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SCOPUS
      • KCI등재

        국제이주 과정에서 아동의 정착 경험

        김경학(Kyunghak Kim)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18 문화 역사 지리 Vol.30 No.2

        The result of this research of Koryein children indicates that these children once used to be treated as passive members of Koryein families increasingly tend to be recognized as active agents, showing they create their identity and cultural meaning. This study clearly shows that children were generally excluded not only from the decision making, but also from having relevant information about their changing lives due to migration to Korea. However, this study argues that some of Koryein children asserted their wills by whining, nagging, complaining, and crying, when their opinions on family migration decision are not invited or respected. This research argues that while managing to make connections with new people and places in Korean society, maintaining transnational social and emotional connections with family members and kinfolks in their home country, seems to become an effective strategy for Koryein children to overcome some difficulties faced in their daily lives. It seems that transnational identity formation is an important process for the Koryein transmigrant children in Korea. 광주광역시 고려인 이주 아동은 일정 기간 가족 분거의 경험을 했으며, 한국 이주 후에는 가정·학교·일상생활을 중심으로 새로운 사회·문화적 환경에 적응해야 한다. 대부분의 고려인 이주 아동들은 부모와의 분거 및 자신의 한국으로의 이주 결정을 두고 부모와의 직접적인 협상과 타협의 대상으로 인정받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주 아동들은 가족의 국제이주 결정을 두고 슬픔, 실망, 주저함 등의 다양한 정서적 표현을 직·간접적으로 드러냄으로써 자신들의 행위성을 드러내고자 한 것으로 보인다. 고려인 아동들은 가정, 학교, 아동센터, 놀이 공간 등을 중심으로 반복되는 일상을 통해 현지 공간을 친숙한 장소로 전환시키는 적극적인 정착생활을 하면서, 다른 한편으로는 다양한 초국적 실천을 통해 본국과의 초국적 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초국적 이주자’에 해당한다. 고려인 아동들이 초국적 관계를 유지하는 것은 이들이 한국 정착생활에서 경험하는 체류 자격의 불안정성, 언어 딜레마 등에 대응하는 효과적인 전략의 하나로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Ka-대역 10 W 전력증폭기 모듈의 설계 및 제작

        김경학(Kyeong-Hak Kim),박미라(Mi-Ra Park),김동욱(Dong-Wook Kim) 한국전자파학회 2009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Vol.20 No.3

        논문에서는 다수의 MMIC 전력증폭기 칩과 박막 기판을 결합하여 MIC 모듈을 구성함으로써 Ka-대역 중심 주파수에서 10 W의 출력 전력을 낼 수 있는 전력증폭기 모듈을 설계 및 제작하였다. 전력증폭기 모듈의 제작에는 밀리미터파 대역에 적합한 수정된 형태의 윌킨슨 전력분배기/합성기를 사용하였고, 모듈의 구성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손실을 줄이고 공진을 억제하기 위해 CBFGCPW-Microstrip 천이 구조를 활용하였다. 전력증폭기 모듈은 총 7개의 MMIC 칩으로 구성되었으며 MMIC 칩을 펄스 모드로 동작시키기 위해 칩의 게이트에 펄스전압을 인가하는 게이트 전압 제어기가 설계되고 적용되었다. 제작된 전력증폭기 모듈의 측정 결과 58 ㏈의 전력 이득과 39.6 ㏈m의 포화 출력 전력을 얻을 수 있었다. In this paper, a Ka-band 10 W power amplifier module is designed and fabricated using MIC(Microwave Integrated Circuit) module technology which combines multiple power MMIC(Monolithic Microwave Integrated Circuit) chips on a thin film substrate. Modified Wilkinson power dividers/combiners are used for millimeter wave modules and CBFGCPW-Microstrip transitions are utilized for reducing connection loss and suppressing resonance in the high-gain and high-power modules. The power amplifier module consists of seven MMIC chips and operates in a pulsed mode. For the pulsed mode operation, a gate pulse control circuit supplying the control voltage pulses to MMIC chips is designed and applied. The fabricated power amplifier module shows a power gain of about 58 ㏈ and a saturated output power of 39.6 ㏈m at a center frequency of the interested frequency band.

      • KCI등재
      • KCI등재

        이주국가의 부상 -네팔의 국제 이주노동 제도화의 특징과 잠재적 문제점-

        김경학 ( Kyunghak Kim ),신지원 ( Julia Jiwon Shin ),이기연 ( Kiyoun Lee ),신난딩 ( Nanding Shin ),박경환 ( Kyonghwan Park ) 한국사진지리학회 2020 한국사진지리학회지 Vol.30 No.1

        본 연구는 이주국가로서 네팔 국제 이주노동의 특징과 제도화를 검토하고 이러한 정부 주도 이주노동 제도화의 잠재적 문제점을 도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본 논문의 내용은 크게 3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첫째는 네팔이 이주국가로서 부상하게 된 지리적 배경을 저개발의 맥락에서 자연환경, 민족구성, 산업구조와 정치의 네 가지 측면에서 고찰했다. 둘째, 네팔 국제 이주노동의 현황 및 특색을 살펴보고 특히 네팔의 국제 이주노동이 정부의 어떠한 제도 및 정책과 관련되어 있는지에 초점을 두어 이주국가의 제도적 특징을 살펴보았다. 셋째, 네팔 정부의 이주 정책과 그에 따른 개별 이주민의 초국적 송금이나 귀환 이주 등의 실천이 네팔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고 있고 이의 문제점에는 무엇이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결론적으로 네팔이 추구해온 적극적인 정부 주도의 이주노동 제도화 정책은 네팔 GDP의 30%에 달하는 해외 송금액의 유입이라는 결과를 낳았지만, 이에 대해 네팔 사회가 지불하고 있는 기회비용과 대가는 적지 않다. 여기에는 송금에 대한 과도한 의존, 네팔에 대한 부정적 인식의 확산, 비숙련 노동 중심의 이주노동, 그리고 저소득층 및 여성의 이주 기회 제약과 차별 등이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and institutionalization of Nepal’s overseas migration labor policy and to investigate potential problems resided in such government-led institutionalization. For this purpose, this paper is composed of three main sections. The first section examines the ways in which Nepal has risen up as an emigration state in terms of natural environment, ethnicity, industrial structure, and politics. The second investigates how the government of Nepal has promoted overseas migration labor by way of institutionalizing overseas migration process. The third critically reviews the Nepalese government’s migration policy and discusses the ways in which it generates potential problems in the civil society. Although the Nepalese government accomplished a large amount of remittance inflow accounting for about 30 percent of the country’s GDP, such sucess is not without counter-effects and problems. They include overdependence on international remittance, generation of country’s negative self-imagery, domination of unskilled labor in overseas employment, and limits of and discrimination over lower class and women.

      • KCI등재후보
      • 국내 고려인 아동의 국제 이주의 경험에 관한 연구

        김경학(Kim, Kyung-Hak),Miranda De Dios Ines 전남대학교 글로벌디아스포라연구소 2017 전남대학교 세계한상문화연구단 국제학술회의 Vol.2017 No.11

        This paper aims at exploring the Koreyin Children’s experiences of processes of moving, settling and migrating between country of origin and Korea from the perspective of children rather than adult’s perspective. It is true to say that the majority of the literature on international migration has focused on adults and rarely have children’s perspectives been heard. In this Koryein children-centered research, children move from being treated as passive members of families to being recognized as active agents, dynamic in creating identity and cultural meaning. This research is going to examine the experiences that Koryein children coming from post-soviet union have gone trough due to their migration to Korea. Furthermore, this research explore the following questions: How do Koryein children understand the notion of home?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feeling at home and dwelling between two countries-Korea and their countries of origin? How do Koryein children express their identities around the complexity of homeland, ethnic group, and language in the contexts of daily lives and school? This study clearly shows that children were generally excluded not only from the decision making, but also from having relevant information about their changing lives due to migration to Korea. This study argues that the Koryein children in Korea did not have agency in families’ decisions to migrate. After migrating to korea, most of the children have experienced some emotional distress closely related to finding new friends and learning new language like Korean language. This research also argues that the children firstly identify Gwangju as home and introduced the country of family origin as almost equally important. They are likely to talk of home with primarily related to presence of close family and kin members in two countries(Korea and country of origin). This study shows that Koryein migrant children are generally located between the contrasting demands for linguistic assimilation made by the receiving country like Korean society and those for Russian linguistic preservation made by Koryein community and the extended family members. This article finds that language like Russian language has played main role in connecting the children to both Koryein community in Korea and their relatives in countries of origin. At the same time, Russian language seems to disconnect them from other people and place such as Korean people and every conner of their daily lives in Korea. This research also looks at the key role of Russian language in articulating Koryein children’s cultural differences and shaping identities in local and transnational contex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