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자동차기술교육부문] IBM PC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엔진시동장치에 관한 실험

        김대열(Dae-Yeol Kim) 한국자동차공학회 2000 한국자동차공학회 춘 추계 학술대회 논문집 Vol.- No.-

        As the number of Vehicles has been increased recently, it has caused the development of electrics and electronics, etc,<br/> The growth of computer field is make people use together with automobile and computer.<br/> It is regard as that automobile's technique education is difficult to grow with the world global. The fields of industry, education and laboratory have produce technical peoples but it has taken the long time,<br/> The present paper on IBM interface and power connection rely investigates that it is the contact in working the technical and scientific fields for those who seldom use computer but understand electrical wiring diagram, play with it and easily practice the program of computer<br/>

      • KCI등재

        미술연구의 학문적 특성과 범주

        김대열(Kim, Dae-Yeoul) 동서미술문화학회 2013 미술문화연구 Vol.3 No.3

        미술은 인류문화 창조의 일종 현상으로 거기에는 많은 문제들이 사람들의 탐구를 수요로 하고있다. 예를 들자면 미술창조의 문화정신, 예술언어의 표현형식, 미술 발전의 역사과정, 미술 존재의 사회적 작용, 등등. 이와 같은 문제의 탐구와 이해, 해석과 규명을 통해 미술의 문화발전과 예술창조에 도움을 얻는 것이다. 이에 대한 지식이 점차 전문화, 세분화되고 있으므로 이에 걸 맞는 학문적 체계와 범주의 설정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므로 미술연구는 학술연구의 범주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고에서는 먼저 미술의 학문적 연구배경과 ‘미술사’, ‘미술비평’, ‘미학’, ‘예술론’등 제반 분야의 상호 유사성, 연관성 내지 서로 다른 차이를 살펴보면서 이와 차별된 ‘미술연구’의 방향과 범위를 설정하는데 도움을 얻고자 하였다. 그 다음으로 미술의 학문적 연구에 있어서 그 어떤 분야도 공통의 논의대상인 ‘미술작품’에 대하여 보다 깊이 있게 인식하고 그 생산원리의 분석 규명을 통하여 ‘미술연구’의 내용과 방법 및 방향을 찾고자 했으며 또한 여타 분야와의 차이성을 제시함으로써 ‘미술연구’ 곧 ‘미술학’의 학문적 특성과 그 위치를 설정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을 바로 여기에 두고 진행하였다. 미술연구자는 미술의 기술 기능에 대한 장악에서부터 미술의 예술창조에 대한 자각, 미술의 학술 이성적 사유뿐만 아니라 미술의 학문적 체계를 세우는데 까지, 즉 이는 기술에서 예술, 예술에서 학술을 아우르며, 학술적으로 미술을 연구하는 과정이다. 요약하면 ‘미술학’의 서술은 자연과학에서 새로운 발견이나 특정한 실험결과를 논문(보고서)을 써서 최종연구 성과를 발표하는 것과 다르지 않다 하겠다. 미술 현상과 미술실천 활동의 철학사고와 사유 활동을 대상으로 하고 있으므로 즉, 이론형식과 사유방식을 정확히 분석 판단하여 끊임없이 발전하는 미술의 역사현상과 미술실천 활동(창작, 발표)을 이성적으로 깊이 있게 파악하여 미술창작활동과 학술연구의 방향을 탐색하는 것이다. Art is a kind of phenomenon resulted from creating human culture, and it demands men’s research on many problems. For instance, cultural spirit of art creation, expressional form of art language, historical process of art development, social action of art existence, etc. Cultural development and creation of art are helped through these research, understanding, interpretation and investigation of problems. Research on art is comprehensive like this, and is to investigate and analyze every aspect of men’s experience. As knowledge of this becomes specialized and subdivided, academic system and establishment of range suitable for this are required. Therefore, research on art should be conducted in the range of academic research. From this point of view, in this paper, I tried to investigate similarity, association or difference in academic research background of art, ‘history of art’, ‘art criticism’, ‘aesthetics’, and ‘theory of art’, and to obtain help in establishing direction and range of ‘art research’ different from the aforementioned. And next, I tried to more deeply recognize ‘art work’ which is the target of common discussion in all areas of the academic research on art, to find content, method, and direction of ‘art research’ through analysis and investigation of production principle, and to establish academic characteristics and position of ‘art research’, say, ‘science on art’ by presenting difference from the other fields. I conducted this research based on this purpose and need. The researcher on art is a person who studies art academically, covering from seizure of art technical function, self-awareness of art creation, academic and reasonable reasoning of art, to establishment of academic system of art, that is to say, from technique to art, and from art to scholarship To sum up, description of ‘science on art’ is not different from writing a thesis(report) of a new discovery or specific test results in natural science and reporting final research performance. It is to investigate art creation activity and academic research direction, by studying reasonably and deeply historical phenomenon of art and art practice activity (creation, presentation) constantly developing through correct analysis is and judgment of theoretical form and method of reasoning, as it is targeted at philosophical thought and reasoning activity of art phenomenon and art practice activity.

      • KCI등재
      • 소성유동층을 갖는 마찰압접 계면의 회전굽힘응력 파괴거동

        김대열(Dae Yeul Kim),오환섭(Hwan Sup Oh) 대한기계학회 2012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12 No.11

        Friction Welding(FW) Technology is about Mechanical Connection in Solid state. When one material which is rotating(Rotation Part) approaches another material which is fixed(Fixed Part), Temperature in Connection Interface is going up to recrystallization degree in the material. That means Friction Welding has Elastic Flow. In this study, I can study the evidence of Elastic Flow in Friction Welding using the Carbon Steel, Stainless Steel, Aluminum that are widely used in industry. In first step, Similar material and dissimilar material Friction Welding are processed in the factory, depending on each mechanical property. In second step, I will try to test Tension Strength and Fatigue Strength with Universal testing machine and Rotary bending machine. Finally I can look for the evidence in Elastic Flow and Spiral Deformation with Scanning Electron Microscope(SEM) in Fractography.

      • KCI등재

        고대 동아시아 상장미술의 표현

        김대열(Kim, Dae-Youl) 고조선단군학회 2011 고조선단군학 Vol.25 No.-

        This thesis studied the features of the expression which appeared in the old East Asian funeral art around the ornamental carving of ston and the mural. The study result shows that in the case of the funeral art which appears on the Chinese mural, the material and size of the first half in the Han(漢) dynasty is too small compared with that of the latter half in the Han dynasty. That is, it seems that the mural appeared clearly before and after 100 B.C. and increased so much in the late in the Han dynasty The funeral conception of the Han dynasty consists of the heavenly world, the a legendary wizard world, the real world and the underground world. It looks like that the boarding onto the legendary wizard world was regarded to be more important than to the heavenly world. So in the grave mural and the ston ancestral shrine , the diagram relating to the legendary wizard world was treated more importantly. It appeared that this concept had been kept since then and affected the grave mural of Goguryeo(高句麗). But the content and expression of diagram contained the Chinese coloring strongly but accepted it selectively. And when it came to the 7th century, the more independent type appeared. Especially the jiban area and Pyongyang area were developed respectively. But as it came near to the end of the 5th century, the jiban style expression was added to that of Pyongyang and the compromised type was being made. That is, Goguryeo had digested the imported culture in its own way and come to create the expression of Pan-Goguryeo funeral art around Pyongyang.

      • KCI등재

        세계화시대 한국 전통회화의 계승・발전에 관한 연구

        김대열(Kim, Dae-yeoul) 동서미술문화학회 2013 미술문화연구 Vol.2 No.2

        ‘문화’가 전 지구적 의제의 하나가 되면서 세계 선진국들은 예술의 연구와 계승발전에 투자를 아끼지 않고 자국의 문화예술 발전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한국화단에서도 미술 관련기관의 확대와 국제미술제의 개최 등 미술계의 인프라(infra)와 패러다임(paradigm)에 큰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그리고 국제화 및 다원문화주의의 기치(기치)아래 기존 가치의 해체가 본격화하면서 해당 지역의 문화적 특수성이나 담론 역시 그 만큼 확대 되는 양상도 아울러 출현시키고 있다. 미술은 모든 문화에 출연하여 그 성질을 조장하고 이를 받쳐주며 우리의 눈으로 볼 수 있는 시각언어로 표출해 내는 수단으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다시 말하자면 미술은 아주 자연스럽게 인류 문화 활동 중에서 조화와 통합을 이루며,전체문화의 맥락 속에서 문화를 가장 구체적으로 드러내고 각종 문화를 받쳐주는 가장 유력한 버팀대이다.따라서 우리의 모든 문화 활동을 받쳐 주고 변화 발전을 이끄는 미술의 역할이 없는 ‘전통문화의 계승발전과 민족 문화의 창달’은 다만 공허한 구호에 지나지 않는다. 우리나라를 포함한 동아시아 지역 미술의 특수성 담론에서 수묵화는 20세기 초부터 줄곧 논의의 중심에 있어 왔다.즉 20세기 100년 동안 서구 미술의 유입 속에서 자국 미술의 민족성과 근현대성을 모색하는데 수묵화는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해 왔다. 자국미술의 특수성과 정체성을 보다 체계적으로 연구하고 보급하기 위해 세계 선진국들은 투자를 아끼지 않고 있으며 중국과 일본 역시 이를 전담하는 국가 연구기관을 설치하여 21세기 문화다원주의 시대에 대비하고 있다. 하지만 우리 화단의 경우 1910년 일제침략과 더불어 조선왕조의 화원제도인 도화서가 폐지된 이후 지금까지 이렇다 할 국가 연구기관을 마련하지 못한 채 21세기를 맞고 있다.특히 우리 화단은 일제 강점기에는 36년간 일본 전통회화와 일본에 의해 수용된 서구미술을 재수용해야만 하는 왜곡된 상황에 직면해 있었고,20세기 후반에는 동족간의 전쟁과 분단으로 인한 냉전 이데올로기(ideology)의 제약을 어느 지역보다 첨예하게 강요받으면서 근?현대성을 모색해야 하는 특수한 전개과정을 갖고 있었으며,80년대와 90년대는 국제양식의 모방에 급급한 나머지 오늘의 다원문화주의 공간에서 방향을 잡지 못하는 상황이어서 그 필요성이 더욱 절실히 요구된다. 많은 이들이 그동안 팽배한 서구의 물질문명의 위기를 동양의 정신문명에서 찾으려하고 있다.21세기 한국 수묵화의 나아갈 방향도 이러한 맥락에서 찾는 다면 그 전망은 아주 밝을 것이다.

      • KCI등재

        연구논문 1 : 종교문화(宗敎文化)와 그 다원성(多元性)-또 하나의 시각

        김대열 ( Dae Yeo Kim ) 한국종교문화연구소 2013 종교문화비평 Vol.24 No.24

        본 논문의 의도는, 종교 현상을 특정 종교 전통을 단위로 관찰하기보다는 문화라는 보다 광범위한 인식틀 안에서 보아야 한다는 입장에 서서, 한 종교 집단 내의 서로 다른 계층, 종교 집단들, 종교 집단과 비종교 집단, 종교적 요소와 비종교적 요소들 간의 불가피한 접촉과 상호 반응을 통한 종교 내외적 변화 특히 그 가운데 다원화의 경향을 종교 현상의 하나로 인정하고 그에 대한 학문적 관심을 갖기를 제안하는 것이다. 종교적 정체성은 상대적이며 유동적인 사회적 요구이므로 종교에 대한 학문적 관심은 개별적 종교 전통의 구분으로부터 벗어나 타문화 영역과 마찬가지로 종교 현상 역시 다양한 전통들이 융합하여 새로운 형태를 만들어낸다는 것을 인정해야 한다. 또한 종교인뿐만 아니라 비종교인, 그리고 이러한 구분이 어려운 사람들도 종교로부터 문화적 혜택을 받는다는 사실을 감안하면, 믿음을 전제한 ‘종교’와는 구분되는, 즉 믿음의 문제로부터 자유로운 ‘종교 문화’라는 개념을 상정할 수 있다. ‘종교 문화’란 어떤 종교 전통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는 유무형 자산, 관련된 지식, 표상 체계, 그곳에서 체계화되어 행해지는 실천, 그리고 이와 관련된 활동을 통해 재생산되고 전승되고 변형되어가는 자산들을 총칭한다. 문화적 산물로서 그것은 인간의 근본적인 물음에 해답을 제공하는 다양한 정보의 보고이다. 단순히 표현하자면 그것은 종교적 표상, 지식, 실천을 지칭한다. ‘종교 문화’가 나름대로의 특징을 지니면서 관찰될 수 있는 층위와 ‘종교 문화’를 다양하게 하고 또 변화하게 하는 요인들이 다수이고 복합적으로 연관되어 상호 작용함으로써 종교 문화 자체뿐만 아니라 문화와 사회를 지속적으로 변화시키고 다양하게 만드는 것을 필자는 ‘종교 문화의 다원성’이라는 개념으로써 가리키고자 한다. ‘다원성’이란 개념이 종교 문화가 다양하다는 사실을 넘어서 내외의 영역과 요소들이 상호 작용하며 변화해가는 그 역동성까지를 내포하는 개념임을 상기한다면, 그것을 고찰하기 위해 가질 수 있는 안목의 구조는 다음과 같을 수 있다. 즉, ‘다원화’와 ‘상호 작용’이라는 두 고찰 영역을 구분하고 각 영역마다 ‘요인’과 ‘유형’이라는 매개 변수를 구분한다. 그리고 두 영역과 두 매개 변수를 조합하면, ‘다원화 요인’, ‘다원화의 유형’, ‘상호 작용의 요인’, ‘상호 작용의 유형’이라는 하부 영역이 유추된다. The paper suggests that, from the point of view seeing religious phenomena in a larger epistemological scope as such a notion of culture rather than in a auto-claimed and segregated unit such as each religious tradition, we should acknowledge in religious phenomena the tendency to pluralisation due to internal and external, centrifugal and centripetal changes of religion through inevitable contact and interaction between different strata in a religious group, between different religious groups, between religious and non-religious groups, or between religious and non-religious elements, and have scholarly interest in it. Religious identity claim is a relative and floating social demand. The scientific interest in religion should break away from the perspective of individual religious tradition and recognize that religious traditions meet and combine each other to give to birth new forms of religious phenomena. Considering the fact that not only believers but also non believers as well as betwixt and between people reap cultural benefit from religions, one can conceive a notion of ‘religious culture’, free from the question of belief, and distinguished from the notion of ‘religion’ implying belief. ‘Religious culture’ refers to material and immaterial assets considered to belong to a religious tradition, knowledge about this tradition, it`s representation system, practices being organized and done in it, and the ensemble of the resources that are reproduced, transmitted and transformed through relative activities. As a cultural production, it is a repository of diverse information providing answers to man`s fundamental questions. Put simply, it indicates religious representation, knowledge and practice. The level in which each ‘religious culture’ can be observed with its characteristics and the factor that diversifies and changes it are plural; intricately inter-related, they interact to bring constantly change and diversification to society and culture as well as to ‘religious culture’ itself; in this paper these facts are conceptualized as ‘plurality of religious culture’. Beyond the diversity of ‘religious culture’, the notion of ‘plurality’ implies the dynamism in which the internal and external spheres and factors interact to change. This in mind, we can organize the approach to investigation as following: to distinguish two observation spheres, ‘pluralisation’ and ‘interaction’; in each sphere, to identify two parameters, ‘factor’ and ‘pattern’; to combine two spheres and two parameters to obtain : ‘factor of pluralisation’, ‘pattern of pluralisation’, ‘factor of interaction’ and ‘pattern of interaction’.

      • KCI등재

        저강도 혈류제한 복합운동이 여성노인들의 신체조성과 심혈관 요인들에 미치는 영향

        김대열(Daeyeol Kim),국두홍(Doohong Kuk),박혁(Hyeok Park) 한국산학기술학회 2019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0 No.1

        이 연구는 12주간 여성노인 실험참가자들의 혈류제한 복합운동 프로그램 참가 여부가 신체조성(몸무게, 체지방률, 근육량, 신체질량지수)와 심혈관인자(맥파속도와 혈관협착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하여 연구 하고자 총 43명의 실험참가자가 혈류제한 복합운동(14명), 일반복합운동(14명)과 통제집단(15명)으로 무선할당 배분되어 본 연구를 참여하였다. 본 연구는 반복측정분산분석(Repeated Measure ANOVA)과 대비검증(contrast)을 이용하여 통계를 분석하였고, 모든 자료의 유의수준은 α=.05로 설정하였다. 연구결과 혈류제한 복합운동 집단의 신체조성(몸무게, 체지방률, BMI)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가 나타났고, 일반복합운동 집단의 체지방률만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그리고 혈류제한 복합운동 집단의 오른쪽과 왼쪽의 맥파속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일반 복합운동 집단의 왼쪽 맥파속도만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또한 혈류제한 복합운동 집단의 사전과 사후 변화량(%△)과 효과크기(effect size)가 높이나왔다. 이는 동일한 운동(복합운동)을 수행하였지만 혈류제한 방법을 추가한 집단이 더욱 교감신경이 활성화된 운동을 실시하게 되어 여성노인들에게 신체조성과 심혈관 요인에 일반 복합운동 보다 더욱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나타내고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effects of 12 weeks of combined exercise training with blood flow restriction (BFR) on body composition (weight, %body fat, lean body mass, body mass index (BMI)) and cardiovascular responses (brachial-ankle pulse wave velocity (ba PWV) and ankle-brachial index (ABI)) in elderly women. Participants (N = 43, Females) were randomly assigned into a combined exercise with BFR (n = 14, BFR), only combined exercise (n =14, EX) or non-exercise control group (n = 15, CON). Two-way repeated measures ANOVA with contrast testing was utilized for data analysis. Alpha was set at p < 0.05. Body composition (weight, %body fat, BMI) in BFR was significantly changed, and %body fat in EX was significantly decreased, but there was no change in the CON. In addition, the right and left ba PWV values in the BFR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while only the left side ba PWV in EX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nd there was no change in the CON. Moreover, the % change and effect size of most variables in the BFR were higher than the EX. Taken together, the results indicate that even though BFR and EX groups performed the same combined exercise training, BFR had additional stimulations of the sympathetic nerve system due to blood flow restriction. Thus, BFR training is more beneficial and has greater effects on body composition and cardiovascular responses in elderly females.

      • 어도내 유속에 따른 어류체형비 비교

        대열 ( Dae-yeul Bae ),문운기 ( Woon-ki Moon ),도현 ( Do-hyun Kim ),이의행 ( Eui-haeng Lee ),원장 ( Won-jang Kim ),서정빈 ( Jung-bin Suh ),안중식 ( Joong-sik Ahn ),재구 ( Jai-ku Kim ),안광국 ( Kwang-guk An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6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16 No.2

        어류의 외부 형태적 특징은 어류의 유영력과 군집의 기능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 되고 있다. 어류의 외형은 크게 6개 타입으로 나누어진다. 유선형(streamline)과 같은 방추형(fusiform), 그 외 체고(body depth)와 체폭(body width)에 따라 측편형(compressiform), 종편형(depressiform), 장어형(anguilliform), 리본형(taeniform), 그리고 구형(globiform)등으로 구분된다(Kim and Park, 2002). 어류의 유영성은 유선형에 가까울수록 부피에 대한 지체계수(drag coefficient)는 최소가 됨으로서 최대가 된다(Jacobs et al., 1933; Hoerner, 1965). 어류의 유선형 정도를 측정하는 방법은 체장(body length)/체고(body depth)의 비로 표현되는 어류 체형비(fineness ratio, FR)가 있다. 어류의 유영 및 이동에서 최적 FR비는 4.5이상에서 지체계수(drag coefficient)가 최소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Scarnecchia, 1988). 일반적으로 유영속도는 체장에 비례하며 순항속도(cruising speed), 유지속도(sustaining speed), 그리고 돌진속도(darting speed)로 구분된다(Nakamura, Shunroku, 1991). 이때 어류의 유영력은 유영속도에 유속을 더한 값으로 정의된다(김진홍). 어종간에 유영속도가 일정하다고 가정하면 어류의 유영력은 유속에 좌우되고, 하천에서 어도구조물 설계시 어종들의 한계유속은 어류가 소상하기 위한 지표가 될 수 있다. 특히 어도의 유량 및 유속은 어도를 이용 할 수 있는 개체크기를 제한하는 요인이 되기도 한다. 하천에서 어류 군집의 특성은 서식지내 유속환경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요인이 된다. 여울과 소가 연속적으로 나타나는 하천에서 어류 군집은 서식지복잡성(habitat complexity), 미소서식지(microhabitat)의 발달에 따라 다양한 어류가 출현하게 되고, 출현하는 어류의 외형을 분석하면 하천의 흐름의 특성과 밀접한 관련성을 가진다. 유속이 빠른 여울과 소(pool)나 정수역(rentic water)에 서식하는 어종의 FR값은 서로 차이를 보이게 된다. Langerhans and Reznick(2011)의 연구에 따르면 Poecilliidae에 속하는 50여종의 어류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유속이 빠른 환경에 서식하는 어류는 유선형에 더 가깝고 FR은 4.5에 근접하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이는 유속이 어류의 외부 형태적 진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임을 의미 한다. 어도를 이용하는 어류군집의 특성을 고려한 설계가 필요하다. 즉 군집의 어류 체형비를 고려하여 어도의 유속분포를 결정하는 국내어도 설계상 가장 큰 문제점은 하천에 서식하는 어류군집의 생태적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일률적으로 어도를 설계하는데 문제가 있다. 우리나라는 갈수기와 홍수기의 유량에 따라 어도내 유속의 차이가 매우 크게 나타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하천의 인공구조물인 어도에서 유속분포에 따라 이를 이용하는 어류들의 형태학적 체형비를 분석함으로서 향후 어도 설계시 어류상 및 목표어종에 따라 어도내 유속 분포를 결정하는데 유용한 자료로 활용을 목적으로 한다. 국내에 서식하는 어류를 대상으로 어도에서 유속의 범위에 따른 어류 체형비 분석을 통해 하천구조물인 어도에서 유속의 특성에 따른 어류체형비를 비교분석하였다. 향후 어도 설계시 어류상 및 목표어종에 따라 유속 분포를 결정하는데 중요한 자료가 될 것으로 판단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