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트랜스미디어 향유와 문화정치적 관점에서의 대안적 수용자의 재구성에 관한 연구

        권호창,Kwon, Hochang 성균관대학교 트랜스미디어연구소 2021 트랜스- Vol.10 No.-

        미디어의 수용자는 포괄적인 미디어 환경과의 복잡한 관계 속에서 규정되며, 미디어 환경의 변화에 따라 구성 및 재구성된다. 오늘날 컨버전스나 트랜스미디어 등으로 대변되는 미디어 환경의 변화와 함께 수용자에 관한 논의도 활발히 전개되고 있으며, 그 문화정치적 성격에 대한 긍정적 견해와 부정적 견해 간의 논쟁이 계속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항 대립적인 논쟁을 넘어서 새로운 수용자의 복잡성과 양가성을 체계적으로 살펴보고, 그 진보적 가능성이 발현될 수 있는 조건과 기제를 파악하고자 한다. 먼저 오늘날 미디어 환경과 콘텐츠의 변화를 살펴보고 이와 맞물려 있는 수용자의 변화 양상을 관련 연구를 바탕으로 살펴본다. 그리고 새로운 수용자의 문화 정치적 성격에 대한 논쟁을 살펴보고, 자크 랑시에르의 관객의 해방에 관한 논의를 바탕으로 대안적 수용자를 재구성할 방안을 모색해본다. 이를 통해 트랜스미디어 수용자의 유토피아적 계기와 디스토피아적 계기의 성격과 내용을 파악하고 전자를 현실화하기 위해 필요한 사항들을 확인하였다. Media audiences are defined in a complex relationship with a comprehensive media environment, and are structured and reconstructed according to changes in the media environment. Today, with the changes in the media environment represented by convergence and transmedia, discussions on audiences are actively developing, and debates between positive and negative views on the cultural and political characteristics continue. This paper aims to systematically examine the complexity and ambivalence of new audiences beyond the binomial confrontational debate, and to understand the conditions and mechanisms under which the progressive possibility can be actualized. First, it looks at the changes in today's media environment and contents, and examines the changing patterns of audiences in connection with them based on related research. In addition, it examines the debate on the cultural and political characteristics of new audiences, and explores ways to construct /reconstruct alternative audiences based on Jacques Ranciere's discussion. In conclusion, the characteristics and contents of the utopian and dystopian moments of the transmedia audience were examined, and the necessary works for realizing the former were identified.

      • KCI등재

        Who knows what and to what extent - modeling the knowledge of the narrative agent

        권호창 성균관대학교 트랜스미디어연구소 2023 트랜스- Vol.14 No.-

        The knowledge of the narrative agent not only constitutes the content and meaning of the narrative itself, but is also closely related to the emotional response of the recipient. Also, the disparity of knowledge between narrative agents is an important factor in making a narrative richer and more interesting. But It tends to be treated as a sub-topic of narration theory or genre/style studies rather than an independent subject of narrative studies or criticism. In this paper, I propose a model that can systematically and quantitatively analyze the knowledge of narrative agents. The proposed model consists of the knowledge structure that represents a narrative, the knowledge state that expresses the knowledge of narrative agent as a degree of belief, and the knowledge flow that means changes in the knowledge state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events. In addition, the formal notation of the knowledge structure and a probabilistic inference model that could obtain the state of knowledge were proposed, and the knowledge structure and knowledge flow were analyzed by applying the model to the actual narrative. It is expected that the proposed model will be of practical help in the creation and evaluation of narratives.

      • KCI등재후보

        정보처리 관점에서의 서사 텍스트 분석에 관한 연구 - 네 가지 전산적 방법론을 중심으로

        권호창,Kwon, Hochang 성균관대학교 트랜스미디어연구소 2022 트랜스- Vol.13 No.-

        서사 텍스트에 대한 분석은 학술적으로나 실용적으로 중요하게 여겨져 왔으며 여러 관점과 방법으로 이루어져 왔다. 이 논문에서는 정보처리 관점에서의 전산적 서사 분석 방법론을 살펴보았다. 정보처리 관점에서 서사의 창작과 수용은 서사 텍스트에 의해 매개된 양방향적 코딩 과정이고, 서사 텍스트는 다층적으로 구조화된 코드라고 할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이런 관점을 공유하는 네 가지 방법론 - 캐릭터 네트워크 분석, 텍스트 마이닝과 감성 분석, 사건 구성의 연속성 분석, 서사 에이전트의 지식 분석 -을 사례와 함께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서사 분석에 있어 전산적 방법론의 메커니즘과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결론에서는 전산적 서사 분석의 의의와 부작용을 살펴보고, 인문학과 과학기술 통섭에 바탕한 인간-컴퓨터 협업 모델 설계의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이를 통해 미적으로 창의적이고, 윤리적으로 선하며, 정치적으로 진보적이고, 인지적으로 정교한 서사를 보다 효과적으로 만들어 나갈 수 있음을 주장하였다.

      • KCI등재

        서사 해석 방법론 관점에서 프레드릭 제임슨의 『정치적 무의식』 다시 읽기

        권호창 한국예술종합학교 한국예술연구소 2022 한국예술연구 Vol.- No.38

        Frederic Jameson's The Political Unconscious is regarded as a work that elevates Marxist literary theory. Despite the popularity of this work in extant literature, existing studies have neglected discussions on how to apply Jameson's theory to narrative interpretation in practice. This paper reviews the The Political Unconscious and proposes supplementary methods from the perspective of narrative interpretation methodology. First, we draw a map connecting the three horizons of interpretation with medieval hermeneutics, and then the problems of each horizon are identified and alternatives presented. We then review the ideology and utopian dialectic, which can be said to be the essence of Jameson's theory, through the lens of Paul Ricoeur's discussion, and specify the political function of the narrative and its mechanism. We hope that this study can become the basis for a systematic and practical Marxist narrative interpretation methodology. 프레드릭 제임슨의 『정치적 무의식』은 맑스주의 문예이론을 한 단계 끌어올린 저작으로 평가받고 있다. 출간 이후 이 저작의 정치적·미학적 의의와 한계에 관한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지만, 제임슨의 해석론을 실제 서사 해석에 어떻게 적용할 것인가에 대해서는 충분한 논의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논문에서는 서사 해석 방법론의 관점에서 『정치적 무의식』의 주요 논의를 다시 정리하여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를 보완할 수 있는 대안을 제시하였다. 먼저 제임슨 해석론의 핵심 내용 중 하나인 해석의 세 지평을 중세 해석학과 연결하여 전체적인 지도를 그린 후, 각 지평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구체적인 보완 방안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제임슨 해석론의 요체라고 할 수 있는 이데올로기와 유토피아의 변증법을 폴 리쾨르의 논의를 바탕으로 다시 살펴보고 서사의 정치적 기능과 그 작동 방식을 구체화하였다. 본 연구가 체계적이고 실용적인 맑스주의 서사 해석 방법론의 기초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Exploring Narrative Intelligence in AI : Implications for the Evolution of Homo narrans

        권호창 성균관대학교 트랜스미디어연구소 2024 트랜스- Vol.16 No.-

        Narratives are fundamental to human cognition and social culture, serving as the primary means by which individuals and societies construct meaning, share experiences, and convey cultural and moral values. The field of artificial intelligence, which seeks to mimic human thought and behavior, has long studied story generation and story understanding, and today's Large Language Models are demonstrating remarkable narrative capabilities based on advances in natural language processing. This situation raises a variety of changes and new issues, but a comprehensive discussion of them is hard to find. This paper aims to provide a holistic view of the current state and future changes by exploring the intersections and interactions of human and AI narrative intelligence. This paper begins with a review of multidisciplinary research on the intrinsic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narrative, represented by the term Homo narrans, and then provide a historical overview of how narrative has been studied in the field of AI. This paper then explore the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narrative intelligence as revealed by today's Large Language Models, and present three philosophical challenges for understanding the implications of AI with narrative intelligence.

      • KCI등재

        인터랙티브 다큐멘터리의 정치적·미학적 가능성과 그 실천에 관한 분석틀 제안

        권호창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10

        Interactive documentary refers to a new style of documentary that is created and accepted through active interaction. It is attracting attention as a platform that forms a public sphere and mediates audiences to participate in social change. However, the possibilities was not systematically explored, and there was insufficient consideration on how to realize them. In this paper, discussions on the political aesthetics of Walter Benjamin are examined, and the media characteristics of interactive documentary are analyzed through text mining. Then, by connecting the two to each other, we draw a map of the political and aesthetic possibilities, and based on the map, we analyze the actual works. This study has the value of establishing a theoretical framework for the possibilities of interactive documentaries. In the follow-up study, we will consider the practical strategy of interactive documentary as a transmedia activism and develop a practical analysis and planning methodology. 인터랙티브 다큐멘터리는 창작자와 수용자가 다양한 멀티미디어를 재료로 능동적으로 상호작용해 만들어내는 새로운 양식의 다큐멘터리를 말한다. 인터랙티브 다큐멘터리는 공론장을 형성하고 상호작용성에 기반한 경험을 통해서 수용자들로 하여금 사회 변화에 직접 참여하도록 매개하는 플랫폼으로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이론적 관점에서 그 가능성이 체계적으로 탐색되지 못했고, 실천적 관점에서 가능성을 실현하고 발전시킬 방법에 관한 고려가 부족했다. 본 논문에서는 이론적 기반으로서 발터 벤야민의 정치 미학, 특히 예술의 정치화에 관한 논의들을 정리하고, 텍스트 마이닝을 통해서 인터랙티브 다큐멘터리의 매체적 특징을 분석한다. 그리고 이 둘을 서로 연결하여 인터랙티브 다큐멘터리의 정치적·미학적 가능성의 지도를 그려보고, 이를 바탕으로 실제 작품에서 그 가능성이 어떻게 실현되었고 한계는 무엇이었는지를 분석한다. 본 연구는 인터랙티브 다큐멘터리의 정치적·미학적 가능성에 대한 이론적 체계를 마련했다는 가치를 갖는다. 후속 연구에서는 이를 기반으로 트랜스미디어 액티비즘으로서 인터랙티브 다큐멘터리의 실천적 전략을 고민하고 실용성 있는 분석 및 기획 방법론을 개발할 것이다.

      • KCI등재

        An Improved Method of Character Network Analysis for Literary Criticism: A Case Study of <Hamlet>

        권호창,심광현 한국콘텐츠학회 2017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Vol.13 No.3

        As a computational approach to literary criticism, the method of character network analysis has attracted attention. The character network is composed of nodes as characters and links as relationship between characters, and has been used to analyze literary works systematically. However, there were limitations in that relationships between characters were so superficial that they could not reflect intimate relationships and quantitative data from the network were not interpreted in depth regarding meaning of literary works. In this study, we propose an improved method of character network analysis through a case study on the play <Hamlet>. First, we segmented the character network into a dialogue network focused on speaker-to-listener relationship and an opinion network focused on subject-to-object relationship. We analyzed these networks in various ways and discussed how analysis results could reflect structure and meaning of the work. Through these studies, we strived to find a way of organic and meaningful connection between literary criticism in humanities and network analysis in computer science.

      • KCI등재후보

        독자의 내러티브 이해를 반영한 창작 지원 시스템 설계

        권호창(Hochang Kwon),권혁태(Hyuk Tae Kwon),윤완철(Wan Chul Yoon) 한국HCI학회 2014 한국HCI학회 논문지 Vol.9 No.2

        작가의 내러티브 창작을 지원하는 다양한 소프트웨어들은 일반적으로 작가가 생산하고 필요로 하는 정보의 관리와 상업적 성공을 거둔 내러티브 텍스트에 대한 분석에 주목한다. 이러한 관점에서는 내러티브 창작 과정에서의 독자의 적극적 역할이 간과된다. 작가는 독자의 반응이나 기대를 예상하여, 이를 충족시키거나 배반하면서 내러티브를 구성한다. 사건 전개에 따른 독자의 이해 상황을 파악하고 이를 적절히 조절하는 작가의 활동은 내러티브 전체의 미학적 완성도와 연관되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서사학의 내러티브 구조 모델과 인지과학의 ‘사건 색인 상황모델’을 이론적 근거로, 독자의 이해와 관련된 내러티브의 다차원적 특성을 시각적으로 확인하고 조절할 수 있는 창작 지원 시스템 설계를 제안한다. 먼저 사건을 기본 단위로 하여 그 속성을 설정하고 내러티브의 두 시간축에 유기적으로 배열할 수 있는 프레임워크를 설계하고, 이를 실제 영화의 내러티브에 적용하여 전체 구조를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독자의 이해에 영향을 미치는 상황 모델 차원들의 연속성을 시각화하는 방안과 정보처리 요구량으로써 인지적 복잡도를 분석하는 방안을 제시하고, 사례 영화에 대해 시각화한 결과를 내러티브의 특성과 작가 지원 관점에서 논의하였다. A variety of writing support systems focus on the information management or the feature analysis of the commercially successful narrative texts. In these approaches, the reader’s role in the narrative creating process is overlooked. During a writing work, an author anticipates the reader’s response or expectation to the narrative and he/she organizes the narrative either along or against the prediction about readers. Assessing and controlling the reader’s comprehension in the development of events influences the aesthetic quality of the narrative. In this paper, we suggest a writing support system to visualize and adjust the characteristics of a narrative text related to the reader’s comprehension, which is theoretically based on the narrative structure model and the event-indexing situation model. Under the development of the support system, we designed an interactive framework to create events as the basic units of story and arrange them onto both story- and discourse-time axes. Using this framework, we analyzed the organization of events about an actual film narrative. We also proposed both the continuity of the situational dimensions and the cognitive complexity as the characteristics to affect the reader’s comprehension, hence we devised a method to visualize and evaluate them. This method was applied to the actual film narrative and the result was discussed in the aspect of the features of the narrative and wiring support strategies.

      • 독자의 이해도를 고려한 내러티브 창작 지원 시스템 설계

        권호창(Hochang Kwon),권혁태(Hyuktae Kwon),윤완철(Wanchul Yoon) 한국HCI학회 2014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4 No.2

        작가의 내러티브 창작을 지원하는 다양한 프로그램들은 일반적으로 작가에게 필요한 정보의 관리와 상업적으로 성공한 내러티브 텍스트에 대한 분석에 주목한다. 이러한 관점에서는 내러티브 창작 과정에서의 독자의 역할이 간과된다. 작가는 독자의 반응이나 기대를 예상하여, 이를 충족시키거나 배반하면서 내러티브를 구성한다. 사건 전개에 따른 독자의 이해도를 확인하고 이를 적절히 조절하는 작가의 활동은 내러티브 전체의 미학적 완성도와 연관되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서사학의 내러티브 구조 모델과 인지과학의 ‘사건 색인 상황모델’을 이론적 근거로, 독자의 이해와 관련된 내러티브 텍스트의 특성을 시각적으로 확인하고 조절할 수 있는 창작 지원 시스템 설계를 제안한다. 먼저 사건을 기본 단위로 하여 그 속성을 설정하고 내러티브의 두 시간 축에 배열할 수 있는 프레임워크를 설계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내러티브의 의미적 일관성과 독자의 이해에 영향을 미치는 다섯차원의 연속성을 시각화하고 독자의 인지적 복잡도를 정보처리 요구량으로써 제시하였다. A variety of writing support systems focus on the information management or the feature analysis of the commercially successful narrative texts. In these approaches, the reader’s role in the narrative creating process is overlooked. During a writing work, an author anticipates reader’s response or expectation to the narrative and he/she organizes the narrative either along or against the prediction about readers. Controlling the reader’s comprehension by unfolding events influences aesthetic quality of the narrative. In this paper, we propose a writing support system to visualize and adjust the characteristics of a narrative text related to the reader’s comprehension based on narrative structure model and event-indexing situation model. Firstly, we designed the interactive framework to create events as the primary units of story and arrange them into both story- and discourse-time axes. Using this organization of events, we visualize the continuity in five situational dimensions and the complexity as a measure of information processing needs, which affect the reader’s understanding and the semantic consistency of the narrativ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