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원자력 입지갈등 해소를 위한 조건적 원자력 수용성의 확장 및 영향요인 분석

        김근식 ( Geunsik Kim ) 고려대학교 정부학연구소 2018 정부학연구 Vol.24 No.1

        기존의 입지갈등 연구에서는 주로 원자력 입지갈등 해소를 위한 조건들로 보상과 위험 완화를 중심으로 논의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에 더하여 최근 에너지 전환체제 논쟁에서 새롭게 등장하고 있는 원자력의 기후변화 완화 및 에너지 안보 차원에서의 리프레이밍과 관련된 마지못한 수용성을 포함하여 기존의 조건적 원자력 수용성 개념을 확장하고자 하였다. 즉, 새로운 원자력입지갈등 해소 조건으로 마지못한 수용성을 추가함으로써 기존의 조건적 원자력 수용성 개념을 확장하고, 이에 더하여 원자력 수용성의 유형화를 시도해보았다. 분석결과, 원전주민들의 경우 전반적인 원자력 수용성 수준이 보통(3점) 이하로 낮게 나타나고 있었으나, 보상, 위험 완화, 기후변화 완화 및 에너지 안보 같은 입지갈등 해소 조건을 제시할 경우 원자력 수용성 수준이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위험 완화 조건 > 보상 조건 > 마지못한 수용의 순으로 원자력 수용성 수준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원자력 입지갈등 해소를 위한 조건적 수용성의 유형화에서도 저(低)편익-저(低)위험 집단을 제외한 모든 집단에서 동일하게 나타났다. 다양한 원자력 수용성 결정요인 중에서 감정적 요인이 공통적으로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위험 인식과 편익인식(리프레이밍 편익인식, 일반적 편익인식)도 중요한 영향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본 연구의 함의로는 기존의 입지갈등 논의에서 다루어진 보상과 위험 완화로 이분화된 조건적 수용성 논의에 마지못한 수용성 개념을 추가함으로써 새롭게 유형화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또한, 새롭게 주목받고 있는 원자력의 기후변화 완화 및 에너지 안보 차원에서의 편익과 관련된 마지못한 수용성을 통해 원전주민들의 원자력 수용성을 높일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는 점도 의미 있는 결과라 할 수 있다. This study extended the concept of conditional acceptance of nuclear energy dealing with compensation and risk mitigation as conditions of existing nuclear location conflict discussions by adding reluctant acceptance dealing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and energy security. In addition, this study attempted to categorize four conditional acceptances of nuclear energy, including unconditional acceptance concept. Results of analysis revealed that nuclear acceptance of residents nearby nuclear power plant was generally lower than normal level with the following order: risk mitigation condition > compensation condition > reluctant acceptance > unconditional acceptance. Among determinants of conditional nuclear acceptance, nuclear affect factors had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 four conditional acceptances while risk perception and benefit perception (reframing benefits, general benefits) were important influencing factor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twofold. One is that it is possible to expand the discussion on existing nuclear location conflicts and categorization of four conditional nuclear acceptances. The other is that reluctant acceptance related to climate change mitigation and energy security has recently been shown to be able to increase nuclear acceptance of nearby nuclear power plants residents.

      • KCI등재
      • KCI등재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세계인의 원자력 수용성 태도변화 분석

        김서용 ( Seoyong Kim ),김근식 ( Geunsik Kim ) 한국정책학회 2014 韓國政策學會報 Vol.23 No.3

        후쿠시마 원전사고는 원자력에 대한 대중들의 태도변화를 유도하고 있으며 이는 원자력 관련 에너지 정책의 방향전환을 가져오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원자력 수용성과 관련된 세계인의 태도변화의 정도와 이를 결정하는 요인들의 영향력을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한국인을 포함하여 세계 47개국 36,122명을 대상으로 수집한 설문조사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태도변화와 관련된 구조적 원리들을 파악할 수 있었다. 주요분석 결과로 첫째,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원자력 수용성이 낮아졌으며 이러한 변화는 기존 태도의 강도에 따라 차이가 발생하고 있다. 둘째, 동태적 수용성 변화에 여성, 가구소득, 지역, TV와 인터넷 매체, 지식 등이 正(+)의 영향을, 위험지각이 負(-)의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매스미디어에서 TV와 인터넷이 태도변화에 결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태도변화에 따라 집단을 구분할 때 찬성 안정집단과 반대 안정집단에 대한 결정변수들의 영향력이 대조적으로 나타난 반면, 변화집단에서는 이러한 대조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Fukushima nuclear accidents brings out the attitude change toward nuclear power, which expect to change the energy policy. Our study will analyze the attitude change and it’s determinant related with acceptance of nuclear power by examine the survey data that Gallup International collected from 32,122 respondents across 47 countries. The results shows that first, the Fukushima accident decreases the acceptance. However, the degree of change depends on the strength of pre-attitude. Second, the female, household income, residence, TV, internet decreased acceptance whereas the perceived risk increased it. TV and internet are critical variables. Third, four groups classified based on degree of change, have the different determinants.

      • KCI우수등재

        기판 bias 전압이 a - C : H 박막의 특성에 미치는 영향

        유영조(Young-Zo Yoo),김효근(Hyo-gun Kim),장홍규(Hong-Kyu Jang),오재석(Jae Seuk Oh),김근식(Geunsik Kim) 한국진공학회(ASCT) 1997 Applied Science and Convergence Technology Vol.6 No.4

        DC saddle-field 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PECVD) 장치를 이용하여 상온에서 p-type Si(100) 기판위에 hydrogenated amorphous carbon(a-C:H) 박막을 증착하고 기판의 bias 전압 변화에 따른 박막의 미세구조 변화와 광학적 특성을 연구하였다. 본 실험시 CH₄ 가스의 유량은 5 sccm, 진공조의 CH₄ 가스압력은 90 mtorr로 일정하게 유지하였으며 기판의 bias 전압(V_s)은 0 V에서 400 V까지 변화시켰다. Rutherford backscattering spectroscopy(RBS)와 elastic recoil detection(ERD) 측정결과 증착된 a-C:H 박막의 증착율은 V_s=0 V에서 V_s=400 V로 증가함에 따라 45 Å/min에서 5 Å/min으로 크게 감소하였지만 박막내의 수소 함유량은 15%에서 52%까지 크게 증가하였다. a-C:H 박막내의 수소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a=C:H 박막은 sp³CH₂결합의 diamond like carbon(DLC) 박막에서 수소함량이 많은 sp³CH³ 구조의 polymer like carbon(PLC) 구조로 변환되는 것을 FT-IR로 확인하였으며 Raman 측정 결과 V_s=100 V와 V_s=200 V에서 증착한 a-C:H 박막에서만 C-C 결합에 의한 disorder및 graphite peak를 볼 수 있었다. Photoluminescence(PL) 측정 결과 V_s=200 V까지는 기판의 bias 전압이 증가함에 따라 PL 세기는 증가하였으나 그 이상의 인가전압에서는 PL 세기가 점점 감소하였다. 특히 V_s=200 V에서 제작한 a-C:H 박막의 PL 특성은 상온에서도 눈으로 보일 만큼 우수한 발광 특성을 보였으며, 기판 bias전압이 증가함에 따라 PL peak 위치가 청색으로 편이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발광 세기의 변화는 V_s=0 V부터 V_s=200 V까지는 기판의 bias 전압이 증가함에 따라 상대적으로 박막의 표면에 층돌하는 이온에너지의 감소로 인해 a-C:H 박막내에 비발광 중심으로 작용하는 dangling bond가 감소하여 발광의 세기가 증가하였으며 V_s=300 V이상에서는 박막내의 수소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dangling bond 수는 감소하나 발광 중심으로 작용하는 탄소간의 π 결합을 포함하는 cluster가 줄어들어 PL 세기가 감소한 것으로 생각된다. Hydrogenated amorphous carbon(a-C:H) films were deposited on p-type Si(100) by DC saddle-field plasma enhanced CV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ubstrate bias on optical properties and structural changes. They were deposited using pure methane gas at a wide range of substrate bias at room temperature and 90 mtorr. The substrate bias voltage (V_s) was employed from V_s=0 V to V_s=400 V. The information of optical properties was investigated by photoluminescence and transmitance. Chemical bondings of a-C:H have been explored from FT-IR and Raman spectroscopy. The thickness and relative hydrogen content of the films were measured by Rutherford backscattering spectroscopy (RBS) and elastic recoil detection (ERD) technigue. The growth rate of a-C:H film was decreased with the increase of V_s, but the hydrogen content of the film was increased with the increase of V_s. The a-C:H films deposited at the lowest V_s contain the smallest amount of hydrogen with most of C-H bonds in the of CH₂ configuration, whereas the films produced at higher V_s reveal dominant the CH₃ bonding structure. The emission of white photoluminescence from the films were observed even with naked eyes at room temperature and the PL intensity of the film has the maximum value at V_s=200 V. With V_s lower than 200 V, the PL intensity of the film increased with V_s but for V_s higher than 200 V, the PL intensity decreased with the increase of V_s. The peak energy of the PL spectra slightly shifted to the higher energy with the increase of V_s. The optical bandgap of the film, determined by optical transmittance, was increased from 1.5 eV at V_s=0V to 2.3 eV at V_s=400 V. But there were no obvious relations between the PL peak and the optical gap which were measured by Tauc process.

      • KCI등재

        태양광 에너지 수용성의 다차원성: - 조건의 탐색 -

        최윤희 ( Yoonhee Choi ),김서용 ( Seoyong Kim ),김근식 ( Geunsik Kim ) 한국정책학회 2022 韓國政策學會報 Vol.31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다차원적인 태양광 에너지 수용성에 대한 결정요인을 비교·분석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기존 연구들이 태양광 수용성을 다차원적으로 구분하고 있지 않다는 점, 수용성 결정요인에 대한 비교론적 접근이 부족하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연구목적을 위해 태양광 에너지 수용성을 크게 일반적 수용성과 조건적 수용성으로 구분하고, 세부적으로 여섯 개의 차원으로 구분하였다. 태양광 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사회인구학적 요인뿐만 아니라 정치·경제적 요인과 위험지각 패러다임 요인을 설정하였다. 설문조사 자료(N=1,020)를 분석한 결과, 첫째, 다차원적으로 구성된 태양광 수용성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수용성에 따라 달라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태양광 수용성 영향요인 차원에서는 정치·경제적 요인보다는 위험지각 패러다임 요인이 수용성에 결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세부 변수별로는 볼 때 긍정적 감정이 높은 설명력을 보이고 있으며, 지각된 편익과 신뢰도 다수의 태양광 수용성 차원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반면 불평등 지각은 경제적 유인제공 수용성에만, 지식은 시설 수용성에만 영향을 미치는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수용성을 제고하기 위해 수용성의 다차원적 측면을 고려해야 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determinants of multidimensional solar energy acceptability. This study paid attention to the fact that the previous studies did not differentiate the acceptability of solar energy in multiple dimensions and the lack of comparative approaches to the determinants of acceptance. For this purpose, acceptance of solar energy was divided into general acceptance and conditional acceptance, finally dividing into six dimensions in detail. In addition, demographic factors as well as political, economic, risk perception paradigm factors were set as independent factors affecting the acceptability of solar energ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urvey data (N=1,020), it was found that, first, the factors affecting on the multidimensional acceptance of solar energy were different in terms of acceptability. Second, it was found that risk perception paradigm factors had a decisive influence on acceptability rather than political and economic factors. In particular, by detailed variables, positive emotions showed highest explanatory power in olar acceptability, followed by perceived benefits and trust. On the other hand, perceived inequality only affected the acceptability of economic incentives and knowledge only affected the acceptability of solar energy facil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