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시호가용골모려탕 과립제의 임상경향 분석 및 활용

        김경수,김우철,김경옥,Kim, Kyung-Soo,Kim, Woo-Chul,Kim, Kyeong-Ok 대한한의학방제학회 2012 大韓韓醫學方劑學會誌 Vol.20 No.1

        Objectives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rends of using Shihogayonggolmoryo-tang granule on neuropsychiatry fields. And suggest that using herbal extracts change non-prescription medicine to prescription medicine. Methods : I researched 86 outpatients who treated with Shihogayonggolmoryo-tang granule at oriental medicine hospital. And I analyzed their medical records of chart review study. Results : 1. Average medication time in this research was 14.9 days and the main usage was supplementary to herbal medicine, such cases amounted to 62%. 2. There are 52 patients out of 86 who are much better, such cases amounted to 55%. 3. The improved diagnosis is Syndrome of heart-fire flaring up, Syndrome of upper energizer dryness-heat, headache, and tinnitus. The improved symptom is anxiety, headache, dizziness, tic disorders, and chest discomfort. Conclusions : I expect to using herbal extracts change non-prescription medicine to prescription medicine based on this study.

      • KCI등재
      • KCI등재

        중국철학 : 도교 남종 5조의 전승과 내단법

        김경수 ( Kyeong Soo Kim ) 한국철학사연구회 2013 한국 철학논집 Vol.0 No.39

        본 논문의 목적은 장백단에 의해 정립된 도교 내단이론의 전승과정에서 나타난 중심 계파인 남종의 다섯 인물에 대한 전승내력과 그들의 단법을 검토하고자 한다. 내단 도교의 역사적 흐름은 몇 개의 학파로 분기하기는 했지만, 사실은 모두 장백단이 정립한 단법의 영향력 아래에 있다고 할 수 있다. 남종 5조의 전승과정을 살펴보면, 장백단에서 석태를 거쳐 설도광에게 이르기까지는 나름대로의 일관성이 있다. 그 이유는 첫째, 그들은 단법을 수련하여 대단한 장수를 누렸고, 둘째, 스승에게서 제자로 직접 비밀리에 전수하는 사승관계를 지켰으며, 셋째, 교단에 몸담지 않고 세속에서 더불어 살면서 수련하는 단법을 고수하면서 철저히 개인위주의 수련법을 지켰다는 점이다. 따라서 필자는 내단 도교의 순수성을 지킨 인물을 장백단 석태 설도광 정도로만 한정한다. 그러므로 그 단법은 당나라 말기에 등장하여 설도광이 시해한 1191년에 이르기까지 약 2백년간만 제대로 전승되다가 홀연히 사라졌다고 본다. 왜냐하면, 그 단법은 반드시 합당한 인물을 만나야만 전수할 수 있는 것이고, 구체적 수련의 단계는 스승과 제자가 구결로서만 직접 전수하므로 널리 알려질 수 없으며, 수련의 기간이 길고 꾸준한 노력을 필요로 하여 보통 사람이 감당하기에는 힘들기 때문이다. 설도광 이후에 등장하는 진남과 백옥섬은, 사실은 남방도교의 뢰법파인 신소파 소속이었을 가능성이 많은 것으로 판단된다. 그 중에서도 백옥섬은 뢰법과 내단을 결합하고자 노력한 인물로 보이지만, 그 과정에서 많은 허구와 모순을 만들어낸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필자는 내단 도교 남종 5조의 전승과 단법에서 진남과 백옥섬은 제외되어야 한다고 생각하며, 변질된 단법은 새로운 계보로 정리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 succession and method of five-masters of southern school in transmitting the internal alchemy in Taoism which is established by Zhang Bo-duan. In history, the internal alchemy is divided into a few schools but all of them are under the umbrella of Zhang Bo-duan`s alchemy. The five master`s method has been consistent from Zhang Bo-duan to Seok Tae to Seol Do Gwang based on three reasons. First, they lived long while practicing the method. Second, they learned the method from their direct master secretly. Third, they kept practicing the individual method while staying in the secular world rather than in a religious body. I limit three of them Zhang Bo-Dan, Seok Tae, Seol Do Gwang as figures who practiced the pure internal alchemy. Thus I argue that the method stayed only for 200 years, arising from the late Dang Dynasty and disappearing in 1911, when Seol Do-Gwang was dead. This method can be instructed only to the appropriate figure, and the specific steps of method are taught through the oral instruction so that this method cannot be wide spread. Based on the fact that the time of practicing method is quite long and it needs intensive and constant efforts, it is difficult for a mundane person to practice and cope with the training. Jin Nam and Baek Ok Seom are believed that they belonged to the school of Shin So. Baek Ok Seom is regarded as a figure that made efforts to unite the school of Wei and the internal alchemy. However, he made lots of fabrication and discrepancy. Thus I state that Jin Nam and Baek Ok Seom need to be out in the succession and method of five masters of southern school in Taoism. Their changed method in quality needs to be organized in a new genealogy.

      • 특집 : 산해정과 신산서원의 문화공간적 역할

        김경수 ( Kyeong Soo Kim ) 南冥學硏究院 2015 南冥學 Vol.20 No.-

        김해지역은 바다와 접하고 있어서 왜구의 침탈이 빈번하여 양반들이 거주하지 않았다. 조선중기에 남명이 산해정을 짓고서 강학함으로서 비로소 유교의 풍속이 정착하게 되었다. 산해정은 1530년에 지어졌으나 임진왜란으로 소실되었고, 이후 그 자리에는 신산서원이 대원군 당시 서원철폐령으로 훼철되기까지 있었다. 그 중간인 1758년에 서원 옆에 산해정을 복원하였으나 이 또한 서원철폐령에 함께 훼철되었다. 이후 1890년에 신산서원이 있었던 원래 산해정의 터에 산해정을 복원하고서 1924년과 1949년 및 1972년과1993년에 계속하여 보수한 기록이 남아 있다. 선산서원은 1588년 건립이 추진되었으나 완공하지 못하고 임진왜란으로 소실되었다. 이후 1608년에 산해정자리에 복원하여 1871년 훼철 때까지 존속하였다. 산해정만 복원한 자리에 다시금 1998년 이를 확대 개 편하여 신산서원과 산해정의 역할을 동시에 할 수 있는 건물을 완성하였다. 현재 여기에는 남명과 송계 신계성을 배향하고 있다. 산해정과 신산서원의 건립 및 유지 보수에는 그때마다 몇몇 사람들이 주동이 되어 추진한 기록이 남아 있다. 그러나 역설적으로 이러한 기록들에서 우리는 산해정과 신산서원이 김해지역 유교문 화의 중심으로서 최소한의 역할을 수행한 사실은 확인할 수 있지 만, 김해지역의 유교문화를 확대하는 문화공간으로서의 역할은 찾아보기 힘들다. 남명이 살아있을 당시에는 산해정이 지역의 유교 문화를 확대하는 역할을 한 것으로 확인되지만, 남명이 죽고 난 이후에는 상대적으로 편중된 지역에 위치하였고 또한 유림의 숫자가 적었던 점으로 인하여 그 역할을 점차 알아간 것으로 보인 다. 신산서원의 중건은 정인홍의 남명 추숭사업과 연관되어 있었지만 이후 서원의 관리와 유지는 김해지역의 유력한 몇몇 가문과 남명의 처가인 남평 조 씨가 담당한 것으로 확인된다. 결론적으로 산해정이나 신산서원은 김해지역에서 남명을 추모 하는 역할을 수행하면서 유교문화의 명맥을 잇는 정도의 역할을 해온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러한 역할은 오늘날이나 이후에도 더 이상 개선되어 유교문화의 확산공간으로서의 기능은 기대히기 힘들 것으로 보인다. Nobles did not live at Gimhae area because invasion of Japanese pirates. Here``s a Confucian customs were settled since Nam-myeong built San-hae Jung in middle period of Joson dynasty. San-hae Jung was built in 1530 but was destroyed by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Since 1608, at that place was built the Sin-san seowon(academy) till 1871. Restore the San-hae Jung in 1890 and was repaired over five times so far. The Sin-san seowon building was started in 1588 was destroyed by the invasion of Japan in 1592. Restored and re-expansion of the San-hae Jung in 1998 and was able to also serve as the role of Sin-san seowon. Construction and repair of San-hae Jung and Sin-san seowon, there remains a record of several central figure in the success each time. But paradoxically, in these records, but we can see the fact that the role of San-hae Jung and Sin-san seowon are minimal as the center of Gimhae area Confucian culture, serve as a cultural space to expand the Confucian culture of Gimhae area is hard to find. At the time Nam-myeong was alive was confirmed that San-hae Jung was responsible for expanding the Confucian culture of this area, but after his death gradually lost its role seems to cross. As a result, San-hae lung and Sin-san seowon can be seen that while the role of honor of Nam-myeong in Gimhae area that has the role of linking degree of Confucian culture survived. And that role is to further improve and today is spreading beyond the space as a function of the Confucian culture seems to be difficult to expect.

      • KCI등재

        한문과(漢文科) 교재(敎材) 연구(硏究)의 필요성(必要性)

        김경수 ( Kyeong Soo Kim )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09 漢字 漢文敎育 Vol.22 No.-

        Teaching materials for Chinese writing have unitive and synthetic characters comparing other subjects. Reflecting these characters in subject is a responsibility of someone who has Chinese writing degrees. One of important qualities in Chinese writing and teaching materials research is that it includes materials for humanity education. There is certain difference in manners between who reads basic books like 『Sajasohak』and who does not. The teacher`s specialty is needed for how to apply these into humanity education material. Generally, textbook is made based on textbook writing principle, so it is difficult to operate and apply uniformly to students who have different factors. For these problems, the reconstruction of teaching material is essential. When the teaching material is reconstructed, there is still problem how to deliver it to the students. For that, at first, study by absorbing newly developed educational engineering equipment and direct to form studying community, and at last develop the personal instruction method. It also a role of Chinese writing teacher to create these model and then originate the new method.

      • KCI등재

        자아 수련 이론과 그 현대적 의미 ; 진단의 내단이론과 삼교회통론

        김경수 ( Kyeong Soo Kim ) 한국철학사연구회 2011 한국 철학논집 Vol.0 No.31

        진단은 도교 내단이론의 정립자이며, 북송 이래 사상계에서 가장 큰 영향력을 남긴 인물이다. 그는 다른 종교의 장점을 자신의 이론체계에 받아들이고 있음을 분명히 선언하고 있다. 그는 도교 수련과정의 논리적 부족함을 메우기 위해 유교의 易學을 도교 秘傳의 역학으로 대치하고, 육신과 정신의 이중구조를 통합하는 방법을 모색하는 과정에서 선불교의 마음수행법을 자신의 체계 속으로 끌어들였다. 진단의 내단이론은 精氣神의 개념에 기반하여 ``연정화기`` ``연기화신`` ``연신환허``의 단계로 수련하는 도식이다. 진단이 말하는 내단수련이란, ``도교 방식으로 해석한 『주역』의 근본원리에 바탕을 두고서 마음을 고요하게 하는 禪의 수행으로부터 시작하여, 그 고요함의 끝에서 온갖 변화에 신묘하게 통할 수 있고 지혜가 충만한 상태에 이르게 되면, 미묘한 精의 흐름을 간취하여 이것을 기로 변화시키는 과정을 거쳐서 결국 복귀무극의 상태로 돌아가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그는 「무극도」를 그려서 표현했다. 동양철학은 인간을 ``현상적 존재``와 ``본원적 존재``로 구분한다. 이러한 ``존재 규정``으로부터 수도론의 논리가 성립된다. ``자아`` 또는 ``자기``라는 개념을 어떻게 규정하느냐에 따라서 ``현상적 존재``로부터 ``본원적 존재``로의 회귀 내지는 도약 방법이 결정된다. 도교 내단이론의 정립자라 할 수 있는 진단은 이런 측면에서 독특한 내단수련론과 삼교회통론의 체계를 확립한 인물이다. 오늘날은 ``자아상실의 시대`` 또는 환경오염으로 인하여 생기는 ``난치병의 시대``라고 할 수 있다. 자아의 회복과 건강한 삶을 위해서 몸과 마음을 연결짓는 진단의 수련론에 대한 검토와, 여기에 기초한 새로운 수련법의 모색은 여전히 의미 있는 일이다. Taoism exercised its influence and has made much progress apparently under the aegis of the Tang dynasty. But since the external alchemy, a traditional way of eternal life that they have pursued, met the limitation, they were placed in a situation where they needed to seek a new discipline. From this period to the early North Song dynasty, three religions have established the unique theoretical systems of their own theory of ascetic practices. They showed their own unique formats as follows. Neo-Confucianism established the theory of moral training, Buddhism did the theory of ascetic practices and Taoism had theory of discipline. By this time, a person who claimed the Intermixture of Three Religions composed the new system of theory of ascetic practice by taking advantage of other religions and putting them into his own view. Chen tuan established the theory of internal alchemy of Taoism and was the most influential figure in the world of thought since North Song dynasty. He clearly declared that he accepted the merits of other religions in his theory. He added I Ching of Confucianism in I Ching of secret of Taoism to stop the logical gaps during the process of disciplines in Taoism and took ascetic practices on mind of Buddhism into his system while he sought a way to integrate the dual structure of body and mind. The theory of Chen tuan`s internal alchemy was training schema with stages of ``YeonJeongHwaGi``, ``YeonGiHwaSin``, and ``YeonSinHwanHeo`` based on the concepts of vital, energy and spirit. The internal alchemy practice that Chen tuan was saying started from the practice of Zen to keep the mind calm with the basis of fundamental principles of interpretation of book of change according to Taoism. When a person reached the state to be in concert with all changes at the end of the silence and be full of wisdoms, he finally returned to the state of BokGwiMuGeuk by taking the flow of subtle mind and transforming it into energy. He expressed this process by drawing ``MuGeukDo``. Oriental philosophy categorized human into ``phenomenal existence`` and ``original existence``. The logic of theory of ascetic practice has been established from these ``category of existence``. It would be determined whether it will return to ``original existence`` or be stepped up from ``phenomenal existence`` according to how the concept of ``self`` or ``I`` was made. Chen tuan who established the theory of internal alchemy in Taoism has established the unique theory of internal alchemy discipline and system of intermixture of three religions in this aspect. Today is called ``era of self-loss`` or ``era of incurable diseases`` caused by environmental pollution. It`s still meaningful to review the theory of discipline of Chen tuan`s connecting the body and the soul to heal the self, and keep life healthy and pursue the new way of discipline based on it.

      • 북송초기 삼교회통론의 양상

        김경수 ( Kyeong Soo Kim ) 경북대학교 퇴계학연구소 2011 퇴계학과 유교문화 Vol.48 No.-

        유교 불교 도교의 삼교는 중국을 중심으로 한 동아시아 사상의 대표적인 체계이면서 민중의 생활을 지배해온 이념이었다. 통치의 이데올로기로 작용한 유교는 일상윤리의 규범이었고, 인도에서 전파된 불교는 내세를 위한 기복신앙으로 변해 간 것에 반해, 도교는 일상적 삶에서 재앙을 쫓고 복을 부르기 위한 방편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였다. 민중들의 삶에서는 대체로 삼교가 서로 분리되어 받아들여지지 않고 하나로 융합되어 수용된 것이 역사적 사실이다. 필자는 당나라 말기부터 북송 초기까지의 삼교회통론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 이 시기 삼교는 각각 修道論의 이론적 체계를 정립하여, 성리학의 修養論과 선불교의 修行論 그리고 도교의 修練論이 독특한 형식을 드러내고 있었다. 앎과 실천을 분리하지 않는 동양철학의 특징에서 본다면 목적으로서의 成道나 내용으로서의 達道보다는 修道, 즉 실천의 방법론은 대단히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이 시기에 삼교회통론을 주장한 인물들은 다른 종교의 장점을 취하여 자신의 입장에 맞추어 새로운 수도론의 이론체계를 구성하였다. 본고에서는 그 당시 삼교회통론과 연관된 유불도 삼교의 대표적 인물 몇몇을 검토하고자 한다. 불교의 연수와 계숭, 도교의 진단과 장백단. 그리고 유교의 주돈이 장재 정호 정이가 그들이다. 불교의 경우 연수로부터 계숭으로 이어지는 과정에서 유불융회를 중심으로 전개되는 수도론의 방법이 얼마나 정치한 모습으로 그려지고 있는지를 알 수 있었다. 도교의 경우 마음과 몸의 이중적 구조를 가지고 있는 인간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그들의 수련론에 불교의 수행론을 도입하고 있는 과정이 진단으로부터 장백단에 이르면서 대단히 치밀해지고 있음도 살펴보았다. 유교의 경우는 일상성과 초월성 및 몸과 마음의 문제를 동시에 해결해야만 하는 복합적인 문제를 가지고 있었다. 성리학자 네 명의 학문적 탐구 과정에서 그들이 수양론을 점차로 정비해 가면서 유학의 본래적 내용과 일치시키려고 하는 노력도 볼 수 있었다. 그들의 수도론은 각각 장단점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그들의 치열한 논의를 통하여 ‘자아상실’의 시대로 불리는 현대의 우리들이 보다 행복한 삶을 찾을 수 있는 새로운 수도론 - 그것이 수양이든 수행이든 수련이든 아니면 셋을 회통한 것이건 간에 - 을 모색해 볼 수 있는 단초를 제공받을 수도 있을 것이다. The three religions of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were typical system of the East Asia with China as the center and the idea dominating the public. While Confucianism served as the ruling ideology was a common moral standard and Buddhism spread from India was changed into religious belief for afterlife. Taoism played a role as a means of defeating disaster and bring fortune. It is the historical fact that the three religions were accepted not as divided but as united among the public lives. I have a lot of interest in the intermixture of three religion, ranged from end of Tang Dynasty to North Sung Dynasty. In this period, the three religions established theoretical system and Moral Training theory of Neo-Confucianism. achievement theory of Zen Buddhism and training theory of Taoism were presented like these unique forms. From the characteristic of Eastern philosophy that doesn`t separate knowledge from practice, methodology of practice has a greater meaning than attainment of perfection as purpose or than achieving morality as content. This time those who maintained an introduction to the three religions composed a theoretical system of practicing asceticism theory taking merits of the other religions and focusing on their own positions. In this paper. I want to examine the representative men associated with the intermixture of three religion at that time. They are Ien Shou and Chi Sung from Buddhism, Ghen Tuan and Zhang Bo-Duan from Taoism, Gou Dun-I, Zhang Tzai, Cheng Hao and Cheng I from Confucianism. In case of Buddhism. I could see that how the method of Ascetic Practices theory centered with the intermixture of Confucianism and Buddhism elaborate during the process from Ien Shou to Chi Sung. In case of Taoism,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human who has dual structure of mind and body, the process that its training theory introduced achievement theory of Buddhism was highly detailed from Chen Tuan reaching Zhang Bo-Duan. In case of Confucianism, it has complicated problems of dailiness, transcendence and resolving the issue about the mind and body. I can figure out that four scholars of Neo-Confucianism. in their researching process, tried to reconcile Moral Training theory and original contents of Confucianism organizing Moral Training theory. Their theory of Ascetic Practice has pros and cons each. But through their heated arguments, we can be offered a clue of finding a new theory of Ascetic Practice to find happiness for us who are living in modern called “the era of self loss" whether it is Ascetic Practices or Moral Training, Discipline and whatever is the intermixture of all of them.

      • KCI등재후보

        철학 : 내단도교 형성기에 있어서 정기신의 의미변천과 삼교회통

        김경수 ( Kyeong Soo Kim ) 온지학회 2016 溫知論叢 Vol.0 No.46

        내단도교는 정기신의 개념으로 단법을 완성하고, 삼교회통의 논리로 도교에서 부족했던 논리적 구조를 보완한 점이 큰 특징이다. 본고의 목적은 내단도교의 형성기에 나타나는 정기신 개념의 변천과정과 유교와 불교의 개념과 수도론을 수용한 양상을 살펴보고자 하는데 있다. 소원랑과 장과 그리고 사마승정 및 최희범에게서 나타나는 정기신의 개념은 각각 다른 내용을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그 개념들은 아직 북송 때의 내단가들이 말하는 정기신 개념과도 일정한 차이도 있다. 그러나 그들의 이론들이 후대의 내단가들에게 직간접적인 영향을 끼쳤다는 점은 부정할 수 없다. 삼교회통의 문제에 있어서도 성현영과 왕현람 그리고 사마승정 및 최희범에게서 각각 다른 양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들은 대체로 불교의 개념을 차용하여 내단도교의 이론을 보다 논리적으로 전개하려고 하였음을 알 수 있다. 후대의 내단가들이 유교의 도덕적 수양론과 불교의 심성수행론을 내단이론에 차용하여 보다 완벽한 체계로 만들어 낸 원형을 제공한 셈이 되었던 것이다. 종리권과 여동빈의 ‘종려단법’은 『종려전도집』에 집약되어 있는 것으로 간주하는 것이 일반적인 경향이지만 그것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통하여 ‘종려단법’은 다시 조명할 필요가 있다는 점도 살펴보았다. 왕중양이 창시한 전진도의 단법에 종리권과 여동빈의 영향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반영되어 있는지 상세히 검토해야 할 필요성을 제기한 것이다. Internal Alchemy Taoism has Two kinds of Features. One is to completed Theory of Discipline by Vitality, Energy and Spirit, The other is to compensated by The Theory of Intermixture of Three Religions for the Lack of itself.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concept of the transition process and the Vitality, Energy and Spirit terms and aspects Confucianism and Buddhism appear to have accepted the theory of Ascetic Practice. The concept of Vitality, Energy and Spirit appears differently from Su yuan-lang, Zhang Guo, Sima Cheng-zhen and Cui Xi-fan. In addition, those concepts are different from Internal Alchemy taoists in North-Song period. But in fact their theories influenced to the later Internal Alchemy taoists can not be denied. Subjects on the Intermixture of Three Religions appears in different aspects from Cheng Xuan-ying, Wang Xuan-lan, Sima Cheng-zhen and Cui Xi-fan. They usually try to construct the theory of Internal Alchemy Taoism more logically. It helped to create a more complete theoretical framework borrowed the moral descendants of Confucianism and spiritual Ascetic Practice of Buddhism. In general, the theory of Internal Alchemy of Zhong Li-quan and Lu Yan are considered to be concentratde in Zong-Lyu jun do jip. However, by reviewing the problems of that book, the theory of Internal Alchemy of Zhong Li-quan and Lu Yan was also confirmed that is necessary to relight. I have preswnted the need to review that the influence of Zhong Li-quan and Lu Yan in Wang chung-yang’s theory of Internal Alchemy.

      • KCI등재

        산해정과 신산서원의 내력과 그 역할

        김경수 ( Kim Kyeong-soo ) 온지학회 2019 溫知論叢 Vol.0 No.60

        김해는 왜구의 침탈이 빈번하여 양반들이 거주하지 않았다. 남명이 산해정을 세워 강학하자 비로소 유교의 풍속이 정착하였다. 산해정은 1530년 건립하여 임진왜란에 소실되고, 그 자리에는 서원철폐령 때까지 신산서원이 있었다. 1818년 서원 옆에 산해정을 복원하였으나 서원철폐령 때 함께 훼철되었다. 1890년 서원이 있었던 터에 산해정을 복원하고 1924년과 1949년 및 1972년과 1993년에 보수하였다. 신산서원은 1588년 건립이 추진되었으나 완공 전에 임란으로 소실되었다. 1609년 산해정 자리에 중창하여 1868년 또는 1871년 훼철 때까지 존속하였다. 그 후 산해정만 복원했다가 1999년 이를 확충하여 신산서원과 산해정의 역할을 동시에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여기에 남명과 송계 신계성을 향사하고 있다. 산해정과 신산서원의 건립 및 유지 보수에는 그때마다 몇몇 사람이 주동한 기록이 있다. 이 기록에서 우리는 역설적으로 산해정과 신산서원이 지역 유교문화의 중심지로서 최소한의 역할은 확인할 수 있지만 유교문화를 확대한 기능은 찾기 어렵다. 남명 생존당시 산해정은 지역 유교문화를 크게 확대했지만, 남명 사후에는 지역적 위치와 적은 유림으로 인하여 그 역할을 점차 잃어간 것으로 보인다. 신산서원 중건은 정인홍의 스승 추숭사업과 연관 있지만 이후 서원의 관리 유지는 지역의 유력한 몇몇 가문과 남명의 처가인 남평 조씨가 담당한 것으로 확인된다. 산해정과 신산서원은 남명을 추숭하는 역할을 하면서 훼철 이전까지 그 기능을 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훼철 이후 급격히 쇠락했고, 이후 산해정 중건과 중수과정을 보면 몇몇 유지들의 힘에 의해 유교문화의 명맥을 잇는 정도의 역할을 이어오고 있다. 현재는 민관의 노력으로 유교문화의 확산공간으로서 기능을 모색하고 있다. Nobles did not live at Gimhae area because invasion of Japanese pirates. Here's a Confucian customs were settled since Nam-myeong built Sanhae Jung in middle period of Joson dynasty. Sanhae Jung was built in 1530 but was destroyed by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Since 1608, at that place was built the Shinsan seowon(academy) till 1868 or 1871. Restore the Sanhae Jung in 1890 and was repaired over five times so far. The Shinsan seowon building was started in 1588 was destroyed by the invasion of Japan in 1592. Restored and re-expansion of the Sanhae Jung in 1999 and was able to also serve as the role of Shinsan seowon. Construction and repair of Sanhae Jung and Shinsan seowon, there remains a record of several central figure in the success each time. But paradoxically, in these records, but we can see the fact that the role of San-hae Jung and Shinsan seowon are minimal as the center of Gimhae area Confucian culture, serve as a cultural space to expand the Confucian culture of Gimhae area is hard to find. At the time Nammyeong was alive was confirmed that Sanhae Jung was responsible for expanding the Confucian culture of this area, but after his death gradually lost its role seems to cross. In conclusion, it seems that Sanhaejeon and Shinsan Seowon have played a sufficient role for a certain period while playing a role of remembrance of Nammyong in Gimhae area. However, it is judged to have declined sharply from the mid-19th century, and the reconstruction and repair process of the Sanhae after the destruction seems to have played a role in connecting Confucian culture with the intention of some conservatives. Today, local people are trying to find a function as a space for spreading Confucian cul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