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발달장애대학생의 진로태도와 자기결정기술, 사회성기술 및 대인관계기술 간의 상관관계

        김대룡 ( Dae Ryong Kim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2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3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발달장애 대학생의 진로태도와 자기결정기술, 사회성기술 및 대인관계기술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봄으로써 발달장애 대학생의 진로교육 개선 방법을 모색하는데 있다. 연구 대상은 N대학교에 재학 중인 발달장애 대학생 23명으로 구성하였다. 실험은 대학교양 영어 수업시간에 직업적응중심의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진로태도와 자기결정기술, 사회성기술 및 대인관계기술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들은 연구 문제에 따라 기술분석 및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태도와 자기결정기술 간에는 상관( r=.903)이 유의하게 나타났고, 둘째, 진로태도와 사회성기술 간에도 상관( r=.602)이 유의하게 나타났다. 셋째, 진로태도와 대인관계기술 간에는 상관( r=.201)이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자기결정기술과 사회성기술 관계가 진로태도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각각 독립적으로 작용하였다. 다섯째, 사회성기술과 대인관계기술 관계가 진로태도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변인 간의 상승 또는 감소효과가 존재하며, 본 프로그램에서는 진로태도에 독립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볼 수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발달장애대학생의 진로태도 개선을 위한 효율적인 교육프로그램 개발에서 자기결정기술, 사회성기술을 적극 활용할 것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career attitudes and self-determination skills, social interpersonal skills, sociability skills for college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from cultural English class based on internal factors of vocational adaptation. The participants of the current study were 23 college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N university, who consisted of 10 students in non-inclusive environment and 13 students in inclusive environment. It was employed to analyze the correlation and the descriptive analysis through SPSS(VER.12) after the educational activity program. The finding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correlation (r=.903) between career attitude and self-determination skills was statistically more significant. Second, The correlation (r=.602) between career attitude and sociability skills was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rd, The correlation (r =.201) between career attitude and social interpersonal skills was statistically not significant. The findings further suggest that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educational activity for facilitating career attitudes had better focus self-determination skills and sociability skills.

      • KCI등재

        자기주도 학습의 직업탐색 교육이 발달장애 대학생의 진로태도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김대룡(Kim Dae-ryong)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2021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Vol.1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자기주도 학습의 직업탐색교육이 발달장애 대학생의 진로태도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자는 4년제 A대학교 2학년에 재학 중인 발달장애 대학생 30명이며, ‘직업탐색’ 수업 시간에 실시되었다. 연구방법은 단일집단에 의한 사전ㆍ사후검사 설계이다. 수집된 자료는 빈도 분석, 사전ㆍ사후 비교를 위한 t검정을 실시하였고, 두 변인간의 상관성을 밝히기 위해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자기주도 학습의 직업탐색 교육은 첫째, 발달장애 대학생의 진로태도에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다, 둘째, 발달장애 대학생의 자아존중감 형성에서 긍정적 변화가 있었다. 셋째, 자기주도 학습의 직업탐색교육을 통하여 향상된 진로태도 변화와 자아존중감 변화 간에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본 연구는 자기주도 학습의 직업탐색 교육을 통하여 학생 자신이 진로에 대한 긍정적이고 적극적인 태도를 형성함과 동시에 자존감을 높일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는 점에 의의가 있었다고 본다. 진로에 대한 자기 주도적 설계는 자기이해 및 다양한 환경 경험과 이해를 통하여 얻어진다는 점에서 취업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보다는 내적 귀인으로 발전적 요소를 찾을 수 있게 되었다는 시사점도 제공하였다. 따라서 발달장애 대학생들로 하여금 다양한 상황에서 자기 주도적 학습 경험을 할 수 있도록 교육자는 적합한 학습 환경을 학습자 중심으로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exploring vocation be linked with self-directed learning effects on career attitude, self-esteem of colleg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DD). The sample in this study was 30 students with DD, 2st grade in A university, who participated in surveys during a exploring vocation class. The study method was one-group pretest-posttest design. A descriptive statistics and t-test approaches were used to investigate general information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pretest and the posttest. It was also employed to analyze correlation between self-esteem and career attitude by SPSS(VER.20). The finding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students with DD show better awareness than before on career attitude. Second, self-esteem of students with DD are improved. Third, the correlation between self-esteem and career attitude are also significant statistically. Finally, this study show that self-directed learning in exploring vocation class can offer opportunities on how to treat carrier attitude and esteem positively. In consideration with getting self-directed design about careers through self understanding and environment understanding, These findings further suggest that a diversity of functional curriculum linked with self-directed learning should be more revitalized on educations of college students with DD. Therefore, educators need to offer an appropriate learner-centered background for students with DD to experience self-directed learning in diverse situation.

      • KCI등재

        발달장애 대학생의 직업전환을 위한 진로태도 분석

        김대룡 ( Dae Ryong Kim ),신현기 ( Hyun Ki Shin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1 지적장애연구 Vol.13 No.3

        본 연구는 발달장애 대학생들의 진로인식 및 태도를 분석하여 그들의 성공적인 직업 준비를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자는 현재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발달장애 대학생으로써 비통합학과의 23명, 통합학과의 20명, 총 43명을 대상으로 진로태도를 조사 하였다. 또한 장애학생들의 진로태도에 대한 효과적인 정보를 얻기 위해 8명을 선정하여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진로태도의 현황을 알아보기 위한 기술 분석과 집단 간 차이를 밝히기 위해 t 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발달장애 대학생들은 학년 구분에 따른 집단 간의 차이를 보였는데, 고학년들의 진로에 대한 태도가 저학년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발달장애 대학생은 통합유무에 따라 집단 간의 차이를 보였는데, 통합되지 않고 특성화된 학과에 재학중인 학생들이 일반학과에 통합된 학생들보다 더 높은 진로태도를 보였다. 셋째, 발달장애 대학생들의 진로태도에서의 성별 간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발달장애 대학생의 졸업 후 성공적인 직업 활동을 위한 대학교육은 직업적 특성을 고려한 통합모형과 발달장애를 고려해 특성화 이론에 근거한 직업 교육 프로그램 마련이 필요 하다고 본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의 결과는 발달장애 대학생의 진로태도향상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향후 발달장애 대학생의 진로 및 전환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방향을 제시하였을 뿐만 아니라 발달장애 대학생들의 고등교육에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한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e of career aptitudes for vocational transition among college students diagnosed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DD) and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needed to develop successful vocational readiness programs appropriate for them. For this purpose, 43 students with DD who were enrolled in a four-year university participated in this survey study. The survey used a questionnaire comprised of 47 items and included interviews later. A descriptive statistics and t-tests approaches were used to investigate the general information and the difference of the career awareness between groups. The results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high grade students show better awareness of career than low grade students through the classification of a school year of college students with DD. Second, not-included class students were higher in the career awareness than included class students through whether college students with DD were included or not. Third, the distinction of sex show no differences in the career awareness of college students with DD. According to the results mentioned above, this study implies that the advanced education for college students with DD may be effective and that to accomplish successful vocational readiness for them need to consider vocational education programs development based on trait-factor theory and inclusion characteristics. This study also indicated a dire need for various career awareness programs development and suggested future directions for the career of college students with DD.

      • KCI등재

        교양교육에 대한 발달장애 대학생의 만족도 및 지원요구

        김대룡(Kim Dae Ry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3

        목적 본 연구는 교양교육에 대한 발달장애대학생의 만족도를 조사하고, 필요한 지원요구 사항들을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 참여자는 실험집단으로 현재 4년제 A대학교에 재학 중인 발달장애대학생 95명과 비교집단으로 비장애대학생 69명이다. 방법 이를 위하여 Likert형 설문지, 기술형 질문지를 통한 조사방법으로 설계하였고, 추가적으로 실험집단 연구 참여자 8명을 선정하여 반 구조화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빈도분석과 집단비교를 위한 t-검정과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발달장애대학생들은 다음과 같은 결과를 보였다. 첫째, 교양교육에 대한 만족도는 비장애대학생들과 비교하여 유의미하게 낮았다. 둘째, 교수 영역별 만족도 비교에서 5개 영역 중 ‘교수내용’ 부분에서 만족도가 유의미하게 낮았다. 셋째, 교양과목 수강을 어렵게 하는 이유로 ‘학습내용’ ‘과제 난이도와 양’ ‘담당교수의 교수방법’ 등을 들었다. 또한 교양과목 수강에 필요한 지원요구 내용 내용으로는 ‘학습도우미’ ‘예습자료 및 복습자료’ ‘좀 더 쉬운 교수방법’ 등을 들었다. 결론 본 연구는 발달장애대학생을 위한 교양교육 환경이 특수교육적 요구 지원 방향으로 개선될 때 통합 상황의 장애학생 교양교육 효율성이 높아질 수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 더불어 발달장애대학생 고등교육 활성화를 위해서는 개별화된 학습 지원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the satisfaction and support requests on general education for college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DD). Methods 95 students with DD in experimental group and 69 college students(non-DD) in comparative group participated in this study which include surveys and interviews. This study was designed by Likert and description questionnaires, also interviewed by semi-structured method on 8 students to have meaning results about subjects. The information collected was employed by a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variance analysis approaches. Results The finding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satisfaction of general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D is significantly less than non-DD. Second, satisfaction of ‘teaching contents’ of 5 domains in general education is significantly the lowest for students with DD. Third, difficult reasons which to attend a general lecture show ‘teaching content’ ‘task difficulty and amount’ ‘teaching method of professor in charge’. Wishes which to attend a general lecture also show ‘learning assistant’ ‘prepare materials’ ‘more ease teaching method of professor in charge’. Conclusions This study show that effectiveness of general education can be upgraded when special education demands is applied to students with DD in inclusion. These findings further suggest that individualized learning support environment should be more invigorated on post-secondary educations of college students with DD.

      • KCI등재

        또래지명법 및 사회연결망을 활용한 발달장애대학생의 사회적 지위 분석

        김대룡 ( Dae Ryong Kim ),유장순 ( Jang Soon Yoo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2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3 No.4

        본 연구는 또래지명법과 사회연결망을 활용하여 발달장애대학생들의 사회적 지위를 분석하고, 이에 따른 ‘선호 되는 학생’과 ‘거부 되는 학생’의 행동특성을 확인함으로써 향후 교육 효율성 제고에 기초자료로써 활용하게 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연구 대상자는 4년제 대학에 다니고 있는 발달장애대학생 2학년 19명으로 ‘자기결정기술’ 교과목 수업시간에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와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발달장애대학생들로 구성된 집단도 인기, 소외, 양면, 배척, 보통으로 구분되는 특징이 있었다. 둘째, ‘선호되는 학생’의 행동특성은 단정하고, 타인에 대한 배려와 이해력, 친절함, 협력하는 마음, 높은 학업성취도를 보이고, ‘거부되는 학생’은 불결한 외모, 돌출행동, 타인무시와 괴로힘, 거짓말, 의사소통불능, 수업방해, 학업성취도가 낮은 특성이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교육 효율성 제고를 위해서 집단 내장애학생의 사회적 지위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고, ‘선호되는 학생’은 장점을 극대화시킴과 동시에 학급전체의 학습 효율성을 증진시키는 방향으로 적극 활용하고, ‘거부되는 학생’들은 지위 변화를 위한 적극적인 방법들이 모색되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ocial status of college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rough peer nomination and social network analysis, to compare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between preferred students and rejected students. The participants of the current study were 19 college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non-inclusive environment, 2nd grade in N university. The finding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y are composed of groups characterized by popular, rejected, neglected, controversial, average sociometry status. Second, The popular student tend to show good appearance, regards for others, kindness, cooperation and high academic performance. on the other hand, the rejected students show unclean looking, unexpected behavior, ignore others, telling a lie, class disturbance and low academic performance. The findings further suggest the continuous monitoring on the social status of college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educational activity for facilitating preferred students and compensating rejected students.

      • KCI등재

        직업 적응중심의 교양영어 수업이 발달장애대학생의 직업준비에 미치는 영향

        김대룡 ( Dae Ryong Kim ),신현기 ( Hyun Ki Shin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2 지적장애연구 Vol.14 No.1

        이 연구는 ``직업적응 중심의 교양영어 수업``이 발달장애 대학생의 진로태도, 자기결정기술, 대인관계기술, 사회성기술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지방의 4년제 N대학교에 재학 중인 발달장애 대학생 45명으로, 이들 중 20명은 발달장애학생만으로 구성된 비통합학과이고, 나머지 25명은 일반학과에 통합되어 있는 통합학과의 학생이었다. 연구대상은 실험집단 23명과 비교집단 22명으로 구성하였으며 중재는 대학교양 영어교과 수업시간에 이루어졌다. 수집된 자료들은 연구문제에 따라 기술 분석, 사전·사후분석, 독립표본 t-검정,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발달장애 대학생을 대상으로 ``직업적응 중심의 교양영어 수업``을 실시한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진로태도, 자기결정기술, 대인관계기술, 사회성기술에서 향상된 결과를 보였다. 둘째, 일반학과에 통합된 학생과 비통합학과에 재학 중인 학생 간 ``직업적응 중심의 교양영어 수업``의 효과를 비교한 결과, 비통합학과에 재학 중인 발달장애 대학생이 진로태도와 사회성기술 영역에서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 직업선택과 유지에 영향을 미치는 직업적응중심의 교육은 진로태도, 자기결정기술, 대인관계기술, 사회성기술을 촉진시켜 결국 발달장애 대학생의 진로준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ultural English class based on internal factors of vocational adaptation on vocational readiness for college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participants of the current study were 45 college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N university, who consisted of 20 students in non-inclusive environment and 25 students in inclusive environment. The pretest-posttest control group design was employed to inspect any change in the level of career attitudes, self-determination skills, social interpersonal skills, sociability skills after the educational activity program. The finding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improvement on the level of career attitudes, self-determination skills, human relation skills, sociability skills was statistically more significant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after the educational activity program. Second, The improvement on the level of career attitudes, sociability skills was statistically more significant in the experimental group in non-inclusive environment than in inclusive environment after the educational activity program. the level of self-determination skills, social interpersonal skills was not significant between two group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