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They Do, but I Don't: Relationships Among AIDS Stigma Gap, AIDS Knowledge, and Attitude Toward AIDS-Related Issues

        금세연(Se yeon Keum),이병관(Byoung kwan Lee),오현정(Hyun Jung Oh) 한국헬스커뮤니케이션학회 2015 헬스커뮤니케이션연구 Vol.13 No.-

        본 연구는 과연 우리 사회에서 에이즈와 관련된 낙인의 격차가 존재하는지에 대해 살펴보고, 존재한다면 그 원인과 결과가 무엇이 있는가에 대해 탐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2011년 에이즈 예방 미디어 캠페인 효과 조사를 위해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 한국인들에게는 에이즈와 관련된 낙인 격차가 존재하였다. 즉, 한국인들은 스스로가 에이즈 감염인을 얼마나 차별할 것인가(개인적 낙인)에 대해서는 대부분 그렇지 않을 것이라고 여기는 반면, 우리 사회가 얼마나 에이즈 감염인을 차별하는 가(사회적 낙인)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 높은 수준으로 차별하고 있다고 지각하고 있었다. 에이즈 감염 및 치료와 관련된 지식은 에이즈에 대한 사회적 낙인과 개인적 낙인의 격차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에이즈 낙인 격차는 에이즈와 관련된 쟁점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향후 에이즈 관련 캠페인에 대한 방향성을 제공하고 에이즈 낙인 격차라는 현상 및 그 원인과 결과에 대해 보다 다각적으로 연구할 필요성을 제안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This study examines whether there is a significant AIDS stigma gap among Korean people, and reveals causes and consequences of this perceptual gap. An analysis of the survey data collected to evaluate the impact of 2011 AIDS campaign in Korea revealed a perceptual gap between personal stigma and attributed stigma. AIDS knowledge was a significant factor in reducing this perceptual disparity. AIDS stigma gap significantly predicted public support on regulating prostitution but not on restricting same-sex marriage.

      • KCI우수등재

        몰입형 소셜 VR 환경에서 아바타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 단서가 자기-노출에 미치는 영향 : 아바타 간 거리와 상대 아바타의 신체적 매력도를 중심으로

        마혜현,금세연,방서여,오준혁,이진,이병관 한국언론학회 2023 한국언론학보 Vol.67 No.4

        Initial entry stage of interpersonal interaction play a critical and indispensable role in the enduring relationships with others in one's social interaction. Despite the extensive body of literature addressing initial face-to-face communication, there have been very few studies on the initial stage of interpersonal communication in immersive social virtual reality (ISVR) environments. Within virtual spaces, interactions are facilitated by avatars, which serve as both the users' digital self-representations and agents. In this context, it is crucial to understand how these avatars' mediated communication cues influence the initial entry stages of virtual social interactions.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influences of nonverbal communication cues exhibited by avatars on communication outcomes during initial interaction in ISVR. Specifically, the study investigates the influences of inter-avatar distance, avatar gender, and avatar attractiveness as nonverbal communication cues on individuals' self-disclosure during the initial interaction in context of ISVR. To this end, 54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an experiment involving interactive sessions utilizing Meta's Horizon Workrooms, a VR work collaboration platform. During each session, participants engaged in interactions with confederates of the opposite sex, thereby fostering interpersonal engagements within the experimental context. The data observed from 2 (avatar gender: male vs. female) × 2 (inter-avatar distance: close vs. far) × 2 (physical attractiveness of the interlocutor's avatar: high vs. low) between-subjects design were analyzed using both frequentist and Bayesian approach.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main effects of inter-avatar distance, avatar gender, and avatar’s physical attractiveness on individuals' self-disclosure during the initial interaction in ISVR. Thus, participants employed self-disclosure strategies characterized by higher levels of quantity and intimacy when the inter-avatar distance was closer, when the avatar was female, or the avatar was attractive. Additionally, a weak interaction effect between inter-avatar distance and the physical attractiveness of the interlocutor's avatar on self-disclosure was found. The empirical findings of this study imply to emphasize the interrelation between the user's perception of personal spatial boundaries and the physical attractiveness of the interlocutor within the context of ISVR. This study sought to extend knowledge from the field of interpersonal communication to the realm of virtual space by verifying the potential impact of nonverbal communication cues mediated through avatars in an ISVR environments. This attempt will not only expand our conceptual and emprical understanding of social interactions, but also help lay a strong foundation for devising more effective communication strategies in technologically mediated social interactions in the future. 최근 개인이 사회적 상호작용에 참여할 수 있는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채널로 몰입형 소셜 가상환경이 등장하였다. 사회적 상호작용 측면에서 대인 커뮤니케이션이 시작되는 초기 단계는 상대방과의 안정적인 관계를 형성할 수 있는 단초가 되는 중요한 지점이다. 실제 세계에서 개인 간 초기 상호작용에 대한 방대한 양의 문헌에도 불구하고, 몰입형 소셜 가상환경에서 초기 대인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과학적 지식은 여전히 제한적이다. 이에 본 연구는 몰입형 소셜 가상환경에서의 사회적 상호작용 과정에서 아바타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 단서가 이용자의 커뮤니케이션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몰입형 소셜 가상환경에서의 최초 상호작용에서 성별, 아바타 간 거리, 그리고 상대 아바타의 신체적 매력도가 개인의 자기-노출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는 것이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이다. 이를 위해 <Horizon Workrooms> 몰입형 소셜 가상환경 플랫폼을 통해 54명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실험실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각 시행에는 연구 참여자와 반대 성별의 공조자가 참여하였다. 2(성별: 남성 vs. 여성) × 2(아바타 간 거리: 가까운 거리 vs. 먼 거리) × 2(상대 아바타의 신체적 매력도: 고 vs. 저)의 집단 간 요인설계는 빈도주의 및 베이지안 접근법의 3-way ANOVA를 통해 분석되었다. 분석 결과, 성별, 아바타 간 거리, 상대 아바타의 신체적 매력도의 주효과를 발견하였다. 또한 이러한 자기-노출에 미치는 아바타 간 거리와 상대 아바타의 신체적 매력도의 약한 상호작용 효과도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몰입형 소셜 가상환경에서 아바타를 통해 매개되는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 단서의 잠재력을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대인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이론적 논의의 확장에 기여한다. 또한 아바타 간 초기 상호작용을 촉진하는 데 있어 타인에 대한 불확실성을 감소시킬 수 있는 시스템적 전략 수립에 대해 실무적 함의를 시사한다.

      • KCI등재

        The Influence of Knowledge Gap on Personal and Attributed AIDS Stigma

        Byoungkwan Lee,Hyun Jung Oh,Seyeon Keum,Younjae Lee,이병관,오현정,금세연,이윤재 한국헬스커뮤니케이션학회 2012 헬스커뮤니케이션연구 Vol.6 No.-

        현재 에이즈 낙인 관련 연구는 그 감염 및 발병률이 높은 저개발 도상국가를 중심으로 진행되어, 한국과 같이 감염인의 숫자가 상대적으로 적은 선진국에서 어떻게 에이즈를 낙인화 하는 가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에이즈 지식 수준의 차이가 한국인들의 에이즈 낙인 (개인적 낙인과 사회적 낙인)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하 기 위한 모델을 제안 및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또한 감염에 대한 두려움을 에이즈 지식과 에이즈 낙인을 연결하는 매개변인으로 설정하고, 세 변인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2008년 에이 즈 공익 캠페인 효과조사를 위해 745명을 대상으로 한 전화 조사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에이즈 지식은 감염에 대한 두려움 및 개인적 낙인에 부정적 영향을 주는 부적 예측 변인이었으며, 감염에 대한 두려움은 개인적 낙인 및 사회적 낙인의 부적 예측 변인으 로 나타났다. 성별과 연령 역시 감염에 대한 두려움과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교육 수준의 경우 에이즈 지식 및 개인적 낙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Although AIDS stigma has been widely studied in developing countries where the prevalence of HIV/AIDS infection is high, less is known about how people living in countries where HIV-infected people are scarce perceive and manifest AIDS stigma in their society. To fill this gap, this study tested a comprehensive model that explicates the influence of AIDS knowledge gap on personal and attributed stigma among people living in Korea. The study considered fear of contagion as a mediator between AIDS knowledge gap and AIDS stigma. With the data (N = 745) collected to evaluate the impact of 2008 Korean AIDS campaign, a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utilized to test the hypothesized relationships between AIDS knowledge gap, fear of contagion, personal stigma, and attributed stigma. The findings indicate that AIDS knowledge is negatively associated with fear of contagion and personal stigma. Fear of contagion is also negatively associated with both personal and attributed stigma. Sex and age significantly predicted fear of contagion and education level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AIDS knowledge and personal stigm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