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3차원 지도의 지도학적 표현 효과 개선에 관한 연구

        김남신 한국지도학회 2004 한국지도학회지 Vol.4 No.1

        3차원 지도제작의 목적은 지표기복 표현을 위한 지도화를 지향하고 있기 때문에 위치, 고도, 방향, 인문 요소들이 간과되기 쉽다. 본 연구는 3차원 지도상에서 양적인 공간정보들이 파악될 수 있도록 효과적인 지도화 방법에 관하여 논하고자 하였다. 3차원지도는 DEM을 이용하여 고도별 RGB 코드에 의한 8단계의 색상기복도, 정사영투영도, 동영상을 제작하였다. 여기에 고도와 위치 정보 그리고 인문·자연 정보들을 일반화 과정을 거쳐 중첩시켰다. 동영상은 수치지도와 위성영상을 사용하였고 이동에 따른 관찰자의 위치와 고도, 거리, 이동방향에 대한 정보를 파악할 수 있도록 제작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작된 지도는 기존의 지형도 및 단순 3차원 지도에 비해 지형의 기복, 위치, 고도 및 인문·자연 정보들에 대한 시각적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앞으로 3차원 지도의 효과적인 지도화를 위해 색상모델, 2차원 지리정보의 3차원 지도화, 그리고 일반화에 관한 연구가 보완되어야 할 것이다. One of the proposes of three dimensional map is the presentation of surface relief, and then it is easy to disregard cartographic elements, such as sites, heights, direction, and human information. So, this study aims to discuss mapping methodology in order to improve representation of quantitative spatial information. 3-dimensional map is constructed by the color relief map with 8 grade RGB code, ortho-perspective map and animation using DEM, also and overlaid heights, sites, geographical information through generalization processes. Animation uses DEM, digital map, and satellite image to represent realistic geo-information.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s, 3-dimension map can be used to enhance visualization effects in mapping the human landscapes, reliefs, and statistical information in comparison with 2-dimensional map. Next missions for advancing this study should be focused on the RGB color modeling 3-dimensional mapping and generalization.

      • KCI등재후보

        지도제작에 따른 선형사상의 공간적 오류 개선을 위한 일반화

        김남신 한국지리정보학회 2004 한국지리정보학회지 Vol.7 No.1

        본 연구는 선형사상 일반화에서 사상들 간의 공간적 충돌, 벡터변위에 따른 위치변동 등의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새로운 Simoo 알고리즘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Simoo 알고리즘의 원리는 단순화와 완만화를 채택하였다. Simoo 알고리즘에서 사용된 임계치는 수선길이, 편각, 평균 vertex 길이이다. Simoo 알고리즘은 축척별 적용 가능, 지도학적 세련미, 자료점의 위치 변동에 따른 논리적 오류 발생의 감소, 공간현상특징 유지 등의 특징을 갖는다. Simoo 알고리즘의 적용 결과는 Douglas-Peucker 알고리즘과 비교하였다. 그 결과 두 알고리즘에서 해안선과 하계망 길이는 97%이상 유지되었으며, 자료점 제거율은 Simoo보다 Douglas-Peucker 알고리즘이 효과적이었고, 사상들간의 충돌은 Simoo에서 최소화되었다. 선의 곡률과 완만화는 Simoo 적용시 축척에 따라 감소하였다. 결과적으로 Douglas-Peucker보다는 Simoo 알고리즘이 지도학적 일반화에 적합하다고 볼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suggest new algorithm, named as Simoo, in order to improve spatial conflicts and vector displacement between linear features in generalization of the linear features. Main principles of Simoo algorithm is adoption of simplification and smoothening methods, Tolerance conditions used in Simoo are perpendicular length, external angle, and average vertex length. Main characteristics of Simoo are the application of scale, cartographic refinement, minimization of logical errors, and maintenance of geographical properties. The Simoo was applied through comparison to existing Douglas-Peucker algorithm. Resultantly, maintenance ratios of line such as coastal line and stream network were over 97% in both algorithms. The elimination ratio of vertex points may be more effective in Douglas-Peucker than in Simoo. Spatial conflicts between linear features may be more minimized in Simoo. The curvature and smoothening of lines become decreased in scale in application of Simoo. Finally, Simoo algorithm may be more effective than Douglas-Peucker for cartographic generalization.

      • KCI등재

        GIS를 이용한 한반도 기온의 시·공간적 분포패턴에 관한 연구

        김남신 한국지형학회 2008 한국지형학회지 Vol.15 No.2

        This study is to construe spatio-temporal characteristics of temperature in cities and changes of climatical regions in analyzing a change of Korea Peninsular climate. We used daily mean air temperature data which was collected in South and North Korea for the past 34 years from 1974 to 2007. We created temperature map of 500m resolution using Inverse Distance Weight in application with adiabatic lapse rate per month in linear relation with height and temperature. In the urbanization area, the data analyzed population in comparison with temperature changes by the year. An annual rising rate of temperature was calculated 0.0056?, and the temperature was increased 2.14? from 1974 to 2107. The south climate region in Korea by the Warmth index was expanded to the middle climate region by the latitude after 1990s. A rise of urban area in mean temperature was 0.5-1.2?, Seoul, metropolitan and cities which were high density of urba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with the population increase between 1980s and 1990s. In case of North Korea, Cities were Pyeongyang, Anju, Gaecheon, Hesan. A rise in cities areas in mean temperature has influence on vegetation, especially secondary growth such as winter buds of pine trees appears built-up area and outskirts in late Autumn. Finally, nowaday we confront diverse natural events over climatical changes, We need a long-term research to survey and analyze an index on the climatical changes to present a systematic approach and solution in the future. 본 연구는 한반도 기온변화를 분석하여 기후대의 변화와 도시지역에서의 기온분포의 시·공간적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자료는 1974년부터 2007년까지 34년간 남북의 기상관측소에서 수집된 자료를 활용하였다. 기온은 고도와 선형관계를 갖기 때문에 고도별 월별 기온단열감율을 계산하여 역거리가중법으로 500m 해상도의 분포도를 작성하였다. 도시화 지역에서의 자료는 연도별 인구변화와 기온변화를 비교·분석하였다. 기온의 연간상승율은 0.0056℃로 계산되었는데, 1974년과 2107년에는 2.14℃나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온변화에 따라 온량지수로 구분한 기후대는 남부기후구가 90년대 이후 위도가 크게 상승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도시지역의 평균기온상승은 80년대와 90년대에 0.5-1.2℃ 상승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기온이 상승한 도시지역은 서울과 광역시 그리고 시단위 지역에서 나타났는데 이들 지역은 80년대와 90년대에 인구증가와 더불어 도시화와 산업화의 속도가 빠르게 진행된 지역이다. 북한의 경우는 평양, 안주시, 개천시, 혜산시에서도 인구증가와 더불어 기온상승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시의 기온상승은 식생에도 영향을 미쳐 소나무의 경우 겨울눈의 이차생장이 늦가을에 대도시의 도심부와 주변부에서 확인되고 있다. 미래의 기후변화에 대해 체계적인 접근과 대응책을 제시하기 위해서는 인덱스를 찾아 장기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