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목표물에 근접한 위치데이터를 사용한 2차원 위치추정방법

        김덕기(Deokki Kim),김승열(Seung-Youl Kim),이상진(Sang-Jin Lee),유영갑(Younggap You) 한국콘텐츠학회 2010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0 No.1

        본 논문에서는 목표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삼각법을 개선한 위치추정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세 원간의 교점들을 통해 목표의 위치를 추정한다. 이 방법을 통해 결정된 목표의 위치는 기존의 방법과 같이 관측지역 중심에서 높은 정밀도를 갖고 기존의 방법에서 큰 오차를 갖는 관측지점 주변에서도 높은 정밀도를 갖는다. 이 방법은 기존의 방법보다 최대오차에서 40.89%, 평균오차에서 40.30%가 줄었다. This paper describes an improved location determination scheme based on the triangulation method calculating a target position. The proposed scheme uses coordinates of intersection points of three circles each generated by measurement of an observer. The target position obtained from the proposed scheme has higher accuracy not only at the vicinity, but also at the periphery of the observation area. The maximum error and the average error with the proposed scheme are reduced by 40.89% and 40.30%, respectively, with respect to conventional methods.

      • 침입외래식물인 가시박과 털물참새피에 의하여 교란된 하안식생

        이창우,김덕기,조현석,이효혜미,Lee, Chang Woo,Kim, Deokki,Cho, Hyunsuk,Lee, Hyohyemi 응용생태공학회 2015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Vol.2 No.3

        우리나라 하안역에서 외래식물 침입은 고유식물을 대체함으로써 생물다양성을 위협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 중에 하나이다. 우리나라 고유 하안식생에 침입하는 두가지 주요 침입외래종인 가시박 (Sicyos angulatus)과 털물참새피 (Paspalum distichum var. indutum)가 고유 하안식생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이 두 식물이 침입한 전국 하천의 22개 조사지점에서 식물상과 식생구조를 조사하였다. 가시박은 한반도 중부지방에 주로 침입하였다. 이 외래식물은 수로를 따라서 왕성하게 덩굴을 형성함으로써 제방 사면과 높은 고수부에서 교관목과 장경 초본의 고유식생을 피압하여 하천관리자에게 문제가 되고 있는 초본식물이다. 털물참새피는 한반도 남부지방에서 점차 확산되고 있다. 얕은 지하경과 왕성하게 분지하는 포복경을 가지고 있는 이 침입식물은 정체되거나 유속이 느린 물 위를 덮는 치밀한 매트를 형성하여 경쟁력이 약한 고유 침수식물이나 단경 정수식물을 위협하였다. 하천 하안지역에서 새로운 침입종의 도입을 방지하고 침입한 외래종을 방제하여 고유 하안식생을 보전하기 위해서는 이곳에서 인위 교란을 방지하고 적절한 외래식물 관리가 필요하다. Biological invasion of alien plants is considered to be one of the most serious threats to biodiversity in riparian zones. The effects of two invasive alien plants, Sicyos angulatus and Paspalum distichum var. indutum, on the flora and community structure of the riparian vegetation were investigated at 22 sites at streams in Korea. Sicyos angulatus has invaded the central Korean Peninsula. This alien plant has caused problems to stream managers because of its aggressive vining growth. It had suppressed native vegetation such as trees, shrubs and tall grasses on bank slope and higher floodplains. Paspalum distichum var. indutum has become more widespread in the southern part of Korea. This invasive plant has shallow rhizomes and creeping, extensively branched stolons. It forms a dense mat over lotic or slowly-flowing water and threatens submerged and short emergent hydrophytes. In order to control the introduction and expansion of alien plants, limitation of artificial disturbances and appropriate alien plant management are needed in riparian areas.

      • KCI등재

        멸종위기어류 버들가지 Rhynchocypris semotilus(Pisces: Cyprinidae)의 분포양상과 멸종위협 평가

        최광식 ( Kwang-seek Choi ),김덕기 ( Deokki Kim ),고명훈 ( Myeong-hun Ko ) 한국어류학회 2021 韓國魚類學會誌 Vol.33 No.3

        우리나라 멸종위기어류 버들가지 Rhynchocypris semotilus의 분포양상과 멸종위협을 평가하기 위해 강원도 고성군에서 2020년 6월에 분포조사를 실시하였다. 분포조사는 모두 12개 지점을 조사하여 6개 지점에서 268개체를 채집하였는데, 하천별로는 송현천 (3개 지점), 고진동 (2개), 오소동 (1개) 순으로 지점수가 많았다. 버들가지 서식지는 하천 최상류 또는 상류 (하천형 Aa type)의 유폭 3~15 m, 수심은 0.3~1.3 m로 하상은 큰돌과 작은돌의 비율이 높은 곳이었다. 전장빈도분포도 (6월)로 연령을 추정한 결과, 전장 6~27mm는 당년생, 38~59mm는 만 1년생, 60~75 mm 만 2년생, 78~93 mm는 만 3년생, 96~125 mm는 만 4년생 이상으로 추정되었고, 생식소가 성숙되는 연령은 만 2년생 이상이었다. 버들가지의 멸종위협 등급을 IUCN 평가기준에 따라 평가하면, 개체군 크기는 크게 감소하지 않았으나, 성숙개체수는 1,000개체 이하로 추정되고, 적은 출현범위 (39.668 ㎢)와 점유면적 (16 ㎢), 지소수 (3지소)를 보여 멸종위협 범주인 취약 (VU D2)으로 평가되었다. Distribution aspects and extinction threat evaluation of the endangered species, Rhynchocypris semotilus were investigated in Goseong-gun, Gangwon-do, Korea, June 2020. Among the 12 sampling sites investigated during the study period, samples of R. semotilus were collected 268 individuals at 6 sites. The streams inhabited of R. semotilus were Songhyeoncheon (3 stations), Gojindong (2 stations) and Osodong (1 station). The main habitats of R. semotilus were uppermost and upper stream (Aa type) with 3~15 m water flow width, 0.3~1.3 m depth and high ratio boulder and cobble bottoms. The estimated age of the R. semotilus (June) based on their total length distribution indicated that 0-, 1-, 2-, 3- and more than 4-year-old were 6~27 mm, 38~59 mm, 60~75 mm, 78~93 mm and 96~125 mm, respectively, and their has matured reproductive organs over two years old. R. semotilus investigation results of the threat of extinction showed no tendency to decrease in population size, but estimated to be less than 1,000 mature individuals, with a small range of extend of occurrence (39.668 ㎢), area of occupancy (16 ㎢), and number of disconnected locations (3 locations). Therefore, R. semotilus is now considered vulnerable (VU D2) based on the IUCN Red List categories and criteri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