and the commercial dealings of the consumers, distributors and the producers who frequent the manmulsang was examined. Through this, the state of change of shamanic items in modem urban society and the social, cultural significance implied within was investigated. The shamanic items which a shaman consumes in modem urban society transcend individual tastes and behavior and ate socially structured. These days commercialized shamanic items amuse the consumer interest of the shaman. New styles and fads appear, commodities ate displayed and advertised in the manmulsang and the shaman is coerced into the endless consumption of new items.

      • KCI등재

        무속의례의 물적 토대와 재화의 분배

        김덕묵(Kim Duk-Muk) 비교민속학회 2009 비교민속학 Vol.0 No.38

        이 논문은 무속에서 의례가 생성되기 위해서는 어떻게 물적 토대가 구축되고 의례를 행한 후 재화는 어떻게 분배되는 지에 대한 연구이다. 무속의례는 풍부한 물적 토대를 필요로 한다. 무속의례의 물적 토대가 되는 것은 단골이다. 현대 도시사회에서 단골은 어려움에 처했을 때 그것을 극복하기 위해 무당을 찾게 되며 무당을 통해 신에게 정성을 바치기 위해 무속의례를 하게 된다. 오늘날 황해도굿을 하는 무당 사이에서 굿을 한 후 인건비를 분배하는 방식은 몫으로 나누는 방식, 일당제로 나누는 방식, 두 유형의 절충식이 있다. 각 분배방식은 장단점이 있으며 단점은 무당들의 인간관계에서 갈등요소로 작용하기도 한다. 제물의 분배에 있어서는 제주인 재가집이 우선권을 가지며 다른 참여자들도 각자의 위치에 띠라 재물을 분배받는다. 단골의 정성바침과 재화의 분배 등 재화의 생산과 소비의 논리 속에는 그것이 신과 인간, 인간 상호간의 관계설정을 매개하는 코드이며 행위주체들의 욕망을 암시한다. 단골은 재화를 통해 자신의 마음을 전달하여 행복을 얻고자 하며 신은 그런 단골의 정성을 받고자 한다. 무속 의례에서 소요되는 재화는 이러한 행위주체들의 욕망이 교환되는 수단이다. 재화의 분배에 있어서는 모두를 납득시킬 수 있는 평등한 분배논리가 성립된다. 이러한 관점은 만물의 조화를 추구하는 무속의 보편적인 논리와 같은 맥락이다. 우리는 굿을 통해 생산된 재화의 소비형태에서 이러한 논리를 볼 수 있다. This paper examines what material basis must be provided and after the ritual how wealth must be distributed in order for a shamanic ritual to take place. Shamanic rituals require an abundant material basis. The material basis of shamanic rituals is it's clients. In a modern, urban environment, when clients face difficulties they seek shamans to overcome these difficulties, and perform shamanic rituals in order to show their devotion to spirits through shamans. Among shamans who perform the Hwanghaedo shamanic rituals today, there are three ways of distributing the cost of labor after a shamanic ritual : one according to one's share, another by a day-rate system and third, a combination of the two. Each method of distribution has its merits and demerits and a demerit is that this sometimes causes conflict between the relations of shamans. In the distribution of wealth, the client's household which hosts the ritual has first priority and other participants receive wealth each according to their position. In the logic of the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wealth, the client's offering of devotion and the distribution of wealth etc., is included a code which includes the relationship between spirits and men 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men and shows the desires of the participants involved. The clients wish to express their devotion and gain happiness through the wealth and spirits wishes to receive the client's devotion The wealth consumed during a shamanic ritual is the method whereby the desires of the participants are expressed. In the distribution of wealth, a logic of equal distribution which satisfies the needs of all is realized. This viewpoint is interrelated with the universal logic of shamanism whereby harmony between all matter is sought after. This logic can be seen in the consumption patterns of shamanic rituals.

      • KCI등재

        유교의례와 무속의례의 친연성

        김덕묵(Kim, Duk-Muk) 한국민속학회 2015 韓國民俗學 Vol.62 No.-

        한국사회에서 유교와 무속이 가지는 기능적 측면에 주목한 사회인류학자들의 연구는 유교는 남성적, 사회적, 무속은 여성적, 가족적이라는 이분법적 시각을 형성하였다. 본고는 이러한 사회인류학적 시각에서 벗어나 굿과 기제사에서 모셔지는 신, 의례의 구조, 상징과 의미 등에 주목하여 양자를 비교한 후 예(禮)의 측면에서 친연성을 살펴보았다. 유교의례와 무속의례에서 모셔지는 신은 유사한 세계관 속에서 비롯되었다고 볼 수 있으며 양자가 지향하는 핵심은 예(禮)의 실천에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통념상 혈연의식과 조상숭배를 유교의 전유물로 생각할 수 있으나 이러한 특징은 연(緣)을 중시하는 무속의 성격에도 포함되며 나의 몸에는 조상의 피가 흐르고 조상에 의해 나의 길흉화복도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생각은 조상숭배사상으로 이어진다. 그러나 이것은 가족공동체 속에서만 의미를 갖는 것이 아니라 가족주의를 넘어 모든 인간에 대한 ‘관계’로 이어진다. 인간의 족보를 거슬러 올라가면 가족, 친족, 민족을 넘어 인류가 결국 같은 핏줄로 이어졌다고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서 조화로운 인간관계를 추구하는 무속의 보편성을 찾을 수 있다. 가족주의적 시각에서만 무속을 보게 된다면 무속의 사회성과 보편성을 간과할 수 있다. The research explored by the social anthropologists of Korea who called attention to functional aspects of Confucianism and Shamanism formed dichotomous view that regards Confucianism is masculine and social while Shamanism is feminine and familial. This paper takes a different position from such social anthropological view, compares the two focusing on God who is worshiped through Gut and Gijesa; structure, symbol and meaning of rites and then explores the affinity between them in terms of Proprieties. It could be regarded as Gods worshiped through rites of Confucianism and Shamanism areemerged from the similar world view and there is the practice of Proprieties in the center of where the two aim at. Moreover, according to conventional wisdom, the concept of blood ties and ancestral worship can be seen as purely Confucius practices but parallel features also can be found in Shamanism that highly regards Yeon(緣). The thought like ‘My body constitutes the blood of my ancestors and the fortunes of my life can be driven by them’ is developed to the thought of ancestor worship. However, it is not only valid in the familial community but applicable with the relationship among all men beyond familism. It is because if we trace back to the genealogy of human-beings, it can be seen as humankind are connected as one lineage beyond family, relatives and race. Here, it is found the universality of Shamanism that pursues harmonious human relationship. If shamanism is studied only through the perspectives of families, then sociality and universality of shamanism can be overlooked.

      • KCI등재

        향토문화전자대전 디지털마을지의 새로운 방향모색

        김덕묵(Kim, Duk-Muk) 한국민속학회 2013 韓國民俗學 Vol.58 No.-

        향토문화전자대전 디지털마을지는 2005년 성남시를 시작으로 전국 27개 시군에서 실시되었다. 인터넷 포털사이트를 참조하여 감성적인 서술방식을 추구하고 사전형식을 지향한 기존의 디지털마을지는 주민사의 복원, 기록성, 학술적 가치, 정보적 가치, 문화적 가치 추구라는 측면에서 볼 때 대응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했다. 본고에서는 디지털마을지의 기본방향으로 민속기록학적 시각에 입각하여 ‘공동체 아카이브(community archives)’ 운동을 지향하고 ‘民ㆍ官 융합적인 모델’, ‘전문성 있는 인력자원의 확충’, ‘유형의 다양화’를 제안한다. 이러한 논의는 지자체에서 실시하는 각종 마을지 사업에도 적용된다. 마을지가 일회적인 보고서 발간을 위한 방향에서 벗어나 공동체 아카이브를 위한 일관된 목표 아래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Digital maulji project in the electronic encyclopedia of local culture was initiated by the city of Sung-nam in 2005 and continued in 27 other counties. The existing digital maulji has been designed as an internet site, in an effort to pursue engaging narration in an encyclopedic format. However, it is not functional in terms of records of maul(village) inhabitants’ lives and the quality of the records as well as its academic values, informativeness, and cultural values. This paper explores a new direction and its methods in order to correct this problem. The three proposed initiatives are, cooperation between the local government and the people, expanded use of experts, and diversification in the styles of records. These three initiatives reflect the perspective of folklife archival science, in relation to the campaign for community archives. This suggestion is also applicable to all other kinds of maulji which are managed by the local governments. Maulji should be directed towards consistent goals without being limited to mere temporary reports.

      • KCI등재

        실천윤리적 측면에서 분석해 본 무속

        김덕묵 ( Duk Muk Kim ) 한국윤리학회 2014 倫理硏究 Vol.94 No.1

        본고는 황해도굿과 무속공동체를 중심으로 하여 행위주체 간의 관계에서 보여 지는 실천윤리를 살펴보았다. 실천윤리란 인간행위의 실천영역에서 제기되는 윤리적 현상으로 무속에도 올바른 도리라고 생각되는 행위방식이 있다. 무속의 실천윤리는 경신(敬神)에서 비롯된다. 무속의례와 무속공동체의 실천윤리에는 개성존중, 해원, 조화와 평등성, 의례를 봉헌하는 도리, 섬김의 윤리, 근신의 윤리, 호혜성과 같은 윤리성이 도출된다. 이것은 다신관, 애니미즘, 조상숭배사상, 생명존중사상, 조화와 평등사상, 효사상을 근거로 하고 있다. 무속의 실천윤리는 인간사회 어디에 서나 행해지는 일반적인 윤리.도덕이 그대로 투영되는 부분이 있는가 하면 무당의 종교체험, 무속공동체를 통해 전승되는 지식 등이 결부되어 나타나는 무속공동 체만의 특성도 있다. 이러한 무속의 윤리는 무속의 본질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또한 환경윤리와 생명윤리가 요구되고 인간소외, 가족해체, 각종 갈등이 증대 되고 있는 현대사회에서 우리는 무속을 통해 지혜를 얻을 수 있다. This article explores practical ethics revealed in the relationships of actors in Hwanghaedo gut(shaman ritual) and musok(巫俗) community. Practical ethics are ethical phenomena practiced in human behavior. There are ethical behavioral patterns in musok. Practical ethics of musok are based on worshiping gods. In musok ceremonies and practical ethics of musok communities, ethical characteristics of respect for individuality, dissolving problems, harmony and equality, ceremonial propriety, serving others, behavioral prudence, mutuality are observed. They derive from polytheism, animism, ancestral worship, respect for life, respect for harmony and equality, and filial piety. Practical ethics of musok reflect common ethics and morals in human societies and unique characteristics derived from religious experiences of shamans and transmitted knowledge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in musok communities. Understanding musok ethics helps in understanding the nature of musok. Musok ethics also give wisdom in solving the problems of human alienation, family dissolution, and various conflicts in contemporary society by environmental and life ethic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