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 Comparative Study of Korea and Qingdao’s Long-term Care Insurance Policy and its Enlightenment

        김근홍(Kim Keunhong),맹상기(MENG Xiangqi) 한국노년학회 2018 한국노년학 Vol.38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정책 비교를 통한 한국의 장기요양보험 제도가 중국 청도의 장기요양보험 시스템 구축에 미치는 영향과 시사점을 검토하는데 있다. 중국과 한국의 문화배경, 생활습관 및 인구구조 등 다양한 측면에서 매우 유사하여 한국 장기요양보험의 성공적인 경험은 중국 청도의 장기요양보험 제도를 구축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본 연구는 문헌연구를 통해 Gilbert & Terrell의 사회복지정책분석 프레임워크에서 청도와 한국의 장기요양보험 정책을 비교해 보았다. 정책비교를 통해 청도의 현재 시범 정책 문제점들로 입법 지원 부족, 재정 독립 그리고 심사 기준 등이 명확하지 않고 인적자원 부족을 논의하였다. 이에 다양한 차원에서의 정책비교를 통해 법제 지원, 평가기준 상세화, 혜택범주 확대화, 서비스네트워크 강화, 재원 최적화를 위해 청도의 장기요양보험 개선 제안들을 결론으로 제시해 보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nlightenment of the Korean long-term care insurance policy on Qingdao’s long-term care insurance policy through policy comparison. China and Korea are very similar in terms of cultural background, living habits, and population structure. Therefore, the successful experience of Korean long-term care insurance has great implications for Qingdao even China to build a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this article compares the long-term care insurance policy implemented by Qingdao City and Korea in Gilbert & Terrell’s social welfare policy analysis framework. With the comparison this article discusses about the existing problems of the current pilot policy system in Qingdao, such as lack of legislation support and financial independence, assessment standards are not detailed, and human resources are insufficient. The author raises five suggestions to improve Qingdao’s long-term care policy as the conclusion of this paper: legislation support, detailed assessment standard, expand categories of benefits, enrich delivery network, optimize financing sources.

      • KCI등재

        노인장기요양시설 종사자들의 직무스트레스와 인권옹호행동, 직무만족의 구조적 관계:

        김근홍(Kim, Keunhong),송지원(Song, Jiwon) 한국노년학회 2017 한국노년학 Vol.37 No.3

        본 연구는 서비스의 질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치매관련(장기요양시설) 종사자들의 직무만족 및 인권옹호행동과 직무스트레스, 사회적 지지의 구조적 관계를 파악하고자 진행되었다1). 이를 위해 경기도 내 노인요양시설, 주야간보호시설, 방문요양센터 등에 근무하는 치매관련 종사자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 후 210부를 회수하였고 부실응답 설문지 13개를 제외한 후 197명의 응답자료를 AMOS와 SPSS 21.0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직무스트레스는 사회적 지지에 직접적인 영향(-.276)을 유의하게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지지도 역시 직무만족에 직접적인 영향(.315)을 유의하게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권옹호에서도 직무만족에 직접적인 영향(.175)을 미치고 간접적인 영향(.102)을 미치므로 .277의 총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써 사회적 지지가 인권옹호와 직무만족을 부분매개 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직무스트레스는 직무 만족에 -.217의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095의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122의 총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지지가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을 부분매개 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놓고볼 때 치매관련종사자들의 직무만족을 높이기 위해서는 사회적 지지를 인식할 수 있는 환경에서 인권옹호행동을 증대하고 직무스트레스를 줄여줄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Recently, as the number of patients with dementia using nursing homes increases, the interest about the quality of care services is increasing. Job satisfaction of caregivers is very important factor in the quality of care service. In addition, as perception of human rights is heightened, human rights behavior in nursing homes is also recognized as an important facto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human rights behavior, job stress, and social support of dementia workers who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quality of care service. For this purpose, 210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300 dementia workers working in the elderly nursing home, day·night care center, and domiciliary visit care center in Gyeonggi province. After excluding 13 questionnaires, the questionnaires were analysed by AMOS and SPSS 21.0.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following. It was found that job stress significantly affects the social support directly (-.276). Also, social support significantly affects job satisfaction (.315). On the other hand, human rights advocacy has a direct effect on job satisfaction (.175) and an indirect effect(.102), showed a total effect of (.277). This shows that social support partially mediates human rights and job satisfaction. Job stress had a direct effect on job satisfaction(-.217) and an indirect effect(-.095), indicating a total effect of (-.312), and social support partially mediated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Could know.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n order to improve the job satisfaction of the dementia workers,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human rights advocacy behavior and reduce the job stress in an environment that recognizes the social support.

      • KCI등재

        독일 수발보험 관련법의 개정과 시사점 -급여와 신 평가모듈을 중심으로-

        김근홍(Kim, Keunhong) 한국노인복지학회 2020 노인복지연구 Vol.75 No.1

        독일 수발보험법은 약 20여년의 준비과정을 걸쳐 사회법전 11편(SGB IV)으로 제정되면서 공식적으로 시행된 지 25년을 맞았다. 1995년 재가서비스와 부분시설서비스, 1996년에는 시설거주자 대상의 시설급여를 제공하면서 보험급여 범위를 확대시켰다. 4반세기가 지나는 동안 총 23회에 걸쳐 수발보험 관련 법률 개정이 이루어졌다. 수발보험 도입 초기에는 개정이나 추가 입법이 거의 없고, 물가 등 현실 변화를 반영하는 2002년 수발급여보완법(Pflegeleistungsergäzungsgesetz)과 2003년 보험료율 안정화법 정도의 변화가 있었다. 수발보험 시행 10년이 지나며 중기에도 개혁보다 개선 정도의 변화였다. 시행 20년 이후 수발보험법은 대대적인 개혁을 맞이하는데 총 3차례 걸친 수발강화법(Pflegestärkungsgesetz)이 대표적이다. 특히 2018년 효력이 발효된 수발직업 개혁법은 노인수발과 환자수발의 직업교육을 통합했고, 수발인력강화법을 통해 13,000명의 인원을 증원하면서 수발시설의 인력수준 적정화를 도모하였다. 수발업무 평가(NBA)도 씻기, 옷 입기, 식사 등 분단위(Minutenpflege) 평가에서 2017년부터 자립성 정도 중심으로, 그 제약이나 손상 정도를 평가하는 새 평가 모듈을 도입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독일의 수발보험 관련법 개정 추이를 한국과 비교하면서 특히 급여(보험료 포함)와 새 평가모듈을 중심으로 우리에게 시사하는 정책적 대안들을 제시해 보았다. Germany’s Care Insurance law has been officially enacted for 25 years since it was established as the 11th edition of the“Social Security Statue Book”(SGB IV) after its preparation for about 20 years. The range of insurance benefits was expanded by providing domiciliary care service and partial facility care service in 1995 and facility benefits such as facility wages for facility‘s residents in 1996. Moreover, 23 amendments were made for the German Care Insurance Related Act over the past quarter of the century. There were few amendments or additional legislation at the beginning of the introduction of the care insurance policy, however there were changes in Caring Service Amendment Act in 2002, which reflects changes in prices and realities over the time, along with the Insurance Rate Stabilization Act in 2003. 10 years after the insurance was implemented, the mid-term period was consistently improved but not fully reformed. After 20 years of implementation, consistent improvement led to 3 full reforms, the most prominent being the Care Support Act. In particular, the Act on Caring profession Reform, which took effect in 2018, integrated vocational education for senior citizens care and patients care. Under the Act on the Promotion of Care Workers, 13,000 additional proper personnel were prescribed for care facilities. The Care Work Evaluation (NBA) has changed from the “minutes care”- which included washing, dressing up, and eating - to a new evaluation module in 2017 which focuses on the degree of independence and its limitations and damages. The following study compares the development of Germany’s Care Insurance Related Law with Korea’s situation, especially focusing on wages and new evaluation modules. It also presents some policy alternatives.

      • KCI등재

        사회복지사의 윤리경영인식이 조직몰입을 매개로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 장애인복지시설 종사자를 중심으로

        김성현(Sunghyun Kim),김근홍(Keunhong Kim) 한국사례관리학회 2021 사례관리연구 Vol.12 No.1

        본 연구는 장애인복지시설에 근무하는 사회복지사들의 윤리경영인식이 조직시민행동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는데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조직몰입을 매개변인 하여 구조방정식모형으로 분석해 보았다. 연구를 위한 조사는 2018년 3월 19일-4월 15일까지 622명의 종사자(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설문하였다. AMOS 18.0과 SPSS 22.0 프로그램으로 기술통계, 빈도분석, T-검정, 상관관계, 분산분석, 확인요인분석과 구조방정식 모형들에 대해서 검증하였다. 그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 3가지로 언급된다. 첫째, 가설적 모형의 증분적합지수, 절대적합지수는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복지사의 윤리경영인식은 조직시민행동 부분에서 일정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복지사의 윤리경영인식은 조직몰입을 매개로 조직시민행동에 간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부분매개에도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연구결과들을 놓고 볼 때 윤리경영인식 변화는 조직신뢰 수준이나 종사자 태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들로서 차후 장애인복지시설의 효과적인 조직관리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nalyzed the ethical management awareness of social workers in welfare facilities for the disabled with a structural equation model, parameterizing organizational commitment to understanding the effect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 survey was conducted on 622 social workers from March 19 to April 15, 2018. The descriptive statistics, frequency analysis, T-test, correlation, ANOV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s were validated with AMOS 18.0 and SPSS 22.0 program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incremental fit index and the absolute fit index of the hypothetical model are appropriate. Secondly, the ethical management perception of social workers is found to have a certain influence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irdly, the ethical management perception of social workers has an indirect and significant effect on the behavior of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rough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a relationship has also been shown as a partial mediation factor.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the change in ethical management awareness is expected to be the measure to improve the level of organizational trust and attitudes of workers, and it could contribute to effective organizational management of welfare facilities for the disabled in the future.

      • KCI등재

        고령수발자의 수발실태 및 신체적 · 심리적 · 사회적 특성에 관한 연구

        서문진희(Junhee Seomun),김근홍(Keunhong Kim)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2013 한국지역사회복지학 Vol.0 No.47

        본 연구는 가족 중 일상생활수행능력(ADL)의 장애로 인해 수발이 필요한 대상자를 돌보는 고령수발자의 수발실태를 파악하고, 이들의 신체적?심리적?사회적 특성이 수발대상자가 없는 고령자와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노동연구원에서 2010년도에 조사한 제3차 「고령화연구패널조사」 데이터를 사용하였으며, 55세 이상의 고령자 6,357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가족 내 수발대상자가 있는 고령자는 전체 응답자의 5.9%(372명)였으며, 이중에서 59.1%(220명)는 요양보호사 등 타인에게 수발을 위탁하고 있었고, 40.9%(152명)는 고령자 본인이 직접 수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접 수발자들의 주당 평균 수발시간은 42.05시간(sd=47.46)이었다. 또한 고령자의 신체적 특성인 주관적 건강상태와 심리적 특성인 우울감 및 삶의 만족도는 수발대상자 유무에 따라 집단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반면에 사회적 특성인 모임/단체 참여정도의 집단간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분석 결과를 토대로 고령수발자의 부담감 감소를 위한 정책마련의 필요성과 대안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caring behaviors of the elderly caregivers who had care recipient(s) with problems of Activities of Daily Living(ADL), and analyzed the physicalㆍpsychologicalㆍsocial characteristics between elderly caregivers and elderly people without care recipients. The 3rd panel data of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 in 2010 were used, and 6,357 persons, who were older than or equal to age of 55, were selected and analyzed. The elderly caregivers who had ADL care recipient(s) were 5.9%(372 persons). While the consignment caregivers who employed caregivers were 59.1%(220 persons) of all caregivers, the direct caregivers who cared their recipients by themselves were 40.9%(152 persons). The average caring time per week of the direct caregivers was 42.05 hours(sd=47.46). While depression and life satisfaction as psychological characteristic as well as subjective health condition as physical characteristic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club or organization participation as social characteristic didn"t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lderly caregivers and other elderly people without care recipient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necessities and alternatives of political measures to lighten the caring burden of elderly caregivers were suggested.

      • KCI등재

        노인복지관 이용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김포시 노인을 중심으로

        원 일(Won, Il),김근홍(Kim, Keunhong),김성현(Kim, SungHyun) 한국노년학회 2018 한국노년학 Vol.38 No.2

        본 연구는 김포시 거주 노인들을 대상으로 노인복지관 이용 결정요인을 파악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그이유는 노인복지관이 종합서비스 제공기관으로 국가정책 차원에 명시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실천 현장에서 과연 노인들에게 고유의 역할과 기능을 하고 있느냐 하는 관점에서 출발하고 있다. 특히 농어촌 거주 노인들의 경우 평소 여가활용 기회가 부족한 상황에서 지난 10년간 전국의 노인복지관 관련 수가 획기적으로 증가하였 음에도 노인복지관 역할과 위상이 동일하게 여겨지고 있는가하는 점은 의구심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이에 도농형 도시 김포시에 거주하는 만 65세 이상 노인 360명을 대상으로 실태조사를 하였다. 연구방법으로 앤더슨 모형의 선행요인과 가능요인, 욕구요인간의 영향과 관계를 검증하고자 로짓분석 및 의사결정나무분석을 시행 하였다. 연구결과 로짓분석에서는 앤더슨 모형에서 제시한 대부분의 요인들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선행 요인에서는 성별, 연령, 교육수준이, 가능요인에서는 월평균소득이, 욕구요인에서는 노후를 위한 경제자금준비와 경제활동준비가 유의미하였다. 다음으로 요인간 상호작용을 감안한 의사결정나무분석 시행 결과, 선행요인중 교육수준이 높은 경우 노인복지관을 이용할 가능성이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욕구요인 중 건강증진 준비 수준이 낮은 경우 노인복지관을 이용할 가능성이 높게 예측되었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노인복 지관의 종합적 서비스 제공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earn about the decision factors affecting utilization of elderly welfare center of the elderly living in Gimpo city. The reason of the study is that the elderly welfare center as a provider of general welfare services could not only thinking about the state policy but also need to consider about the inherent role and function of the elderly. Especially for these elders living in rural areas, although the number of elderly welfare centers of the whole country has greatly increased in last 10 years, the effect and function of the facility are almost the same and they are still lack of leisure activities. This issue become a serious problem nowadays. For the above reasons, this article conducts a social survey of 360 elderly people over the age of 65 who lives in the Gimpo city which is a rural-urban type city. The research method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edisposing factors, enabling factors and need factors of Andersen’s behavior model with binar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nd the decision tree analysis. The result of binary logistic regression shows the most of factors of Andersen’s model is significant. The factors of age, gender, education level in predisposing factors; monthly income in enabling factors and the reserve for old life, the preparation of economic activity for old life in need factors are significant. Then the result of decision tree analysis shows the interaction between factors; when the education level in predisposing factors is higher, the possibility of using of elderly welfare center becomes bigger. Also as the level of healthy promoting preparation in the need factors gets lower, the possibility of using of elderly welfare center still becomes bigger. Although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interpretation of the results of regression analysis and decision tree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still provide support for the necessity of elderly welfare centers providing integrated welfare servi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