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여성관리자의 이직과 경력단절

        김난주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2016 ISSUE PAPER Vol.2016 No.1

        ■ 여성관리자가 퇴직 시 미취학 자녀가 있었는지를 조사한 결과, ‘자녀있음’은 전직자 58.3%, 비취업자 76.5%였고 이중 ‘미취학자녀가 있다’는 전직자는 32.3%, 비취업자는 47.7%로 나타남. 비취업자는 전직자보다 ‘자녀있음’ 비율이 높고 특히 미취학자녀는 15.4%p 높은 것으로 나타남. ■ 퇴직시 미취학자녀 양육의 어려움 중 ‘아이가 여러 돌봄 사람을 구하기 어려웠다’를 선택한 비율은 전직자는 34.6%, 비취업자는 58.3%로 여성관리자의 경력단절에 ‘육아’가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남.

      • KCI등재

        주 52시간 상한제가 근로자의 일・생활 균형에 미친 영향 :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김난주 이화여자대학교 젠더법학연구소 2022 이화젠더법학 Vol.14 No.2

        주 52시간 상한제 시행 최대 4년 차를 경험한 100인 이상 사업체 근로자를 대상으로 실태조사 결과 주 52시간 상한제 시행 이후 총 근로시간이 증가한 비율은 여성 0.7%, 남성 1%로 나머지는 변화가 없거나 감소하였다. 근무환경 변화에서는 ‘업무 효율’과 ‘정시 퇴근’의 증가와 함께 ‘노동 강도’와 ‘경영진의 근로시간 통제’도 증가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주 52시간 상한제 이후 시간 사용 변화로 여성보다 남성은 ‘가사시간’, ‘자녀 양육 및 돌봄 시간’이 증가했다고 응답한 수준이 높았다. ‘근로시간 결정 자율성 확대’, ‘개인 일・생활 균형’, ‘장시간 근로 관행 개선’, ‘회사의 생산성 향상’으로 측정한 주 52시간 상한제 시행 성과에 대해 여성과 남성 모두 긍정 응답비율이 부정보다 높은 가운데 여성은 남성보다 긍정 응답 수준이 유의미하게 높았다. 주 52시간 상한제 시행 성과 중 주 52시간 상한제 도입 주요 목적인 ‘일・생활 균형’의 결정요인을 실증 분석한 결과 실제 총 근로시간이 증가했다고 응답할수록 ‘일・생활 균형’에 부(-)의 영향을 미쳤다. 주 52시간 상한제 이후 ‘업무 효율’과 ‘정시 퇴근’ 증가는 ‘일・생활 균형’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여성은 ‘노동 강도’ 증가, 남성은 ‘경영진 근로시간 통제’ 증가가 일・생활 균형에 부(-) 의 영향을 미쳤다. 유연근무제 중에서는 근로 시간 자율성에 부합하는 ‘선택적 근로시간제’ 실시가 남성의 ‘일・생활 균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나머지 ‘탄력적 근로시간제’와 ‘재량 근로제 실시’는 여성과 남성을 불문하고 ‘일・생활 균형’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남성보다 여성이 ‘주 52시간 상한제 일・생활 균형’ 수준이 유의미하게 높은 것과 시간 사용 변화에서 주 52시간 상한제 이후 남성의 ‘가사시간’ 및 ‘자녀 양육 및 돌봄 시간’ 증가 수준이 여성보다 큰 것에서 주 52시간 상한제는 일과 생활에서의 성 고정 역할 개선에 효과가 있다고 평가할 수 있다. According to a survey of workers in businesses with 100 or more employees who have experienced the 52-hour work week system up to a maximum of four years, an increase of working hours was reported only in 0.7% of women and 1% of men, with the rest having experienced no change or a decrease. With regard to the changes in the working environment, “work efficiency” and “leaving work on time” increased, while “labor intensity” and “management’s controlling of working hours” also increased. When asked about changes in time use after the introduction of the 52-hour ceiling, men reported higher levels of increase in “time spent doing domestic chores” and “time spent for taking care of children and family” than women. When “greater autonomy in determining working hours,” “work-life balance of individuals,” and “changes in the practice of working long hours” were cited as accomplishments of the maximum 52-hour work week system, the percentage of positive responses were high both in women and men. The accomplishments of the maximum 52-hour work week system was analyzed using linear regression by assigning “work-life balance” as the dependent variable, and it was found that the 52-hour ceiling had a more positive effect on the work-life balance of women than men. Regardless of gender, the 52-hour ceiling’s effect on “work-life balance” decreased in proportion to increased actual total working hours, and the increase in “work efficiency” and “leaving work on time” enabled by the maximum 52-hour work week had a positive (+) effect on “work-life balance”. “Work-life balance” was negatively influenced by the increase of “labor intensity” for women and “management’s controlling of working hours” for men. The implementation of the “selective working hours system” was the only factor that positively influenced men’s “work-life balance” while the remaining systems of “flexible working hours system” and “discretionary working system” had no significant impact on the “work-life balance” of women and men alike. The maximum 52-hour work week system can be evaluated as having contributed to breaking gender stereotypes at work and home, considering that the 52-hour ceiling improved women’s “work-life balance” and increased men’s “time spent doing domestic chores” and “time spent taking care of children and family.”

      • 생선묵에 첨가된 전분 함량

        김난주,송미선,이기주,전미영,조성희,허은영 효성여자대학교 가정대학 학도호국단 1985 家政大論集 Vol.4 No.-

        시판 생선묵 26종을 무작위로 수집해서 전분 함량을 조사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 1. 전분 함량이 5∼10%되는 것이 19.2%, 10∼20%되는 것은 69.2%로서 가장 많았고, 20∼30%나 되는 많은 양의 전분을 첨가한 제품도 11.5%나 되었다. 2. 비교적 값비싼 제품이 전분을 더 많이 첨가하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experiment was to investigate the content of starch in the 26kinds of fishcake which were randomly sampled The results of it were as follows ; 1. The highest percentage of those fishcake, the starch containing rate 10~20%, was 69.2% among all of them. The next, the starch containing rate 5~10%, was 19.2% And the last, the starch containing rate 20~30%. was 11.5%. 2. The expensive fishcake, the higher containing rate of starch.

      • KCI등재
      • 모성보호에서 일과 삶의 균형으로

        김난주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2016 ISSUE PAPER Vol.2016 No.1

        ■ 출산전후휴가 급여와 육아휴직급여가 고용보험에서 지급되기 시작한 2001년 11월 이후 관련 제도는 매년 개선되어 추진되어 옴. - 양대 모성보호 제도 뿐만 아니라 직장어린이집(2005년), 육아기근로시간단축제(2007년), 배우자 출산휴가(2007년), 임신기근로시간단축제(2014년), 육아휴직의 아빠의 달 도입(2014년) 등의 제도들이 도입되어 추진 중에 있음. ■ 본 연구에서는 선진국에 견주어 부족함이 없는 모성보호 관련 제도의 효과적인 추진을 위해 제도 개선에 대한 제안과 신규 제도를 제안하였음.

      • KCI등재

        한․일 쟁총형(爭寵型)서사의 비교 연구- 주로 17세기 이후 근세 소설을 중심으로 -

        김난주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8 人文硏究 Vol.- No.82

        This study intends to figure out the features of love struggle stories of Korean and Japanese literature in the recent era by comparing those stories’ plots, especially focus on conflicts between one’s wife and concubine. “Jealous wives” are set as wicked women in the Korean and Japanese literature. In Korean classical literature, it is almost a concubine to do evil, and cause disruption of the family. But, in Japanese literature, the place of the wicked woman is traditionally occupied by the first wife. And, in the Korean love struggle stories, the wicked acts of concubines are varied, plotting to expel the wedded wife, child murder, adultery, etc. But, the main story of the Japanese love struggle stories in the recent era is that the dead ex-wife becomes a revengeful ghost and kills her husband and a concubine. But, in Korean classical novels, the motif of killing husband is not be found. And the revengeful ghost only appears in stepmother type novels, but in love struggle novels. The ending structure of the Korean love struggle is that the wicked concubines meet miserable ends, and the graceful wedded wife returns to her home, and restores the family and leads to the path of prosperity. But the Japanese novel ends with the extermination and the complete dissolution of the family due to the revenge of the dead ex-wife. 본 논문은 주로 17세기 이후 한일 쟁총형(爭寵型) 소설에 등장하는 처․첩(후처)간의 갈등 구조를 비교 고찰함으로써 양국 쟁총형 서사의 특질을 탐색하고자 한 것이다. 한 지아비와 여러 부인을 둘러싼 애정 갈등이라는 동일한 소재에도 불구하고 한일 쟁총형 서사는 악인의 설정과 갈등의 전개 양상, 결말 구조에 이르기까지 몇 가지 중요한 차이를 드러낸다. 먼저 근세시기 한일 쟁총형 서사에서 한 집안에 갈등과 비극을 몰고 오는 악녀는 공통적으로 ‘투기하는 아내’들로 설정된다. 그런데 흥미로운 것은 양국 문학이 이들 악녀를 정반대로 지목한다는 점이다. 즉, 한국 고전문학에서는 집안에 분란을 일으키고 악행을 저지르는 것은 거의 언제나 첩(후처)인데 비해, 일본의 경우 악녀의 자리는 전통적으로 첫째 부인이 차지한다. 한국 쟁총형 소설에서 후처들이 벌이는 악행의 양상은 모략과 적처 축출, 자식 살해와 간통, 남편 살해기도 등 다양하다. 이에 반해 근세 시기 일본 쟁총형 서사는 죽은 전처가 원귀가 되어 나타나 후처와 남편을 살해하는 내용이 핵심을 이룬다. 즉 괴담이라는 형식과 남편 살해 모티프가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는데, 특히 가부장 살해는 한국 쟁총형 소설에서는 찾아볼 수 없다는 점에서 좋은 대비를 이룬다. 또한 한국 고전소설에서 원귀가 등장하는 것은 <장화홍련전> 같은 계모형 소설이지, 쟁총형 소설에는 나타나지 않는다는 점 역시 한일 쟁총형 서사의 커다란 차이점이라 볼 수 있다. 한국 쟁총형 소설의 결말 구조는 철저하게 권선징악의 룰을 따른다. 즉 악녀는 패배하여 대개 비참한 말로를 맞이하고 정숙한 첫째 부인은 온갖 시련에도 불구하고 집으로 돌아와 가정을 복구하고 대대손손 번영의 길로 이끈다. 이에 반해 일본 근세 문학은 적처의 복수로 인한 가족의 몰살과 가정의 해체로 끝나는 경우가 많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