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일하는 고등학생들

        김기헌(Kihun Kim) 한국사회학회 2003 韓國社會學 Vol.37 No.6

        본 논문에서는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종단 분석을 통해 이전의 학업 성적이 시간 제 취업에 미치는 영향(이전의 학업 성적 → 시간제 취업)과 시간제 취업이 현재의 학업 성적에 미치는 영향(시간제 취업 → 현재의 학업 성적)을 살펴보았다. 경로모형(path model)을 통해 분석해본 결과, 부의 교육수준과 가구 소득 등 가족배경요인이나 이전의 학업 성적 등 현재의 학업 성적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변수들을 통제한 상태에서도 시간제 취업은 현재의 학업 성적에 대해서 부(-)의 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시간제 취업이 학업 성취에 대해서 긍정적인 효과를 갖는다는 가설보다는 부정적인 효과를 갖는다는 가설이 우리 현실과 더 부합됨을 의미한다. 동시에 학업 성적이 시간제 취업에 미치는 영향의 경우도 미약하나마 부(-)의 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선행 연구에서 발견되고 있는 결과로서 약간의 시간제 취업은 전혀 취업 경험이 없는 경우보다 오히려 학업성취도가 높다는 유선형 효과(curvilinear effect)를 검토해보았다. 그 결과, 유선형 관계는 뚜렷하게 확인되지 않았으며 둘간의 관계는 선형 관계일 가능성이 더 높음을 발견하였다. 다음으로 본 연구는 이러한 결과가 성별이나 학교 유형별로도 동일한 양상을 보여 주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남녀별로 시간제 취업과 학업 성적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남학생의 경우 부의 교육수준이 낮을수록, 여학생의 경우 학업 성적이 좋지 않을 때 시간제 취업 강도가 높아지는 경향이 있음을 발견하였다. 학교유형별로 살펴본 결과, 실업계 학생의 경우 학업 성적이 시간제 취업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선형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학생들이 처한 위치에 따라서 둘간의 관계는 다른 양상을 보여줄 것이라는 선택 효과(effects of selection) 혹은 구조적 제약(structural constraints)을 보여주는 것이 라고 할 수 있다. This longitudinal study analyzes the effect of previous academic achievement on part-time work and the effect of part-time work on present achievement in Korea. The data from Youth Panel is used to examine the models though LISREL path analysis. Academic achievement variable is defined by high school GPA and part-time work variable is measured work intensity, how many hours a student has worked for week. As a result, high school students’ employment has negative effect on present GPA while controlling family background variables(father’s education, family income) and previous GPA. I also find that previous GPA have a little negative effect on work intensity. But I do not find a curvilinear effect, that employment is a slightly positive effect on academic achievement, different with previous research findings. In the following analysis, I examine how the mechanism of employment and academic achievement varies between different groups by gender, school type. The effect of the family background on in-school employment is found to be larger for men than for women, on the other hand, the effect of previous achievement is larger for women than for men. And I find that employment have a little positive effect on present GPA in case of vocational school students. This result proves the fact that negative effects attributed to employment are selection effect or the result of structural constraints.

      • KCI등재

        고등교육 진학에 있어 가족배경의 영향과 성별 격차

        김기헌(Kim Kihun),방하남(Phang Hanam) 한국사회학회 2005 韓國社會學 Vol.39 No.5

        본 논문은 유사한 교육제도와 교육 확대 추세를 보여주고 있는 한국과 일본을 대상으로 고등교육 진학에 있어 교육 불평등의 경향을 교육정책과 계열화 구조에 주목하여 분석하고 있다. 두 국가의 고등교육은 상당한 유사점을 공유하고 있으면서도 정부정책의 흐름과 교육계열화의 형태에 있어서 차이점을 보여주고 있다. 곧, 1980년을 전후로 한국은 고등교육의 확대를 위한 정책적 노력을 기울인 반면 일본은 사립대학의 설치 및 정원 확대를 인가하지 않는 조치를 취하는 등 고등교육을 억제하고자 했다. 교육계열화에 있어서 한국은 정규교육, 특별히 전문대의 확대를 통해 교육 수요를 수용해 온데 비해서 일본은 정규교육 밖의 전수학교라는 중등후교육기관의 확대를 통해 교육적 수요를 대체해 왔다. 동시에 일본은 성별로 분절된 고등교육 구조(대학은 남성, 단기대학은 여성)를 현재까지도 가지고 있으나 4년제 대학 진학에 있어 성별 격차가 급속히 감소한데 비해서 한국은 고등교육 전반에 있어 성별 격차 그 자체는 크지 않으나 지속적으로 유지되어 왔다. 한국노동패널자료(KLIPS)와 일본일반사회조사(JGSS) 자료를 이용하여 가족배경의 영향과 성별 격차의 추이를 분석해 본 결과, 한국의 경우 고등교육 진학에 있어서 가족배경 요인들의 영향은 지난 시기 동안 변화하지 않고 유지된 반면 일본은 아버지의 교육에 한해서 최근 들어 그 영향이 확대되고 있는 양상을 보여주었다. 교육계열화와 관련하여 두 국가는 일관되게 가족배경 요인들이 하위계열(전문대)보다는 상위계열(일반대) 진학에 더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 격차와 관련 일본은 양적 차별화(대학 진학/미진학)에 있어서 남녀간의 격차가 뚜렷하게 감소하고 있는데 반해서 한국은 질적 차별화(일반대 진학/전문대 진학)에 있어서 남녀간의 격차가 매우 빠른 속도로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두 국가 모두 성별 격차에 있어서 남녀간 경쟁은 (전문대를 포함한) 대학 진학 여부에 있는 것이 아니라 어느 계열(일반대/전문대)로 진입하는가를 둘러싸고 전개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focuses on educational policies and tracking system as it analyzes the effects that social class and gender differentials have on the transition to higher education over time in Korea and Japan. Although both countries show similarities at the level of higher education, Korea and Japan differ from each another in the following important ways. First, Japanese government policies constrained the continued expansion of higher education through control policies, whereas the Korean government has been attempting to accelerate the expansion of higher education since 1980. The demands of higher education in Korea have been solved by the rapid expansion of junior colleges, while the diverse needs of specialized technical education in Japan have been met through specialized training colleges, which play a unique role in Japanese post-secondary education. Although they are not considered a formal rung on the ladder system of the Japanese school system, these colleges have developed steadily as lifelong learning institutes from 1975. Yet another difference between the two countries is reflected in the different proportions of female students enrolled at higher levels of education. Although Korea and Japan show similarities in terms of the proportion of female students attending universities during the post-war period, the number of women in junior colleges differed markedly. Male students constitute almost 60 percent of the student body in Korean junior colleges, whereas Japanese junior colleges are highly gender-segregated. During the post-war period, over 80 percent of Japanese junior college students were female. By comparing the 2002 Korea Labor and Income Panel Study(KLIPS) and the 2002 Japanese General Social Survey(JGSS), this study examines whether or not the effects of family backgrounds declined across age cohorts in Korea and Japan, with one result showing that social origins differentials have not changed over time with the exception of the father's education in Japan. This study observes that different educational pathways in the school system lead to different conditional probabilities for entering higher education in both Korea and Japan. Additionally, this study explores how educational continuation across age cohorts varies by gender in between the two countries. Japan shows a decreasing pattern in quantitative differentiation, while Korea displays the same pattern in qualitative differentiation. Finally, the gender differential in the two countries reveals something about the quality of placement in selective educational tracks in levels of higher education.

      • KCI등재

        상업가로의 물리적 특성과 보행밀도와의 연관성 분석

        김기헌(Kim, Kihun),손동욱(Sohn, Dongwook),이동훈(Lee, Dong-Hoon) 한국도시설계학회 2014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15 No.5

        자동차 중심 도시교통 체계로 인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서 보행 친화적 도시설계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특히 도심부의 재생 측면에서 상업가로의 활성화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보행 친화적 가로환경을 조성하고자 하는 노력들이 여러 도시들에서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보행을 주제로 한 연구들은 근린차원 내지는 거주지 중심의 보행환경에 집중하고 있어 실제 도시재생을 위한 중요 계획 대상인 상업지역에서의 보행활동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도시 내 상업가로의 물리적 특성과 보행활동간의 연관성을 분석하여 상업가로의 보행 친화적 정비를 위한 중요 계획요소를 도출하고, 이를 통해 상업지역의 보행 활성화를 위한 가로 정비 방향을 제시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특히 상업 가로를 가로망 특성에 따라 격자형과 비격자형 가로로 구분하고 이러한 가로망 특성의 차이가 보행과 가로의 물리적 환경사이의 상호작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가로의 물리적 특성은 보행자의 직접적 인지영역으로 볼 수 있는 가로변 1층부의 입면 및 토지이용 특성과 보행로 특성으로 한정하였으며, 공간구문론(Space Syntax) 분석에 의한 가로의 국부통합도(local integration)를 측정하여 분석가로의 공간적 위계에 의한 보행밀도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edestrian traffic volume and the urban environmental factors of streets in commercial areas. The analysis examines the effects of ground level facades and land use factors on pedestrian traffic volume at street level. The effect of the street configur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destrian traffic volume and urban environmental factors of streets are compare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indicate that the permeability of wall structures and clothing retail uses at ground level, as well as good street connectivity a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an increase in pedestrian traffic volume in commercial areas. The effects of these factors, however, are differentiated by the street configuration.

      • 청년정책 전달체계 및 참여 거버넌스의 현황과 과제

        김기헌 ( Kihun Kim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2 보건복지포럼 Vol.305 No.-

        이 글에서는 청년정책 전달체계와 더불어 참여 거버넌스를 분석하였다. 중앙행정기관의 청년정책 전달체계는 개별적으로 정책 서비스 지원이 이루어지면서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접근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으며, 지자체에서는 광역과 기초지자체 간의 연계가 잘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앙행정기관의 참여 거버넌스는 부처 및 지자체 협의체를 비롯해 청년 참여 기구를 갖추기 시작하는 단계에 그치고 있으며, 지자체에서는 청년센터 운영 과정에서 민관 협력과 관련하여 다양한 문제가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글에서는 중앙정부 차원에서 관문(gateway) 역할을 담당하는 전달체계를 갖추고 참여 거버넌스를 강화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지자체 차원에서는 청년센터의 기능과 역할을 명확히 하고 센터 운영위원회에 청년들이 실질적으로 참여하도록 하는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This paper examines the youth policy delivery system and participatory governance. In the vertical structure of the youth policy delivery system, support from the central government is provided in a segmented manner and does not allow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access. In addition, there is a lack of link between local governments, especially between metropolitan and lower tier municipalities. In the horizontal structure of the youth policy delivery system, however, the central government has just begun establishing youth participation committees, and the local governments are experiencing various problems related to public-private partnership in the process of operating local youth centers. This paper suggests that the central government needs to organize a delivery system that can function as a gateway, and to reinforce participatory governance. Local governments need to clearly define the functions and role of local youth centers and find ways to engage youth in operating committees for local youth centers.

      • KCI등재
      • KCI등재

        가족 배경이 교육단계별 진학에 미치는 영향

        김기헌(Kihun Kim) 한국사회학회 2004 韓國社會學 Vol.38 No.5

        본 논문은 교육 지속성(educational continuation)에 대한 가족배경의 효과를 분석하고 있다. 기존의 연구들은 대체로 교육 단계(중학교 → 고등학교 → 대학교 → 대학원)가 올라갈수록 상위 학교 진학에 미치는 가족배경의 효과는 감소한다는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첫 번째로 본 연구는 가족배경을 문화적(부모의 교육수준), 경제적(부의 직업), 그리고 사회적(상위 전문직에 종사하는 친척 유무) 측면으로 구분하여 가족배경의 각 측면들이 교육단계별 진학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살펴보았다. 이항 로짓모형(binary logit model)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부모의 교육수준이나 가족의 사회적 자본은 상위 단계로 올라갈수록 그 영향이 감소하였으나 부의 직업의 효과는 상위단계로 올라가도 감소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대학교에서 대학원으로 진학하는 단계에서 가족배경 변수들은 공통되게 실질적인 효과를 갖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로 본 연구는 교육 지속성에 관한 기존 연구들이 주로 이용하고 있는 이항 로짓 모형을 통한 결과와 함께 교육 경로(educational pathways)를 고려한 다항 로짓모형(multinomial logit model)을 동시에 살펴보았다. 그 결과, 교육 경로별로 고등교육진학에 있어서 전혀 다른 조건적 이행 확률을 보여준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곧, 실업고를 졸업한 학생들은 대학 진입에 있어서 인문고를 졸업한 학생들에 비해 매우 낮은 조건적 이행 확률을 보여주었다.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s of family background on educational continuation in Korea. Previous research has insisted that parental effects decline across school transitions. Using 1998-2002 data from the Korea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the KLIPS), this study examines whether or not the effects of family background decline in higher education levels and vanish in graduate school level in Korea though binary logit model and multinomial logit model. First of all, this study examines whether or not family background declines school transitions using Mare model (1980). As a result, the effect of family’s cultural and social capital declines across transitions, while the effect of family’s economical capital never declines across transitions. In addition, family background variables do not have substantial effects on the likelihood that university graduates go to graduate school or not. In the following analysis, this study additionally analyzed the multinomial logit model in comparison with the traditional binary model. This study confirms that the Mare model tends to deflate family background effects on school transitions, especially, at the secondary education levels. Also, this study observes that different educational pathway in the school system leads to different conditional probability on school transitions.

      • CVJ 절각력 저감을 위한 설계인자 민감도 분석 및 최적화 연구

        김기헌(Kihun Kim),문수영(Sooyoung Moon),이재원(Jaewon Lee) 한국자동차공학회 2019 한국자동차공학회 학술대회 및 전시회 Vol.2019 No.11

        Due to the high performance of the constant velocity joint, various problems may arise in terms of the function and strength of the constant velocity joint. Due to the miniaturization, strength degradation may occur. High keratosis of the joints can lead to problems of functional problem strength degradation. In this study, we discuss the articulation (functional) problems of constant velocity joints that can be caused by high keratinization. We have applied a design concept called angle offset to implement a high-angle joint. The angle offset can compensate for the strength by ensuring sufficient groove depth even under high angled conditions. However,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machining is difficult and it is not easy to match the exact dimensions. As a result, a high friction force between the initial ball and the groove is generated, thereby causing a high bending resistance. High friction forces reduce the efficiency of the joint and can be a source of durability problems. In this study, the design factors affecting the bending resistance are derived and the sensitivity is analyzed to derive the factors that can minimize the bending resistance. The optimization technique uses DOE and the strength analysis will also confirm the strength robustness of the model.

      • 모터를 보조 동력으로 사용하는 4륜 차량의 동력 성능 예측에 관한 연구

        백설(Serl Baik),김기헌(Kihun Kim),임흥혁(Heunghyeok Yim) 한국자동차공학회 2012 한국자동차공학회 학술대회 및 전시회 Vol.2012 No.11

        This paper describes the development of the hybrid vehicle components to simulate the performance of the e-4WD vehicle which the electric motor acts as a supplement to the engine torque. The e-4WD vehicle model utilizes KIA Sportage-R 4WD(integrated motor assist) architecture. In order to enhance the accuracy of the performance simulation for the e-4WD vehicle, we developed new virtual driver model with the motor component, the differential gear component and etc.. The new virtual driver model control the torque distribution ratio(the front wheel to rear wheel) automatically without the control algorithm. The results obtained using the new virtual driver compared to MATLAB simulation results and were correlated well. The developed hybrid components and the virtual driver offers a simulation platform that is modular, flexible, and can be conveniently modified to create different types of hybrid or electric vehicle models.

      • KCI등재

        청소년정책 추진체계의 유형과 정책성과에 관한 OECD 국가 비교

        정은진(Jung, Eunjin),김기헌(Kim, Kihun)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8 한국청소년연구 Vol.29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청소년정책 추진체계의 바람직한 방향을 도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청소년정책의 성과로써 니트(NEET: Not in Employment, Education, and Training, 일이 없고 교육을 받지 않고 훈련도 받지 않는 젊은이)비율을 다루었다.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성인기 이행이 지연되면서 니트 비율이 주요한 현안으로 부상하고 있기 때문이다. 니트(NEET)비율을 높이는 데 영향을 주는 요인은 기존연구를 토대로 GINI 계수, 국내총생산(GDP), 공공사회복지지출(SOCX)을 고려하였고, 새로운 요인으로 청소년정책추진체계(청소년정책 담당 전담 기구)를 고려했다. 니트(NEET)비율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의 결합을 확인하기 위해 퍼지셋 질적비교분석(fsQCA: Fuzzy Set Qualitative Analysis)을 활용하였고 OECD국가들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우리나라는 높은 NEET비율에 영향을 주는 원인조건 모델1(~사회복지지출*~GDP)과 모델2(~GDP*GINI)에 해당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낮은 NEET비율에 영향을 주는 원인조건을 분석하여, 모델1과 모델2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확인한 결과, 모델a(~사회복지지출*~GDP*~GINI)와 모델b(정책추진체계*~GDP*GINI)가 적절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우리나라가 NEET비율을 줄이기 위해 사회 불평등 수준을 낮추거나 혹은 청소년정책 전담 기구의 유형을 행정 부처수준으로 높이는 것이 필요하다는 점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청소년정책 추진체계에 초점을 두고, 국내 NEET비율을 낮추기 위해서 행정부처 이름에 청소년 명칭을 포함하고 행정부처의 업무에 청소년정책의 우선순위를 높이는 것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set a desirable direction for South Korea’s youth policy system. To this end, the not-in-employment-education-or-training (NEET) rates were examined as indicators of youth policy performance. In terms of the factors increasing the NEET rates, the GINI coefficient, GDP and SOCX were considered, in accordance to previous studies. In this study, the idea of a new youth policy promotion system (youth policy unit) was also examined. To analyze the combination of the factors affecting the NEET rates, a fuzzy set qualitative analysis (fsQCA) was performed with OECD member countri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factors having an influence on high NEET rates in South Korea belonged to Model 1 (-SOCX*-GDP) and Model 2 (-GDP*GINI). According to our analysis of the causal conditions having influence on low NEET rates, it was confirmed that Model a (-SOCX*-GDP*-GINI) and Model b (policy promotion system*-GDP*GINI) are suitable ways of solving the problems of Models 1 and 2. In other words, what is needed is a lowering of the level of social inequality and an upgrade in youth policy agencies to the same level as governmental administrative bureaus.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the necessity of including the names of administrative bureaus in youth titles and increasing the priority of youth policy in the duties of administrative bureaus to reduce Korean NEET rat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